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제기
Ⅱ. Q 방법론에 대한 이해
Ⅲ. 연구설계 및 실증분석
Ⅳ. 결론
Ⅱ. Q 방법론에 대한 이해
Ⅲ. 연구설계 및 실증분석
Ⅳ. 결론
본문내용
reyser. ed..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206-216.
Kim. H. K.(1996), "Q-Model in Advertising:Its Design and Application", Sungkok Journalism Review 4, pp. 109-130
William Stephenson(1969),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Theory", The Psychological Record 19, pp. 65-82
(1973), "Let's be abductive, not hypothetic deductive", Unpublished report, University of Missouri
Swienteh. R. (1997) "Caffeine Buzz", Prepared Food, July, p.11
<부록>
1. 내가 지금 피고 있는 담배를 선택한 것은, 여러 종류의 담배를 핀 게 아니라, 남들이 피는 거 한번 펴보고 괜찮다 싶어 그냥 피게 됐다.
2. 고교생의 흡연은 일종의 우월감에서 피울 것이다.
3. 여성흡연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편이다.
4. 노동 등 힘든 일을 할 때 틈틈이 피는 담배보다, 책을 읽는 등 정신적인 노동을 할 때 틈틈이 피는 담배가 좋다.
5. 뭔가 유행하면 남들보다 먼저 받아들이는 편이다.
6. 집중을 요구하는 일을 할 때는 평소보다 담배를 더 피게 된다.
7. 담배는 뭔가 성취했을 때보다 실패했을 때에 더 잘 어울린다.
8. 회의나 토론 등 생각을 요구하는 자리에서 담배를 피는 것은, 한가지 뭔가 생각이 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9. 아직은 담배로 인한 몸 걱정은 안 하는 편이다.
10. 새로 나온 담배나 처음 보는 담배를 보면, 한 대 빌리기보다 호기심에서 내가 사 피는 편이다.
11. 담배를 빨 때 타 들어가는 화염을, 영화에서는 욕망으로 표현하는데동감간다.
12. 담배이름은 의미 있는 긴 이름 보다 의미 없더라도 짧은 이름이 좋다.
13. 생활 속의 작은 사치는 한다. 담배 값이 다소 비싸더라도 마음에 들면 살 것이다.
14. 담배 광고는 아무리 멋있는 장면이라도 제품이 담배라서 거부감이 간다.
15. 담배를 필 때 목을 자극하는 특유의 느낌이 좋아, 순한 담배는 싫다.
16. 담배 피는 스스로의 모습을 생각할 때, 어쩐지 분위기 있어 보이는 것 같다.
17. 담배를 선택하는데 있어, 담배 가격의 차이에는 그렇게 연연해 하지 않는다
18. 담배 피는 장면은 여름 바닷가 휴양지보다 겨울 산의 눈과 더 잘 어울린다.
19. 담배는 활동적인 직업을 가진 사람보다는, 정신적인 작업을 하는 사람이 더 어울린다.
20. 청소년들에게 있어 담배 피는 행위는 술 마시는 행위보다 사회 일탈적인 느낌이 더 듣다.
21. 행복의 요건으로, 명예보다 부가 먼저 떠오른다.
22. 담배를 필 때는, 피는 동안에 내 머리 속에 아무 생각을 없애기 위해핀다. 왜냐하면 피는 동안 아무 생각을 안하고 그냥 담배 피는 데만 열중하기 때문이다.
23. 담배는 소주잔과 어울리는 담배와, 위스키잔과 어울리는 담배가 다르다.
24. 외산 담배는 품질이 좋다는 인식이 든다.
25. 담배가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내용의 위협소구 영상 프로그램 등을 보면 끊고 싶은 생각이 절실하게 든다.
26. 내가 스스로 담배를 피고 싶은 경우보다 환경이 담배를 피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27. 사회적 이슈나 사건의 진상에 대한 보도기사를 많이 신뢰하는 편이다.
28. 나는 담배를 피면 정신이 산만해지기보다 정신이 맑아진다.
29. 이정재나 정우성 같은 터프한 이미지의 남자가 피는 담배보다는, 한석규같은 부드러운 이미지의 남자가 피는 담배가 더 멋있을 것 같다.
30. 담배를 피우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에서의 일종의 쾌락이다.
31. 담배 한 대를 피면 속이 뚫리는 시원한 느낌이 들 때가 많다.
32. 여자가 담배 피면 좀 쉽게 보이기보다 소신이 강하다는 생각이 든다.
33. 20대 초반과 20대 중반과는 라이프 스타일과 행동방식, 관심사 등에 차이가 있다고 본다.
34. 담배는 피고 싶다는 욕망이고, 해소된 욕망이고, 욕망을 가질 때 피기도 한다. 따라서 담배는 욕망이라는 말과 가장 잘 어울린다.
35. 내가 담배를 처음 피게 된 것은, 나의 자발적 선택이라기보다 공부도 잘하고 담배도 피고 잘 노는 애들의 영향이 컷다고 본다.
