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위안화 절상 배경
2. 위안화 2% 절상이 동북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일본, 중국)
3. 향후 전망
4. 위안화 추가 절상이 동북 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5. 대응 방향
Ⅲ. 결론
Ⅱ. 본론
1. 위안화 절상 배경
2. 위안화 2% 절상이 동북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일본, 중국)
3. 향후 전망
4. 위안화 추가 절상이 동북 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5. 대응 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절상은 관련 기업 및 산업에 타격을 주고 실업 증대를 초래해 중국의 경제성장에 득보다는 실이 클 것
2) 위안화 평가 절상이 한국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단기적으로는 미미 장기적으로는 손실
긍정적 측면
- 수출(가격)경쟁력 제고로 선진국 시장에서 중국제품 보다 경쟁력 우위 확보
-수출 가격하락으로 대중국 수출 증가
-대중국 투자 둔화에 따른 외국인 투자 증가
-대중국 수입을 감소시켜 무역수지 개선에 긍정적 영향
부정적 측면
-장기적으로 중국의 성장 둔화와 수출경기 위축으로 대중국 수출수요 감소
-중국산 수입 농수산물 가격상승 ⇒ 물가상승
-투자코스트 상승과 리스크 확대
5. 대응 방향
1) 위안화 절상에 대한 한국 일본의 대응 방향
①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의 향상과 디자인 및 품질개선의 노력에 경주해야
② 중국사업에 대한 중 장기적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
③ 위안화 절상 이외에도 중국사업 환경의 불안정성과 예상하지 못한 돌발변수나 위험요인 발생 대비한 위기관리 체계 구축 필요
ex)2003년 사스 사태가 좋은 예
④ 중국위주의 투자에서 벗어서 생산거점을 베트남 등지로 옮기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⑤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에 의존하는 비즈니스모델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⑥ 선택과 집중필요
2) 위안화 절상에 대한 중국의 대응방향
① 위안화 추가절상 기대에 따른 투기 심리를 잠재우고 중국정부가 위안화 추가절상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해 중국경제가 연착륙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신중한 판단절실
②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중국 은행 시스템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③ 상품의 고부가 가치화를 추진하고 생산성 증대에 나서 경쟁을 강화하는 것이 최선의 대 응방안이다.
Ⅲ. 결론
1) 세계경제는 미국(NAFTA), EU 및 동북아의 3각축을 형성
Three Northeast asia countries
(GDP 5.8 trillion dollars, Trade 1.7 trillion dollars)
APEC (21 countries) ASEM (26 countries)
Population: 2.6 billion (42%) Population: 2.2 billion (38%)
GDP: $20 trillion (60%) GDP: $15 trillion (49%)
Trade: $6.4 trillion (48%) Trade: $6.4 trillion (55%)
Trans-Atlantic Marketplace
Population: 6.5 billion (11.2%)
GDP: $20 trillion (60%)
Trade: $5.5 trillion (50%)
NAFTA EU
(GDP 11.5 trillion dollars (GDP 7.9 trillion dollars
Trade 2.7 trillion dollars) Trade 2.4 trillion dollars)
2) 동북아 국가간 경제협력의 필요성
ㅇ 동북아 3국은 인구(1,469백만명, 세계의 23.4%), GDP(6.3조불, 15.5%), 교역규모(1.6조불, 14.5%) 면에서 압도적 위치를 차지하나 역내 경제협력은 미흡함
- 역내교역비중(’00) : NAFTA 47%, EU 60.4%, 한중일 20.3%
3) 동북아 국가간 협력 움직임
ㅇ 최근 아세아자유무역지대(AFTA) 발족으로 일본 및 중국이 적극적 자세로 전환
ㅇ 한일 FTA 추진, 한중일 FTA 구상, 한일BIT 타결(01.12)
4) 결론
⇒ 한 중 일 간의 긴밀한 협조를 넘어서 삼국의 문화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북미의 NAFTA,유럽의 EURO 경제권과 견줄 수 있는 대공동 협의기구가 필요
