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나, 그리고 너 - 심리학의 은밀한 매력
너와 나의 ‘다름’을 유쾌하게 인정합시다
인상
호감과 애정
망각
인지
의사결정
문제해결과 창의성
동기
정서
감각과 지각
성격
정신분석
군중행동
환경
진화
너와 나의 ‘다름’을 유쾌하게 인정합시다
인상
호감과 애정
망각
인지
의사결정
문제해결과 창의성
동기
정서
감각과 지각
성격
정신분석
군중행동
환경
진화
본문내용
몇십 번이나 시도했지만 결국 따지 못했다. 할 수 없이 여우는 포기하고 길을 가면서 중얼거렸다. “저건 신 포도일거야.”
이 이야기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해서라도 목표한 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것으로 배워 왔다. 그래서 몇 번의 시도로 포기하고 마는 여우를 본받지 말고 ‘안되는 것도 되게 하라며’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격려해 왔다.
감각과 지각
우리의 감각기관은 여러 다양한 자극을 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외부자극을 있는 그대로 모두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외부로부터 받는 많은 자극을 걸러 적당하게 감소시켜 주는 장치가 우리의 감각체계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도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해서 받아들이게 된다. 즉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이다. 주의는 외부세계를 인식하기 위한 첫발걸음인 셈이다.
성격
성격은 ‘환경 조건들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행동특성들에 비교적 일관되게 나타나는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자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격은 하루아침에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개인이 자라면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진 것이다. 때문에 성격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서 점차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어간다. 그러므로 내향적인 당신이 정반대인 외향적인 사람으로 바뀌는 것은 고목에 새순이 돋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설사 바뀐다 하더라도 개개는 당신의 나이에 맞먹는 세월이 걸릴 것이다.) 또 하나의 주의할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누구는 성격이 좋다”“누구는 성격이 나쁘다”고들 말이다. 성격은 개인이 긴 세월 동안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룩한 개인의 특성일 뿐, 좋고 나쁘다는 평가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신분석
에로스냐, 타나토스냐 - 인간 행동의 두 동기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인간 행동의 동기는 무의식 내의 정신적 긴장이나 충동으로부터 나온다고 한다. 이런 충동들을 프로이트는 본능이라 말했는데,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삶의 본능(Eros)은 배고픔과 같이 삶을 유지시켜 주는 것과 종족을 번식시키는 성(性)과 같은 충동을 말한다. 성본능은 개체의 정신구조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프로이트는 이것이 가장 영향력이 큰 삶의 본능이라 생각했다. 성본능에 내재하는 힘은 리비도(libido, 라틴어의 ‘소망’,‘욕구’에서 유래)라는 것인데, 이것은 생존본능의 힘을 일컫는 것이 되었다.
군중행동
집단 속에서의 행동은 대개 일정하다. 학생들은 집단으로 수업을 듣고 있더라도 조용하며, 회사의 직원들도 자기 일을 묵묵히 하고 있다. 그러나 집단이 비교적 덜 조직화되어 있고 목표도 같지 않은 군중이 되면 양상은 달라진다.
2천명을 뛰게 만드는 것 - 집단전염
갑자기 누군가 뛰기 시작했다. 아마도 뭔가 급한 일이 있었으리라. 다른 누군가가 또 뛰기 시작했다. 그는 신문팔이 소년으로서 기분이 좋아 달리고 있었다. 또 다른 젊은 신사도 뛰기 시작했다. 아내와의 약속에 늦었기 때문이었다. 10분 이내에 길가의 모든 사람들이 뛰기 시작했다. 웅성거리는 소리가 ‘댐’이라고 변하기 시작했다. ‘댐이 무너졌다!’고 누군가가 소리쳤다 2천명의 사람들이 동시에 뛰기 시작했다.
- 제임스 티버,「댐이 무너진날」, 1933
집단 전염의 발생은 그리 드물지 않다. 옆 사람이 하품을 하면 자기도 모르게 하품을 하게 된다. 대화도중 누군가가 팔짱을 끼면 다른 사람도 팔짱을 낀다. 강의가 끝나고 난 다음 질문시간에 처음에는 나서는 사람이 없다가 누군가 질문을 하면 나중에는 여기저기에서 손이 올라간다.