36. 일반적으로 성인병에는 술, 담배,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된다고 한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제거했으면 하는 것은 담배이다.
37. 나는 담배를 피우지만 즐기는 편은 아니다.
38. 모든 세대가 함께 피는 담배보다는 20대만의 새로운 담배가 나왔으면 한다.
39. 담배는 여유로움 등이 느껴지는 전원장면보다는, 속도감 등이 느껴지는 장면이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40. 아침에 피는 담배가 저녁에 피는 담배보다 더 맛있다.
41. 아무리 비흡연자를 위한다해도 흡연구역 설정은 부당한 일이다.
42. 담배 피는 동안은 시간이 멈춘 듯한 느낌의 경험을 자주 하는 편이다.
43. 담배 광고를 보고 담배를 사 본 적이 있다.
44. 담배는 인간관계에 도움이 된다. 밤에 술이 하는 역할을 낮에는 담배가 대신 할 수 있다.
45. 술 마시면서 피는 담배보다 커피 마시면서 피는 담배가 더 맛있다.
46. 담배를 피울 때 담배연기를 자주 느끼거나 의식하게 된다. 따라서 연기 없이 피우면 피우는 묘미가 삭감될 것이다.
47. 화장실에 갈 때 담배는 필수품이다.
48. 담배를 즐겨피운 폐암환자가 담배 회사를 상대로 소송하는 것은 웃긴일이다. 왜냐하면 담배는 자기가 좋아서 피우는 기호품이기 때문이다.
49. 나는 술을 많이 마시는 편이다.
50. 담배를 끊으면 허전할 것이다. 그래서 계속 피운다.
51. 담배는 여럿이 함께 피울 때보다 혼자 피울 때가 더 좋다.
52. 나는 남들보다 앞장서서 일을 진행하기를 좋아한다.
53. 우리나라 담배인삼공사는 항상 양담배를 모방해서 새로운 담배를 만든다는 생각이 든다.
54. 휴먼 드라마 같은 영화보다는 블럭 버스터 영화를 더 자주 본다.
Kim. H. K.(1996), "Q-Model in Advertising:Its Design and Application", Sungkok Journalism Review 4, pp. 109-130
William Stephenson(1969),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Theory", The Psychological Record 19, pp. 65-82
(1973), "Let's be abductive, not hypothetic deductive", Unpublished report, University of Missouri
Swienteh. R. (1997) "Caffeine Buzz", Prepared Food, July, p.11
<부록>
1. 내가 지금 피고 있는 담배를 선택한 것은, 여러 종류의 담배를 핀 게 아니라, 남들이 피는 거 한번 펴보고 괜찮다 싶어 그냥 피게 됐다.
2. 고교생의 흡연은 일종의 우월감에서 피울 것이다.
3. 여성흡연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편이다.
4. 노동 등 힘든 일을 할 때 틈틈이 피는 담배보다, 책을 읽는 등 정신적인 노동을 할 때 틈틈이 피는 담배가 좋다.
5. 뭔가 유행하면 남들보다 먼저 받아들이는 편이다.
6. 집중을 요구하는 일을 할 때는 평소보다 담배를 더 피게 된다.
7. 담배는 뭔가 성취했을 때보다 실패했을 때에 더 잘 어울린다.
8. 회의나 토론 등 생각을 요구하는 자리에서 담배를 피는 것은, 한가지 뭔가 생각이 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9. 아직은 담배로 인한 몸 걱정은 안 하는 편이다.
10. 새로 나온 담배나 처음 보는 담배를 보면, 한 대 빌리기보다 호기심에서 내가 사 피는 편이다.
11. 담배를 빨 때 타 들어가는 화염을, 영화에서는 욕망으로 표현하는데동감간다.
12. 담배이름은 의미 있는 긴 이름 보다 의미 없더라도 짧은 이름이 좋다.
13. 생활 속의 작은 사치는 한다. 담배 값이 다소 비싸더라도 마음에 들면 살 것이다.
14. 담배 광고는 아무리 멋있는 장면이라도 제품이 담배라서 거부감이 간다.
15. 담배를 필 때 목을 자극하는 특유의 느낌이 좋아, 순한 담배는 싫다.
16. 담배 피는 스스로의 모습을 생각할 때, 어쩐지 분위기 있어 보이는 것 같다.
17. 담배를 선택하는데 있어, 담배 가격의 차이에는 그렇게 연연해 하지 않는다
18. 담배 피는 장면은 여름 바닷가 휴양지보다 겨울 산의 눈과 더 잘 어울린다.
19. 담배는 활동적인 직업을 가진 사람보다는, 정신적인 작업을 하는 사람이 더 어울린다.
20. 청소년들에게 있어 담배 피는 행위는 술 마시는 행위보다 사회 일탈적인 느낌이 더 듣다.
21. 행복의 요건으로, 명예보다 부가 먼저 떠오른다.
