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and의 성격이론의 기원과 원리(유형) 및 가정, 이론에 대한 평가(나의 생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Holland 성격이론

1. Holland 이론의 기원

2. 주요 원리와 가정

(1) 이론의 3가지 기본적 질문

(2) 4가지 주요 가정

(3) 6가지 유형의 특징

(4) 5가지 부가적 가정

가. 일관성

나. 변별성

다. 정체성

라. 일치성

마. 계측성

3. 유형의 발달과 주요 원리

4. 이론에 대한 평가

Ⅲ.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예를 들어 , 실제적인(R)의 부모는
실제적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다른 활동은 피하거나 관심이 없어서 , 결과
적으로 부모는 환경적인 경험뿐 아니라 태도를 포함한 특징적 환경을 제
공하게 된다는 것이다(Holland, 1997, P. l6).
4) 이론에 대한 평가
1973년 Holland가 "'직업의 선택(Making VocationaI Cboices)s,을 출판
한 이래로 지금까지 직업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어 왔고,
Holland의 MASEC 육각형 모형은 직업심리에서의 아이콘이 되었다. 또
한 6가지의 성격유형을 육각형(hexagon)의 구조로 배열한 것은 직업심리
학의 역사상 가장 잘 검증된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다(Rounds, 1995).그밖
에도 Holland 이론은 성격유형과 직업환경을 대웅적인 구인(constmcts)
과 분류를 이용해서 직업을 심리적인 특징에서 기술하였다는 것이다. 이
러한 공헌은 직무의 내용이 발리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하다
(Dawis, 1996). 특히, 직무내용에 따른 직업정보시스템은 지속적인 업데
이트와 개정이 필요한데, Holland의 심리적 특성에 근거한 직업기술방법
은 다소 안정적이고 일의 세계가 변화함에 따라 약간의 수정만 요구된다
는 것이다. 그 밖에도 Holland 이론은 흥미검사도구의 제작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심지어 유서 깊은 스트롱 흥미검사도 수정하게 만들었다.
Borgen(199D은 Holland의 이론을 스트롱의 자료에 적용한 것은 흥미측
정의 발전에 주목할 만한 일 중 하나였고, 이는 두 개의 다른 패러다임-
스트롱의 경험주의적인 입장(dustbowl empiricism)과 Holland의 개념적
인 추출물(conceptual abstraction)을 통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Holland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SDS(Se1f-Directed Search)와 VPI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는 지속적으로 진로상담자들이 가장 많
이 사용하는 검사다.
이렇듯 Holland의 업적은 오늘날의 거의 모든 흥미검사에 영향을 강력
히 미쳐 왔다. Holland 이론의 강력하면서도 단순화되어 있는 육각형 모
형은흥미측정에 있어서 조직,구조,단순화,할전된 해석이 이루어지도
록 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Holland의 육각형 모형은 복잡한
직업세계를 단순화하고 해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어떤 이론이나 형태도 지금까지 이론적 연구자들과응용적 입장에 서
있는 현장의 상담가들에게 Holland보다 더 유용하게 기여하지는 못했을
것이다(Campbell & Borgen, 1999). 특히, Rayman과 Atanasoff(1999)는
Holland 이론이 왜 현장실무자들에게 그렇게 유용한지에 대해 간결성과
안면타당도 등 몇 가지 측면에서 언급하였다. 즉,6가지의 단순한 성격유
형과 6가지의 단순한 직업환경, 유전적 기질과 환경적 영향을 통해서 개
인의 성격적 특성이 발달한다는 Holland 이론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이
해하기 쉽다는 점에서 간결성(simplic)이 그 특징이다. 즉, 유유상종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성격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잘 맞아떨어지면(good
fit),그 사람은 보다 성공적이고, 만족스러우며, 생산적인 직업생활을 하
게 될 것이다. 또한 많은 상담 장면에서 검사해석결과에 대해서 내담자들
은 네, 그럴듯하네요(Yes, that makes sense)."라는 반응에 대해서는 안
면타당도를, Holland이론이 지난 30년 넘게 지속적으로 다듬어져 온 SDS 검사도구를 통해서 현장에 바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그 적용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론의 제한점에 대해서는 Ho11and(1997) 스스로가 다음과 같이 기술
한 바 있다. 즉, 유형론의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가설들은 지
지를 받지만 보다 많은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적인 발달과 변화에 관
한 설명도 어느 정도 지지를 받고는 있지만, 보다 종합적인 검증이 필요하
다고 보았다. 또한 직업분류는 유형을 평가하고자 하는 도구들에 따라 조
금씩 차이가 난다. 특히, 교육, 성, 지능, 사회계층, 기타 다른 중요한 변인
들을 포함하여 개인적이고 환경적인 관련성을 예측하려고 하지만, 진로
이론이 이를 포괄하는 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끝으로 과거에 발표된 연
구뿐 아니라, 앞으로 발표될 연구 및 이론들까지도 포함하여 이론적 수정
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비판적 관점에서 Krumboltz(1996)와Savickas(1997)는 오래된 질서가 변화하고 고용자들이 주어진 일을 무엇이든 잘 해내야 하는 요즘 상황에서 , Holland이론의 일치성에 대해 한계를 지적하였다. 즉, 같은 깃털을 가진 새라고 해서 반드시 함께 모일 필요는 없으며(Savickas, 1997),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 또한 주어진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잘 지낸다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Krumboltz, 1996). 직업에서의 이질성은 오늘날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며, 일치성은 더 이상 과거처럼 그렇게 가치로운 개념이 아니라는 것이다.
Ⅲ. 참고 문헌
-Anastasi, A. (1983). Evolving trait concepts, American Pschotogist, 39,
175-184.
-Baer, M. F., & Roeber, E. C. (1951). OccupaitonaI information: Its nature
and use.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Brayfield, A. H. (1950). Putt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cross. In A. H.
Brayfield (Ed.), Readings in modern metbo法 counseling,.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212-220.
-Crites, J. 0.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배경,   확산,   중요,   본질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3.01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