환경
여러분이 지금 정류장에서 버를 기다린다고 하자. 그런데 어떤 낯선 사람이 와 바로 옆에 선다면 대개는 자리를 이동하게 된다. 또 공원의 벤치에서 그이를 기다리고 있는데, 그이가 와서 멀찌감치 떨어져 앉는 다면 이상한 느낌이 들 것이다. 우리는 옆에 있는 사람이 가족인가 연인인가 사업상 만나는 사람인가 아니면 생면부지의 사람인가에 따라 그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하는데 있어 좋아하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이런 공간을 마치 자신의 일부인 것처럼 느낀다. 이 공간이 바로 개인 공간(personal space)이다. 사람들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까이 오는 것을 거부하기도 하며 또는 안락감을 늑Lrl 위하여 가까이 오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개인공간은 다른사람과 간격을 유지하려는 거리로 측정하여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친밀한 거리(intimate distance)로서 약 50cm 이내의 거리이다. 이것은 연인들이라든가 어머니와 아기의 거리다. 다른 사람이 파고들 여지를 주지 않는다. 두 번째는 개인적 거리(personal distance)로서 약 50cm에서 1.2m 정도의 거리이다. 친구와 이야기하기 좋은 거리이다. 세 번째는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이다. 1.2m에서 2m 정도의 거리이다. 회의나 사업상 거래를 하기에 적당하다. 마지막은 공공거리(public distance)로서 3.5m에서 7.5m의 거리이다. 큰 목소리가 필요하다. 강의나 거리의 약장수를 생각하면 된다.
진화
· 남자는 마음 속에 말을 남기고, 여자는 말 속에 마음을 남긴다.
·남자는 모르는 것도 아는 체 하고, 여자는 아는 것도 모른 체 한다.
·남자는 마음에 먹은 말을 하고, 여자는 마음에 떠오른 말을 한다.
·남자는 꼭 알아두어야 할 일을 너무 모르고, 여자는 모를수록 좋은 일을 너무 많이 안다.
·남자의 “사랑해”는 “현재는”이라는 단어가 생략된 것이고, 여자의 “사랑해”는 “당신이 사랑하는 한”이라는 단어가 생략된 것이다.
남자와 여자의 행동의 차이에 관해 인터넷에 떠도는 유머다. 이전에는 기껏해야‘남자는 누드에 약하고, 여자는 무드에 약하다’정도였지만, 지금은 남녀의 차이에 대해 위와 같은 다양한 유머가 돌아다니고 있다. 그러면 왜 이러한 남녀간 행동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을까? 진화 심리학에서 설명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호랑이 담배 피던’ 아주 오랜 옛날로 돌아가서 당시 상황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 시대에서 진화심리학은 출발한다.
이 이야기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해서라도 목표한 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것으로 배워 왔다. 그래서 몇 번의 시도로 포기하고 마는 여우를 본받지 말고 ‘안되는 것도 되게 하라며’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격려해 왔다.
감각과 지각
우리의 감각기관은 여러 다양한 자극을 탐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외부자극을 있는 그대로 모두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외부로부터 받는 많은 자극을 걸러 적당하게 감소시켜 주는 장치가 우리의 감각체계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도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해서 받아들이게 된다. 즉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이다. 주의는 외부세계를 인식하기 위한 첫발걸음인 셈이다.
성격
성격은 ‘환경 조건들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행동특성들에 비교적 일관되게 나타나는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자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격은 하루아침에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개인이 자라면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진 것이다. 때문에 성격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서 점차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어간다. 그러므로 내향적인 당신이 정반대인 외향적인 사람으로 바뀌는 것은 고목에 새순이 돋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설사 바뀐다 하더라도 개개는 당신의 나이에 맞먹는 세월이 걸릴 것이다.) 또 하나의 주의할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누구는 성격이 좋다”“누구는 성격이 나쁘다”고들 말이다. 성격은 개인이 긴 세월 동안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룩한 개인의 특성일 뿐, 좋고 나쁘다는 평가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신분석
에로스냐, 타나토스냐 - 인간 행동의 두 동기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인간 행동의 동기는 무의식 내의 정신적 긴장이나 충동으로부터 나온다고 한다. 이런 충동들을 프로이트는 본능이라 말했는데,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삶의 본능(Eros)은 배고픔과 같이 삶을 유지시켜 주는 것과 종족을 번식시키는 성(性)과 같은 충동을 말한다. 성본능은 개체의 정신구조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프로이트는 이것이 가장 영향력이 큰 삶의 본능이라 생각했다. 성본능에 내재하는 힘은 리비도(libido, 라틴어의 ‘소망’,‘욕구’에서 유래)라는 것인데, 이것은 생존본능의 힘을 일컫는 것이 되었다.
군중행동
집단 속에서의 행동은 대개 일정하다. 학생들은 집단으로 수업을 듣고 있더라도 조용하며, 회사의 직원들도 자기 일을 묵묵히 하고 있다. 그러나 집단이 비교적 덜 조직화되어 있고 목표도 같지 않은 군중이 되면 양상은 달라진다.
