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경우 어쩌면 인류는 무시무시할 정도로 획일적인 사고들만을 공유할 지도 모른다. 관용이라는 것은 모든 의견을 포용함으로써 통합할 수는 있으나, 그와 동시에 그런 현실에서는 독창적인 생각이 발생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관용이라는 것은 위에서 로렌쯔가 말한 공격성에 못지 않게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난 인류의 역사는 지나친 관용의 부재로 많은 피를 흘렸다는 것이며, 인류가 정신적으로 성장으로 하고 또 그것을 딛고 물질적으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관용이라는 미덕이 인간의 본성에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어쩌면 관용이 지나치게 만연해서 일어날 수 있는 비극을 걱정하는 것은 지금의 현실에선 일종의 노파심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며 글을 줄인다.
추천자료
인간의 본성
인간과 교육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가?
인간과 환경
빨간 페터는 인간인가?
[동양철학] 맹자 철학
[칸트][철학][정언명법]칸트의 철학(칸트의 도덕철학, 칸트의 법철학, 칸트의 종교철학), 칸...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칸트의 윤리학과 인간존중
[실존주의교육]실존주의교육사상(교육철학)의 의미, 실존주의교육사상(교육철학)의 등장배경,...
[주리론][주리철학][주리론(주리철학) 이론][주리론(주리철학) 종경정신][전거수사]주리론(주...
[동양][동양 도가][동양 사회][동양 철학(사상)][동양 유교][동양 유학][동양 미술][동양 무...
[언어의 이해 A형] 인간언어의 본질을 간략하게 설명
교육철학적 관점(구성주의, 인본주의, 행동주의)에 입각하여 자신이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