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불확실성의 가치를 인정하고 지금 만들어 낸 해결책을 섣불리 선택하기 보다는 더 나은 새로운 해결책을 발겨해 낼 수 있는 열린 통로를 갖추게 된다면, 지금 어떤 선택을 하던 간에 다른 방법을 기다렸다가 문제를 푸는 경우가 훨씬 좋다는 생각인거다. 나는 이런 의견에 동의하기 어렵다. 과학적일지는 모르지만. 부족할지라도 정확한 방향만 일치한다면 움직이는 쪽을 선택할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내용 이해자체가 힘들었다. 번역자체도 잘못 되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 책에서 받은 느낌은 과학적인 속성 하나를 전체 사회, 이 세상 모든 것에 유연하게 적용시키며 전체적인 그림을 머리에 남겨준다. 뭔가 난해하고 어려운 내용의 책이여서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지만, 새로운 느낌의 책이었다.
추천자료
과학과 생명의 형이상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사가 하나의 학문으로서 대학에 정착한 것은 20세기 중반 미국의 대학들에서 일어났다고 ...
사회복지에 관한 과학적 지식이 현장의 실천가에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특성이 사회복지 실천에 주는 영향들은 무엇인지를 예를 들어 구체...
정의란 무엇인가? : [서평, 독후감]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 감상문
자신의 과학교수 불안 및 효능감을 진단해 보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과학교수 불안을 감소하...
★ 성의과학 - 성의 정의 ( 성이란 무엇인가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학습이론,브루너의 탐구학습이론 각각의 이론...
성,사랑,사회=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과 의료의 이름으로...
[성 사랑 사회 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과 의료의 이...
일반지식과 과학적 지식의 차이는 무엇인지 논하여 보시오
사회복지조사에서 과학적 방법이 필요한 이유와 한계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