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대사와 에너지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AD + 2ADP → 2C3H4O3(피루브산) + 2NADH2 + 2ATP
② TCA(tricarboxylic acid cycle) 회로(크렙스 회로, 시트르산 회로): 피루브산이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분해되는 반응
a. 반응 장소: 미토콘드리아의 기질
b. 2C3H4O3(피루브산) + 6H2O + 8NAD + 2FAD + 2ADP → 6CO2 +8NADH2 + 2FADH2 + 2ATP
③ 전자전달계: 해당작용과 TCA회로에서 생긴 수소가 산화되는 과정
a. 반응 장소: 미토콘드리아의 내막
b. 10NADH2 + 2FADH2 + 6O2 → 10NAD + 2FAD + 12H2O + 34ATP
④ 유기호흡의 전체 반응식(포도당의 경우): 해당작용 + TCA회로 + 전자전달계
a. C6H12O6(포도당) + 6H2O + 6O2 + 38ADP → 6CO2 + 12H2O + 38ATP
b. ATP 생성량(포도당 1몰 당): 해당 2몰, TCA회로 2몰, 전자전달계 34몰
Ⅲ. 생체의 에너지 소비
1. 근육의 종류: 근세포는 가늘고 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근섬유라 부른다
⑴ 골격근: 대부분 골격에 부착
① 수축시 관절운동, 표정 및 저작 등의 운동
② 횡문근: 현미경 관찰 시 가로로 밝고 어두운 띠가 교대로 나타남
③ 수의근: 운동신경의 지배를 받아 자신의 마음대로 움직임
⑵ 심근: 심장의 벽을 이룸
① 횡문근
② 불수의근: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다
⑶ 내장근: 유강성 기관의 벽 - 위, 장, 혈관, 난관, 자궁, 방광, 요관
① 평활근: 골격근에 비해 밝고 어두운 줄무늬가 뚜렷하지 않다
② 불수의근
2. 근육의 수축
⑴ 근육의 미세구조
① 근육의 구조
a. 근육: 근섬유의 다발이 근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b. 근섬유(근세포): 단백질로 이루어진 근원섬유(미오신과 액틴)가 세포 내에 꽉 차 있다
c. 근원섬유(myofibril): 근세사(myofilament, 긴 단백질 연쇄분자의 다발)로 구성. 미오신 섬유와 액틴 섬유가
교대로 엮어져 있으며, 명대와 암대로 이루어진 근절이 연속
② 근절의 구조
a. I대(명대): 액틴 섬유로만 구성. 밝게 보임
b. A대(암대): actin과 myosin이 중첩되어 있어 어두운 부분
c. H대: A대 중앙부의 약간 밝은 부분
d. M선(M line): H대 중앙에 있는 막 모양의 어두운 부분
e. Z막: 근절과 근절의 경계선. 근원섬유는 Z선에 의하여 분리
③ 근육이 수축할 때의 근절의 변화: 액틴 섬유와 미오신 섬유가 서로 끼어 들어가므로 명대가 짧아지면서 근절이 수축된다.
⑵ 근육의 수축성 단백질
① myosin(미오신): 굵은 근세사
② actin(액틴): 가는 근세사
③ tropomyosin(트로포미오신)
④ troponin(트로포닌)
⑶ 근수축의 기전
① 운동뉴런에서 아세틸콜린 분비
② 근소포체에서 Ca2+ 방출
③ Ca2+이 ATPase를 활성화시켜 ATP 분해
④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로 미오신과 액틴이 결합하면서 활주
⑤ 근소포체의 Ca2+ 능동 흡수
⑥ 근절 이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3.21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