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렴, 발산의 개념
1.국제경제사회에서의 수렴, 발산의 문제
2.수렴, 발산의 개념 유형
1) Homogenization
2) Catch-up
3) Gross(or unconditional) convergence
4) Explained convergence
5) Residual convergence
6) Asymptotically perfect convergence
7) Bounded convergence
1.국제경제사회에서의 수렴, 발산의 문제
2.수렴, 발산의 개념 유형
1) Homogenization
2) Catch-up
3) Gross(or unconditional) convergence
4) Explained convergence
5) Residual convergence
6) Asymptotically perfect convergence
7) Bounded convergence
본문내용
convergence
이는 균질화는 물론 캣취-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다른 변수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이 없이 특정 변수에서 수렴의 현상을 경험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가령 특정 국가들의 노동 생산성 수준에 있어서의 분산계수가 1960년대와 1990년대 사이에 증가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생산성 수준이 gross divergence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4)Explained convergence
이는 앞의 개념과 반대된다.
몇몇 경제에 의하여 기대되는 수렴의 시간궤도와 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에 대한 통계적 가치에 대하여 언급한다.
여기에는 자본설비에의 지출, 교육을 위한 경비, 자유무역의 강도, 정치적 안정성과 같은 변수들을 포함한다.
설명된 수렴의 연구는 실제로 관련 정책을 입안하는 데에 중요하다.
만일 설비투자가 한나라가 수렴클럽의 구성원에 도달할 수 있을까 아닐까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발견된다면, 이는 뒤쳐져 있는 국가의 정책 입안자에게 아주 가치 있는 정보가 될 것이다.
5)Residual convergence
이는 측정된 변수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제거한 후에 통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종속변수의 행위로 남아있는 잔차를 통해서 국가들 사이의 수렴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자본설비에 대한 지출에서의 국가간 차이를 수정하고 난 후, A국의 생산성이 B국의 그것을 캣취-업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esidual 수렴과 explained 수렴은 gross 수렴보다 분석적으로 더 만족스러운 개념으로 나타나게 된다.
수렴이 하나의 독립변수만은 둘러싼 관계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란 전제는 인정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6)Asymptotically perfect convergence
이는 만일 장기적으로 두 국가에 적절한 변수들이 정확하게 같은 수준으로 점근해서 접근한다면 두 국가는 수려하고 있는 것이란 의미이다.
Bernard and Durlauf에 따르면 “수렴은 국가간 산출의 편차가 zero mean stationary stochastic process에 따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각국 경제가 정확하게 같은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요하기 때문에 몇몇 국가들만이 수렴된다는 것을 나타내 줄 뿐일 것이다.
만일 적절한 조정을 하게 된다면 몇몇 국가들이 더 약한 기준으로 수렴하게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7)Bounded convergence
이는 두 나라가 제한된 수렴의 과정에 있음을 의미한다.
만일 적절한 변수의 시간 궤도가 반드시 이상적이지는 않으나 명확하고 미리 선정된 기준상에서 서로에게 가깝게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목표점을 향하여 가고 있다며 bounded 수렴의 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Baumol, Nelson and Wolff 에 의하면 이상과 같은 7가지 수렴의 개념은 그 어느 것도 다른 것에 비하여 우월하거나 열등한 것이 아니다.
각각이 나름대로의 의미와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은 단서를 붙이지 않고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는 균질화는 물론 캣취-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다른 변수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이 없이 특정 변수에서 수렴의 현상을 경험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가령 특정 국가들의 노동 생산성 수준에 있어서의 분산계수가 1960년대와 1990년대 사이에 증가한다면 우리는 그러한 생산성 수준이 gross divergence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4)Explained convergence
이는 앞의 개념과 반대된다.
몇몇 경제에 의하여 기대되는 수렴의 시간궤도와 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에 대한 통계적 가치에 대하여 언급한다.
여기에는 자본설비에의 지출, 교육을 위한 경비, 자유무역의 강도, 정치적 안정성과 같은 변수들을 포함한다.
설명된 수렴의 연구는 실제로 관련 정책을 입안하는 데에 중요하다.
만일 설비투자가 한나라가 수렴클럽의 구성원에 도달할 수 있을까 아닐까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발견된다면, 이는 뒤쳐져 있는 국가의 정책 입안자에게 아주 가치 있는 정보가 될 것이다.
5)Residual convergence
이는 측정된 변수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제거한 후에 통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종속변수의 행위로 남아있는 잔차를 통해서 국가들 사이의 수렴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자본설비에 대한 지출에서의 국가간 차이를 수정하고 난 후, A국의 생산성이 B국의 그것을 캣취-업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esidual 수렴과 explained 수렴은 gross 수렴보다 분석적으로 더 만족스러운 개념으로 나타나게 된다.
수렴이 하나의 독립변수만은 둘러싼 관계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란 전제는 인정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6)Asymptotically perfect convergence
이는 만일 장기적으로 두 국가에 적절한 변수들이 정확하게 같은 수준으로 점근해서 접근한다면 두 국가는 수려하고 있는 것이란 의미이다.
Bernard and Durlauf에 따르면 “수렴은 국가간 산출의 편차가 zero mean stationary stochastic process에 따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각국 경제가 정확하게 같은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요하기 때문에 몇몇 국가들만이 수렴된다는 것을 나타내 줄 뿐일 것이다.
만일 적절한 조정을 하게 된다면 몇몇 국가들이 더 약한 기준으로 수렴하게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7)Bounded convergence
이는 두 나라가 제한된 수렴의 과정에 있음을 의미한다.
만일 적절한 변수의 시간 궤도가 반드시 이상적이지는 않으나 명확하고 미리 선정된 기준상에서 서로에게 가깝게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목표점을 향하여 가고 있다며 bounded 수렴의 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Baumol, Nelson and Wolff 에 의하면 이상과 같은 7가지 수렴의 개념은 그 어느 것도 다른 것에 비하여 우월하거나 열등한 것이 아니다.
각각이 나름대로의 의미와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은 단서를 붙이지 않고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추천자료
가야의 사회ㆍ경제
기업 집단과 경제사회학적 관점의 절실함
관광학의 학문적 의의와 사회경제 문화적영향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비정규직노동자(비정규직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악영향과 정규직전환의 효과, 비정규직노동자(...
모정(茅亭)이 농촌사회경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아담 스미스의 사회경제사상
대구지하철 시대의 개화와 사회경제적 발전 전망
개항을 전후한 한중일 삼국의 사회경제와 대응전략의 비교
개항을 전후한 한중일 삼국의 사회경제변화 대응전략비교
개항을 전후한 한중일 삼국의 사회경제와 대응전략의 비교
해방공간의 북한 - 정치세력의 변화와 사회경제부문을 중심으로 -
[독후감상문(경제학/사회문제)]이만하면 충분하다
『조선후기 사회경제사』-조선후기농민경영에서 주호-협호 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