2) 위안화 평가 절상이 한국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단기적으로는 미미 장기적으로는 손실
긍정적 측면
- 수출(가격)경쟁력 제고로 선진국 시장에서 중국제품 보다 경쟁력 우위 확보
-수출 가격하락으로 대중국 수출 증가
-대중국 투자 둔화에 따른 외국인 투자 증가
-대중국 수입을 감소시켜 무역수지 개선에 긍정적 영향
부정적 측면
-장기적으로 중국의 성장 둔화와 수출경기 위축으로 대중국 수출수요 감소
-중국산 수입 농수산물 가격상승 ⇒ 물가상승
-투자코스트 상승과 리스크 확대
5. 대응 방향
1) 위안화 절상에 대한 한국 일본의 대응 방향
①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의 향상과 디자인 및 품질개선의 노력에 경주해야
② 중국사업에 대한 중 장기적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
③ 위안화 절상 이외에도 중국사업 환경의 불안정성과 예상하지 못한 돌발변수나 위험요인 발생 대비한 위기관리 체계 구축 필요
ex)2003년 사스 사태가 좋은 예
④ 중국위주의 투자에서 벗어서 생산거점을 베트남 등지로 옮기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⑤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에 의존하는 비즈니스모델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⑥ 선택과 집중필요
2) 위안화 절상에 대한 중국의 대응방향
① 위안화 추가절상 기대에 따른 투기 심리를 잠재우고 중국정부가 위안화 추가절상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해 중국경제가 연착륙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신중한 판단절실
②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중국 은행 시스템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③ 상품의 고부가 가치화를 추진하고 생산성 증대에 나서 경쟁을 강화하는 것이 최선의 대 응방안이다.
Ⅲ. 결론
1) 세계경제는 미국(NAFTA), EU 및 동북아의 3각축을 형성
Three Northeast asia countries
(GDP 5.8 trillion dollars, Trade 1.7 trillion dollars)
APEC (21 countries) ASEM (26 countries)
Population: 2.6 billion (42%) Population: 2.2 billion (38%)
GDP: $20 trillion (60%) GDP: $15 trillion (49%)
Trade: $6.4 trillion (48%) Trade: $6.4 trillion (55%)
Trans-Atlantic Marketplace
Population: 6.5 billion (11.2%)
GDP: $20 trillion (60%)
Trade: $5.5 trillion (50%)
NAFTA EU
(GDP 11.5 trillion dollars (GDP 7.9 trillion dollars
Trade 2.7 trillion dollars) Trade 2.4 trillion dollars)
2) 동북아 국가간 경제협력의 필요성
ㅇ 동북아 3국은 인구(1,469백만명, 세계의 23.4%), GDP(6.3조불, 15.5%), 교역규모(1.6조불, 14.5%) 면에서 압도적 위치를 차지하나 역내 경제협력은 미흡함
- 역내교역비중(’00) : NAFTA 47%, EU 60.4%, 한중일 20.3%
3) 동북아 국가간 협력 움직임
ㅇ 최근 아세아자유무역지대(AFTA) 발족으로 일본 및 중국이 적극적 자세로 전환
ㅇ 한일 FTA 추진, 한중일 FTA 구상, 한일BIT 타결(01.12)
4) 결론
⇒ 한 중 일 간의 긴밀한 협조를 넘어서 삼국의 문화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북미의 NAFTA,유럽의 EURO 경제권과 견줄 수 있는 대공동 협의기구가 필요
추천자료
중국의 투자환경과 외국인투자
G7 국가의 두바이 회담의 결과 및 주요국가에 미치는 영향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중국 위안하 절상
중국부동산 시장전망과 투자전략
[a+]<중국의 WTO 가입 배경과 영향>
중국의 환율 제도와 위엔화 전망
우리나라의 중국 펀드시장 투자현황에 대하여
패권전쟁론을 통해서 본 미국.중국 간 환율전쟁
중국의안화의 평가절상가능성과 대중수출기업의 대응방안
[국제통화금융] 고정환율제도하의 재정통화정책의 효과
중국정치관련 용어 요약 및 정리 100개
중국인 관광객 유치전략-중국인의 관광 추세,관광마케팅전략사례,한류마케팅
국제금융론 - 환율변동이 우리나라 수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