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소개 1p
2. 목차 3p
3. 책의 주요 내용 4p
4. 책을 읽고서, 나를 돌아보기 5p
5. 바라는 말 7p
2. 목차 3p
3. 책의 주요 내용 4p
4. 책을 읽고서, 나를 돌아보기 5p
5. 바라는 말 7p
본문내용
랄 때 느끼는 감정이라고 한다. 우리는 고독하다고 느낄 때 무엇인가가 허전함을 느낀다. 그것은 자기가 해야 할 일인데 남이 해주지 않으니까 생기는 것이라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이런 고독을 없애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남이 해주기를 바라지말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아서 허전한 마음을 없애는 것이 좋은 것 같다. 과거에 나도 다른 사람이 나와 같이 있어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자주 들곤한다. 그것은 내가 지금 할 일이 없어서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해야할 일이 많을 때는 고독과 같은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데 반해, 할 일이 없고 심심하면 허전한 마음이 드는 것이다. 허전한 마음이 들 때 자신이 할 일을 알아서 찾아서 하는 사람은 정말 건강한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알 것 같다. 이렇게 고독을 느끼지 않으면 남에게 의존하는 마음 또한 없을 것이니, 성숙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로,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이해하고 따뜻하게 보살피려는 노력에서 사랑은 온다. 여기서 내가 TV에서 본 내용이 생각났다. 그 프로그램은 이혼하기 전의 부부들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혼의 위기를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였다. 그 프로그램을 볼 때마다 왜 저렇게 까지 됐을까하고 생각을 한적이 있었다. 책이 말하는 내용에 비춰보면, 그 사람들은 서로를 인정하고 깊이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워서 그런 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내가 미래에 결혼을 하면 나만의 입장만을 생각하지 않고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할 줄 아는 그런 사람이 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끝으로 이 책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에 대해서 비교를 한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신적 특성에 대해서 말이다. 또한 한국의 좋은 점을 들어서 우리 민족 문화정신의 우수성을 내세운다. 일본인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 문장이 있다. 불성실하고 믿을 수 없는 것이 일본인이고, 한국 사람이 일본인에게 친절하면 그들은 상전으로 둔갑하고 한국인은 종이 된다. 일본인과 미국인은 무조건 눌러야 말을 잘 듣고 친해질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나는 너무 일본인들을 나쁘게 말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때까지 우리는 일본인이 성실하고 예절바르다는 말을 많이 들어왔고 텔레비전에서도 그런 모습들이 비춰졌었다. 그래서 그런 지 일본인을 너무 나쁘게 말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의 좋은 면,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내세우기 위해서 너무 일본을 비난한 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5) 맺는말
앞에서 말했듯이 이 책은 자녀교육,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대해서 말하고 있고 어떻게 하면 정신이 건강한 사람이 되는 지를 저자 자신이 경험한 일이나 상담했던 내담자들의 예를 들어 설명해 주고 있다. 하지만 책의 초판이 출간된지 19년 이 지난 지금 시대적 상황들이나, 사람들의 삶의 방식, 환경은 많이 변했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나와 같은 젊은이들이 읽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해하기 쉽도록 개정이 되거나 새로이 저술한 책이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남이 해주기를 바라지말고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찾아서 허전한 마음을 없애는 것이 좋은 것 같다. 과거에 나도 다른 사람이 나와 같이 있어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자주 들곤한다. 그것은 내가 지금 할 일이 없어서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해야할 일이 많을 때는 고독과 같은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데 반해, 할 일이 없고 심심하면 허전한 마음이 드는 것이다. 허전한 마음이 들 때 자신이 할 일을 알아서 찾아서 하는 사람은 정말 건강한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알 것 같다. 이렇게 고독을 느끼지 않으면 남에게 의존하는 마음 또한 없을 것이니, 성숙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로,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이해하고 따뜻하게 보살피려는 노력에서 사랑은 온다. 여기서 내가 TV에서 본 내용이 생각났다. 그 프로그램은 이혼하기 전의 부부들에게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혼의 위기를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였다. 그 프로그램을 볼 때마다 왜 저렇게 까지 됐을까하고 생각을 한적이 있었다. 책이 말하는 내용에 비춰보면, 그 사람들은 서로를 인정하고 깊이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워서 그런 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내가 미래에 결혼을 하면 나만의 입장만을 생각하지 않고 상대방의 입장을 배려할 줄 아는 그런 사람이 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끝으로 이 책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에 대해서 비교를 한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신적 특성에 대해서 말이다. 또한 한국의 좋은 점을 들어서 우리 민족 문화정신의 우수성을 내세운다. 일본인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 문장이 있다. 불성실하고 믿을 수 없는 것이 일본인이고, 한국 사람이 일본인에게 친절하면 그들은 상전으로 둔갑하고 한국인은 종이 된다. 일본인과 미국인은 무조건 눌러야 말을 잘 듣고 친해질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나는 너무 일본인들을 나쁘게 말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때까지 우리는 일본인이 성실하고 예절바르다는 말을 많이 들어왔고 텔레비전에서도 그런 모습들이 비춰졌었다. 그래서 그런 지 일본인을 너무 나쁘게 말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의 좋은 면,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내세우기 위해서 너무 일본을 비난한 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5) 맺는말
앞에서 말했듯이 이 책은 자녀교육, 가정생활, 사회생활에 대해서 말하고 있고 어떻게 하면 정신이 건강한 사람이 되는 지를 저자 자신이 경험한 일이나 상담했던 내담자들의 예를 들어 설명해 주고 있다. 하지만 책의 초판이 출간된지 19년 이 지난 지금 시대적 상황들이나, 사람들의 삶의 방식, 환경은 많이 변했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나와 같은 젊은이들이 읽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해하기 쉽도록 개정이 되거나 새로이 저술한 책이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추천자료
현대인의 건강위험요소
선과 현대인의 인격수련
현대인의 건강, 알코올과 약물남용문제
[인문]현대인의 정신건강 - 직업과 일
원시인과 현대인
[현대인과 스포츠] 스포츠와 건강과 웃음의 관계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기준으로 현재 자신이 속한 단계에서 과업수행 정...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개념,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인간-환경 상...
정신질환 - 현대인의 정신질환 역학조사 및 현 실태 관련 조사
[청소년심리및상담] 현대인의 실존적 공허현상에 대한 징후를 설명하고, 그 징후를 학교폭력...
스트레스의 개념을 설명하고, 내가 지금 처한 상황(가정, 직장, 학업)에서의 스트레스 중 순 ...
스트레스의 개념을 정리하고, 내가 지금 처한 상황(가정, 직장, 학업)에서의 순기능적 스트레...
바쁜 현대인의 일상에서 행할 수 있는 사회 체육 활동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