2천명을 뛰게 만드는 것 - 집단전염
갑자기 누군가 뛰기 시작했다. 아마도 뭔가 급한 일이 있었으리라. 다른 누군가가 또 뛰기 시작했다. 그는 신문팔이 소년으로서 기분이 좋아 달리고 있었다. 또 다른 젊은 신사도 뛰기 시작했다. 아내와의 약속에 늦었기 때문이었다. 10분 이내에 길가의 모든 사람들이 뛰기 시작했다. 웅성거리는 소리가 ‘댐’이라고 변하기 시작했다. ‘댐이 무너졌다!’고 누군가가 소리쳤다 2천명의 사람들이 동시에 뛰기 시작했다.
- 제임스 티버,「댐이 무너진날」, 1933
집단 전염의 발생은 그리 드물지 않다. 옆 사람이 하품을 하면 자기도 모르게 하품을 하게 된다. 대화도중 누군가가 팔짱을 끼면 다른 사람도 팔짱을 낀다. 강의가 끝나고 난 다음 질문시간에 처음에는 나서는 사람이 없다가 누군가 질문을 하면 나중에는 여기저기에서 손이 올라간다.
환경
여러분이 지금 정류장에서 버를 기다린다고 하자. 그런데 어떤 낯선 사람이 와 바로 옆에 선다면 대개는 자리를 이동하게 된다. 또 공원의 벤치에서 그이를 기다리고 있는데, 그이가 와서 멀찌감치 떨어져 앉는 다면 이상한 느낌이 들 것이다. 우리는 옆에 있는 사람이 가족인가 연인인가 사업상 만나는 사람인가 아니면 생면부지의 사람인가에 따라 그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하는데 있어 좋아하는 일정한 거리가 있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이런 공간을 마치 자신의 일부인 것처럼 느낀다. 이 공간이 바로 개인 공간(personal space)이다. 사람들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까이 오는 것을 거부하기도 하며 또는 안락감을 늑Lrl 위하여 가까이 오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개인공간은 다른사람과 간격을 유지하려는 거리로 측정하여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친밀한 거리(intimate distance)로서 약 50cm 이내의 거리이다. 이것은 연인들이라든가 어머니와 아기의 거리다. 다른 사람이 파고들 여지를 주지 않는다. 두 번째는 개인적 거리(personal distance)로서 약 50cm에서 1.2m 정도의 거리이다. 친구와 이야기하기 좋은 거리이다. 세 번째는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이다. 1.2m에서 2m 정도의 거리이다. 회의나 사업상 거래를 하기에 적당하다. 마지막은 공공거리(public distance)로서 3.5m에서 7.5m의 거리이다. 큰 목소리가 필요하다. 강의나 거리의 약장수를 생각하면 된다.
진화
· 남자는 마음 속에 말을 남기고, 여자는 말 속에 마음을 남긴다.
·남자는 모르는 것도 아는 체 하고, 여자는 아는 것도 모른 체 한다.
·남자는 마음에 먹은 말을 하고, 여자는 마음에 떠오른 말을 한다.
·남자는 꼭 알아두어야 할 일을 너무 모르고, 여자는 모를수록 좋은 일을 너무 많이 안다.
·남자의 “사랑해”는 “현재는”이라는 단어가 생략된 것이고, 여자의 “사랑해”는 “당신이 사랑하는 한”이라는 단어가 생략된 것이다.
남자와 여자의 행동의 차이에 관해 인터넷에 떠도는 유머다. 이전에는 기껏해야‘남자는 누드에 약하고, 여자는 무드에 약하다’정도였지만, 지금은 남녀의 차이에 대해 위와 같은 다양한 유머가 돌아다니고 있다. 그러면 왜 이러한 남녀간 행동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을까? 진화 심리학에서 설명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호랑이 담배 피던’ 아주 오랜 옛날로 돌아가서 당시 상황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 시대에서 진화심리학은 출발한다.
추천자료
[상담이론]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과 적용 및 치료 방법 그리고 사례 분석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연구과정
[광고 심리학] 각종 광고를 통해 보는 심리 (광고 효과 연구와 심리학, 광고효과 과정과 관련...
[John Broadus Watson] 왓슨의 소개와 이론 분석, 특징 및 왓슨 연구의 평가 및 시사점 (행동...
교육심리학-지능의 다양한 이론과 창의성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아울러 창의성과 지능을 환...
아동발달심리학(발달심리학의 개념과 영역, 아동발달심리학의 최근동향, 유아교육과 관련된 ...
현대 정신분석이론(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
[개인심리학] 아들러의 생애와 인간관, 개인심리학이론의 이론적 배경
2017년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가...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
방통대 교육심리학 중간과제물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
심리학의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