22. 담배를 필 때는, 피는 동안에 내 머리 속에 아무 생각을 없애기 위해핀다. 왜냐하면 피는 동안 아무 생각을 안하고 그냥 담배 피는 데만 열중하기 때문이다.
23. 담배는 소주잔과 어울리는 담배와, 위스키잔과 어울리는 담배가 다르다.
24. 외산 담배는 품질이 좋다는 인식이 든다.
25. 담배가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내용의 위협소구 영상 프로그램 등을 보면 끊고 싶은 생각이 절실하게 든다.
26. 내가 스스로 담배를 피고 싶은 경우보다 환경이 담배를 피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27. 사회적 이슈나 사건의 진상에 대한 보도기사를 많이 신뢰하는 편이다.
28. 나는 담배를 피면 정신이 산만해지기보다 정신이 맑아진다.
29. 이정재나 정우성 같은 터프한 이미지의 남자가 피는 담배보다는, 한석규같은 부드러운 이미지의 남자가 피는 담배가 더 멋있을 것 같다.
30. 담배를 피우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에서의 일종의 쾌락이다.
31. 담배 한 대를 피면 속이 뚫리는 시원한 느낌이 들 때가 많다.
32. 여자가 담배 피면 좀 쉽게 보이기보다 소신이 강하다는 생각이 든다.
33. 20대 초반과 20대 중반과는 라이프 스타일과 행동방식, 관심사 등에 차이가 있다고 본다.
34. 담배는 피고 싶다는 욕망이고, 해소된 욕망이고, 욕망을 가질 때 피기도 한다. 따라서 담배는 욕망이라는 말과 가장 잘 어울린다.
35. 내가 담배를 처음 피게 된 것은, 나의 자발적 선택이라기보다 공부도 잘하고 담배도 피고 잘 노는 애들의 영향이 컷다고 본다.
36. 일반적으로 성인병에는 술, 담배,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된다고 한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제거했으면 하는 것은 담배이다.
37. 나는 담배를 피우지만 즐기는 편은 아니다.
38. 모든 세대가 함께 피는 담배보다는 20대만의 새로운 담배가 나왔으면 한다.
39. 담배는 여유로움 등이 느껴지는 전원장면보다는, 속도감 등이 느껴지는 장면이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40. 아침에 피는 담배가 저녁에 피는 담배보다 더 맛있다.
41. 아무리 비흡연자를 위한다해도 흡연구역 설정은 부당한 일이다.
42. 담배 피는 동안은 시간이 멈춘 듯한 느낌의 경험을 자주 하는 편이다.
43. 담배 광고를 보고 담배를 사 본 적이 있다.
44. 담배는 인간관계에 도움이 된다. 밤에 술이 하는 역할을 낮에는 담배가 대신 할 수 있다.
45. 술 마시면서 피는 담배보다 커피 마시면서 피는 담배가 더 맛있다.
46. 담배를 피울 때 담배연기를 자주 느끼거나 의식하게 된다. 따라서 연기 없이 피우면 피우는 묘미가 삭감될 것이다.
47. 화장실에 갈 때 담배는 필수품이다.
48. 담배를 즐겨피운 폐암환자가 담배 회사를 상대로 소송하는 것은 웃긴일이다. 왜냐하면 담배는 자기가 좋아서 피우는 기호품이기 때문이다.
49. 나는 술을 많이 마시는 편이다.
50. 담배를 끊으면 허전할 것이다. 그래서 계속 피운다.
51. 담배는 여럿이 함께 피울 때보다 혼자 피울 때가 더 좋다.
52. 나는 남들보다 앞장서서 일을 진행하기를 좋아한다.
53. 우리나라 담배인삼공사는 항상 양담배를 모방해서 새로운 담배를 만든다는 생각이 든다.
54. 휴먼 드라마 같은 영화보다는 블럭 버스터 영화를 더 자주 본다.
추천자료
한ㆍ중 산업협력 현황과 바람직한 발전방향 : 한국경제 중국경제
[무역학]한일 경제관계의 구도와 향후 경제협력방향
[한국정치와경제] 제 4공화국 유신체제의 정치경제에 대한 심층고찰
G20위기전후경제고용 국제비교
경제학_원리
[미시경제학] 더 넓은 지평을 향하여 (맑스주의 경제학, 미국의 급진 정치경제학, 조절이론의...
질병부담측정,DALY및경제적질병부담,경제적질병부담,칠병부담측정방법
[막스 베버][경제이론][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의 역사, 막스 베버의 경제이론, 막스 베버의...
[미시경제학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읽고 _ 토드 부크홀츠(Todd G. ...
[경제학개론] 생산자이론 - 기업, 기업의 개념, 생산요소, 장단기, 생산함수, 한계생산과 평...
[디지털경제] 디지털 경제의 특징별 사례분석.ppt
[합리적선택의 모델] 국제정치경제의 합리적 선택분석에 기초한 모델 - 동맹의 경제적모델과 ...
이남복, 현대경제사회학, 경제사회학이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