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이이-격몽요결(擊蒙要訣)
Ⅱ.이이-자경문(自警文)
Ⅲ. 해동속소학 (海東續小學)
Ⅳ.정재륜-공사견문록 (公私見聞錄)
Ⅴ. 명심보감(明心寶鑑) - 범충선공
Ⅵ. 노사신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Ⅶ. 명심보감(明心寶鑑)- 신종황제
Ⅱ.이이-자경문(自警文)
Ⅲ. 해동속소학 (海東續小學)
Ⅳ.정재륜-공사견문록 (公私見聞錄)
Ⅴ. 명심보감(明心寶鑑) - 범충선공
Ⅵ. 노사신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Ⅶ. 명심보감(明心寶鑑)- 신종황제
본문내용
들을 수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이 일화와 같은 美化(미화)는 드물다. 대신 父母(부모)의 遺産(유산)을 위해 兄弟(형제)간의 다툼이 많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이런 형제간의 싸움을 우려한 대기업 總帥(총수)들이 간혹 자신들의 전 財産(재산)을 社會(사회)에 모두 還元(환원)한다는 遺書(유서)를 남기고 죽기도 한다. 돈이 아무리 많으면 무엇 하는가? 죽는 순간까지 자신의 죽음으로 인해 싸움을 할 자식들 걱정을 해야 하는데... 난 내 자식들에게 물질로 인해 싸움하는 일이 절대 없도록 가르칠 것이다. 어릴 때부터 물질보다는 형제간의 友愛(우애)와 가족간의 和睦(화목)이 훨씬 더 소중한 것임을 일깨워 줘서 나중에 어른이 된다 해도 이런 思考方式(사고방식)을 갖지 않도록 하게끔, 노력할 것이다.
7. 명심보감(明心寶鑑)- 신종황제
神宗皇帝御製曰, 遠非道之財하고 戒過度之酒하며
居必擇隣하고 交必擇友하며 嫉妬를 勿起於心하고
讒言을 勿宣於口하라.
骨肉貧者를 莫疎하고 他人富者를 莫厚하라.
克己는 以勤儉爲先하고 愛衆은 以謙和爲首하며,
常思已往之非하고 每念未來之咎하라.
若依朕之斯言이면 治國家而可久니라.
<어구풀이>
過(과) : 지날 과 居(거) : 거할 거 擇(택) : 가릴 택
隣(린) : 이웃 린 嫉(질) : 시기할 질 讒(참) : 참소할 참
厚(후) : 두터울 후 克(극) : 이기다 극 儉(검) : 검소할 검
謙(겸) : 겸손할 겸 已(이) : 이미 이 往(왕) : 갈 왕
朕(짐) : 나 짐 斯(사) : 이 사
<해설>
신종황제어제에 이르기를, 도리에 어긋나는 재물을 멀리하고, 정도에 지나친 술을 경계하며, 반드시 이웃을 가려서 살고, 벗을 가려서 사귀며, 시기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말고, 헐뜯는 말을 입에서 내지 말라. 가난한 친척을 소홀히 하지 말고, 부유한 사람을 후하게 대하지 말라. 자기의 사욕을 극복함에는 근면과 검소함을 첫째로 삼고, 사람을 사랑함에는 겸손과 화목을 첫째로 삼으며, 항상 지난날의 잘못을 생각하고 늘 미래의 허물을 생각하라. 만약 나의 이 말에 따른다면 나라와 집안을 오래도록 다스릴 것이다.
<소견>
이 글속에 내가 내 자식에게 訓戒(훈계)할 말들이 다 들어있다고 해도 過言(과언)이 아니다. 飮酒(음주)와 親舊(친구)관계는 물론 親戚(친척)들을 대하는 法(법)과 이웃을 사귀는 법까지 신종황제의 말에는 세상을 살아가며 지켜야 할 여러 가지 誡命(계명)들이 들어 있다.
7. 명심보감(明心寶鑑)- 신종황제
神宗皇帝御製曰, 遠非道之財하고 戒過度之酒하며
居必擇隣하고 交必擇友하며 嫉妬를 勿起於心하고
讒言을 勿宣於口하라.
骨肉貧者를 莫疎하고 他人富者를 莫厚하라.
克己는 以勤儉爲先하고 愛衆은 以謙和爲首하며,
常思已往之非하고 每念未來之咎하라.
若依朕之斯言이면 治國家而可久니라.
<어구풀이>
過(과) : 지날 과 居(거) : 거할 거 擇(택) : 가릴 택
隣(린) : 이웃 린 嫉(질) : 시기할 질 讒(참) : 참소할 참
厚(후) : 두터울 후 克(극) : 이기다 극 儉(검) : 검소할 검
謙(겸) : 겸손할 겸 已(이) : 이미 이 往(왕) : 갈 왕
朕(짐) : 나 짐 斯(사) : 이 사
<해설>
신종황제어제에 이르기를, 도리에 어긋나는 재물을 멀리하고, 정도에 지나친 술을 경계하며, 반드시 이웃을 가려서 살고, 벗을 가려서 사귀며, 시기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말고, 헐뜯는 말을 입에서 내지 말라. 가난한 친척을 소홀히 하지 말고, 부유한 사람을 후하게 대하지 말라. 자기의 사욕을 극복함에는 근면과 검소함을 첫째로 삼고, 사람을 사랑함에는 겸손과 화목을 첫째로 삼으며, 항상 지난날의 잘못을 생각하고 늘 미래의 허물을 생각하라. 만약 나의 이 말에 따른다면 나라와 집안을 오래도록 다스릴 것이다.
<소견>
이 글속에 내가 내 자식에게 訓戒(훈계)할 말들이 다 들어있다고 해도 過言(과언)이 아니다. 飮酒(음주)와 親舊(친구)관계는 물론 親戚(친척)들을 대하는 法(법)과 이웃을 사귀는 법까지 신종황제의 말에는 세상을 살아가며 지켜야 할 여러 가지 誡命(계명)들이 들어 있다.
추천자료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유형과 필요성,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쟁점, ...
자기주도적학습력의 의미와 중요성, 자기주도적학습력 신장을 위한 필수조건, 자기주도적학습...
자기주도적학습의 정의, 자기주도적학습의 원리, 자기주도적학습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의 ...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 정의, 특징, 기반,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과 독서교육(독서지도), ...
교사정보소양교육(교원정보소양교육)의 의의, 교사정보소양교육(교원정보소양교육)의 현황과 ...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 목적, 이론, 관점,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와 자기주도적 학습, ...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 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진로교육(진...
수학교육(학습, 수학수업) 기본 방향, 수학교육(학습, 수학수업) 재구성, 수학교육(학습, 수...
(A+, 아동교육) 자기 주도력이 낮은 아동과 높은 아동들의 특성을 기술하고, 자기 주도력을 ...
자기주도적학습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의 필요성, 자기주도적학습 성격, 자기주도적학습 조...
수학교육(수학학습) 목적, 수학교육(수학학습) 과정, 수학교육(수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
[교수설계][문학교육][직업교육][자기조절학습][웹기반가상수업]교수설계 개념, 교수설계 기...
[A+] 교육론, 귀한 자식 이렇게 가르쳐라, 로크, 독후감, 요약, 감상문, 후기
[교육공학]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