파슨즈(Parsons)의 특성-요인이론의 배경 및 내용(개요, 쟁점)과 진로상담에의 적용 및 나의 생각(결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상담자는 면담 중에 인쇄된 자료를 가지고 와서 내담자와 실제로 자
세히 살펴볼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담자의 역할이 협 력자나 촉진자
에서 전문가나 교사로 바뀌고, 따라서 내담자는 초심자나 학생으로 행동
하게 된다.
4. 이론에 대한 평가
직업선택 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한 것이 이 이론의 큰 공헌이
다. 특히,특성-요인이론에 의해서 강조된 표준화 검사도구와 직업세계
의 분석과정은 진로상담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특성-요인이론은 다음
과 같은 몇 가지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특성-요인이론에서는 객관적인 절차, 특히 심리검사를 통해서 개
인의 특성을 타당하고 믿을 수 있게 측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데, 이러한
검사도구에서 밝혀진 결과가 어떤 직업에서의 성공여부를 정확하게 예언
해 주지 못한다는 예언타당도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특히 인사선
발이나 배치의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검사도
구를 통해서 측정된 개인의 검사결과가 그의 특성을 정확하게 설명하느냐
하는 구인타당도의 문제도 자기 자신을 이해하려는 장면에서 문제로 제기
되었다. 비록 특성-요인이론의 주창자 중 한 사람인 Wi11iamson(1939)이
검사도구는 내담자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담자가 활용할 수 있
는 도구의 한 유형 일 뿐이라고 주장하였지만, 내담자의 일의 경험이나 일
반적인 배경 등과 같은 다른 다양한 자료들이 도외시되고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가 지나치게 강조되는 특성-요인이론은 문제점
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특성-요인이론은 직업선택을 1회적인 행위로 간주하여 장기간
에 걸친 인간의 직업발달을 도외시하고 있으며,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제
특성 간의 역동성 및 개인이 그 많은 요인 중에서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느냐에 따라 직업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특성-요인이론은 개인의 특성과 직업 간의 관계를 기술하지만,
개인의 특성이 어떻게 발달하였는가, 개인이 왜 그러한 특성을 가지게 되
었는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이 이론에서 관심을 두는 것은 흥미나
적성과 같은 내담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이 직면하는
진로문제를 분석 진단하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 반드시 진단결과에
대한 논의를 가져야 한다.
넷째, 특성-요인이론은 개념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많은 상담가나 상담
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이론 자체적으로는 효율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즉, 수많은 검사도구 중에서 어떤 것
을 선택해야 하고, 또 어떻게 그 검사결과를 활용해야 하는지는 전적으로
상담가의 몫으로 남겨져 있을 뿐이다.
Ⅲ. 결론
Parsons가 제안한 특성-요인이론은 진로상담과 관련된 초창기의 이론이며,
매우 원론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렇지만 이 이론을 토대로 해서 다른 많은
이론들이 생겨나게 되있고, 진로상담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많은 정사들을 탄
생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특성-요인이론에서는 개인의 특성에 대한 객관적 자료와 직업의 특성에 관한
자료를 중시하고 있다. 특히, 개인의 적성, 지능, 사회경제적 지위, 흥미, 가치관, 성
격 등에 관한 과학적인 자료를 개인에게 제시해 주고 직업의 특성에 관한 자료
를 제시해 주어 가장 합리적이고 현명한 선택과 결정을 하도록 조력하는 것을
중시하고 있다.
특성-요인이론과 관련된 근원적인 쟁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특성이
란 무엇인가? 특성은 직업행동을 예측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만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것인가? 특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
특성-요인 진로상담의 기본은 변별진단이다. 진로의사결정에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Williamson(1939)은 다을과 같은 네 가
지 범주를 제시하었다. (1) 진로 무선택, (2) 불확실한 선택, (3) 현명하지 못한 선
택, (4)흥미와 적성 간의 모순.
특성-요인 접근법에서 진로상담의 과정은 잘 알려진 문제해결의 과학적 방법
을 따르고 있다 Williamson은 이 과정은 다음의 여섯 단계로 기술하고 있다. (1)
분석 - (2)종합 - (3) 진단 (4)- 예측 -(5) 상담 -(6)추수지도. Williamson
은 특성-요인 진로상담을 위한 일반적 기법을 (1)촉진적 관계형성, (2)자기 이해
의 신장 (3) 행동계획의 권고나 설계 (4) 계획의 수행 (5) 위임 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이론에서는 직업정보를 매우 중요시하는데,
Brayfield(1950)는 직업정보의 기능을 (1) 정보제공 기능, (2)재조정 기능 (3) 동
기화 기능 등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직업선택 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한 것이 이 이론의 큰 공헌이다. 특히,
특성-요인이론에 의해서 강조된 표준화 정사도구와 직업세계의 분석과정은 진로
상담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특성-요인이론은 심리정사가 지니고 있는 예언타
당도의 부족, 장기간에 걸친 인간의 직업발달 도외시, 개인의 특성 발달에 대한
설명 부족, 호물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지침 부족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Ⅳ. 참고문헌
-Anastasi, A. (1983). Evolving trait concepts, American Pschotogist, 39,
175-184.
-Baer, M. F., & Roeber, E. C. (1951). OccupaitonaI information: Its nature
and use.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Brayfield, A. H. (1950). Putt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cross. In A. H.
Brayfield (Ed.), Readings in modern metbo法 counseling,.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212-220.
-Crites, J. 0.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배경,   확산,   중요,   본질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3.01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