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절농수산물에변동가중치를적용한소비자물가지수작성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소비자물가지수 작성 현황

Ⅲ. 현행 계절농수산물 적용방법 및 문제점

Ⅳ. 계절변동가중치방식의 도입 방법 검토

Ⅴ. 현행방법과 계절변동가중치방법에 의한 지수 추이 비교

Ⅵ. 결론

본문내용

나타났다.
<표 10> 신선식품지수 연평균 증감률 비교표
(%, %p)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연평균상승률
현행지수(A)
-3.2
8.3
8.3
8.6
-1.9
계절지수(B)
-2.1
9.5
9.3
10.6
-3.7
차이(A-B)
-1.1
-1.2
-1.0
-2.0
1.8
전 년 말 비
현행지수(A)
10.3
9.3
8.9
3.7
-6.3
계절지수(B)
8.4
7.7
9.7
9.2
-13.3
차이(A-B)
1.9
1.6
-0.8
-5.5
7.0
<그림 2> 신선식품지수 비교
(1995=100)
3. 부문별지수
가. 생선류지수
생선류지수는 계절지수가 현행지수보다 지수의 변동폭(전월비)이 크게 나타나며, 연평균상승률은 -1.4~1.9%p 차이를 보이고 전년말비는 -1.0~2.5%p로 나타났다.
<표 11> 생선류지수 연평균 증감률 비교표
(%, %p)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연평균상승률
현행지수(A)
3.3
6.5
9.3
7.6
0.4
계절지수(B)
3.0
7.9
7.4
8.3
0.7
차이(A-B)
0.3
-1.4
1.9
-0.7
-0.3
전 년 말 비
현행지수(A)
3.0
10.9
9.6
2.3
-1.1
계절지수(B)
1.4
8.4
10.6
2.0
-1.6
차이(A-B)
1.6
2.5
-1.0
0.3
-0.5
<그림 3> 생선류지수 비교
(1995=100)
나. 채소류지수
채소류지수는 계절지수가 현행지수보다 지수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며, 연평균상승률이 -8.2~8.3%p 차이를 보였고, 전년말대비는 -14.6~15.3%p로 크게 차이가 발생하였다.
<표 12> 채소류지수 연평균 증감률 비교표
(%, %p)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연평균상승률
현행지수(A)
5.1
3.1
12.3
9.4
8.1
계절지수(B)
-0.3
11.3
13.2
10.7
-0.2
차이(A-B)
5.4
-8.2
-0.9
-1.3
8.3
전 년 말 비
현행지수(A)
8.2
12.7
10.7
15.1
-13.3
계절지수(B)
-1.0
25.1
4.7
29.7
-28.6
차이(A-B)
9.2
-12.4
6.0
-14.6
15.3
<그림 4> 채소류지수 비교
(1995=100)
다. 과실류지수
과실류지수는 계절지수가 현행지수보다 지수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며, 연평균상승률이 -8.5~7.0%p 차이를 보였고, 전년말대비는 -12.7~0.5%p로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
<표 13> 과실류지수 연평균 증감률 비교표
(%, %p)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
연평균상승률
현행지수(A)
-14.0
14.0
0.8
11.8
-14.7
계절지수(B)
-5.5
7.0
3.7
16.4
-10.2
차이(A-B)
-8.5
7.0
-2.9
-4.6
-4.5
전 년 말 비
현행지수(A)
20.2
1.5
4.7
-5.3
-0.8
계절지수(B)
29.6
-14.2
14.6
-5.5
1.3
차이(A-B)
-9.4
-12.7
-9.9
0.2
0.5
<그림 5> 과실류지수 비교
(1995=100)
Ⅵ.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계절농수산물의 가격변동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서 현행고정가중치방식의 문제점과 계절변동가중치방식에 대한 도입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과정에서 보면 실제적으로 두 방법들이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고, 소비자물가지수 총지수 측면에서는 두 방법에 의해 작성된 지수의 추이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계절변동가중치방식에 의해 작성된 하위분류 지수가 보다 현실성 있게 나타나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동가중치 방식을 지수작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도 많은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계절변동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수를 정확히 작성하려면 연중 가격 조사가 용이하여야 하는데, 도시가계 소비지출액 등의 자료에 대해 검토한 결과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 시설재배 증가 등으로 조기, 갈치, 꽁치, 무, 배추, 열무, 오이, 호박, 풋고추, 부추의 10개 품목의 경우, 가격조사 및 지수반영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시금치, 가지, 토마토, 고구마, 사과, 배, 포도, 감, 밀감, 참외, 수박, 딸기의 12개 품목과 같이 출회가 제한된 경우는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월별로 일정가중치를 갖고 있는 도시에서 조사가 안될 경우도 있어 이에 대한 처리방법도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 2년간 25개 보합품목에 대해 보합기간 중에 가격조사를 실시한 결과 36개 도시중 70%이상 가격조사가 가능한 품목은 14개품목이고 나머지 11개 품목은 70%미만 도시에서 조사되었다.
따라서 특정 월에 도시내 전시장 또는 일부시장에서 조사가 안되는 경우 이에 대한 처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는 가격 조사가 안되는 시장은 전순기 가격으로 보합하는 방법으로 가격을 연결시키고 있어 완전한 변동가중치 적용이 안 되는 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보합기간이 길어 현재의 규격으로 조사가 잘 안되는 수박, 복숭아에 대해서는 출회되는 다른 유사 규격을 조사하되, 가격 연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수박은 겨울 비출회기에 소형 온상수박이 출회되나, 성출회기에는 대형 수박이 주로 출회되어 이 경우 가격을 중량으로 연결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또, 복숭아도 창방, 황도 등 품종품질에 따라 가격차이가 나는데, 출회되는 시기가 짧아 가격 연결에 어려움이 있다. 열무, 포도, 밀감, 딸기, 감, 사과 등의 품목도 조사가 어려운 달에 가중치가 있는 경우 조사 가능한 규격을 검토하여 적정한 가격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가중치 작성시 전도시 월별 가중치 산출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시도별 월별 가중치 산출시는 표본 규모가 작아 가중치의 신뢰도가 낮아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고, 계절변동가중치 방식으로 지수를 작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월별 변동이 심해 계절성을 제거한 계절조정지수를 병행하여 작성하고 있는데 현재 계절변동가중치 적용지수는 ’99년 1월부터 작성되어 시계열이 짧아 향후 2~3년동안 계속 작성하며 계절조정지수 작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03.15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6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