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적
■ 관련 이론
■ 회로도
■ 관련 이론
■ 회로도
본문내용
도는 빠르게 낮아져서 정지하게 된다. 보호장치가 전동기를 분리하지 않는다면 높은 슬립에 해당하는 큰 전류는 전동기의 권선을 소손시키게 된다. 이 항복토크는 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급작스러운 속도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고 전동기가 낼 수 있는 최대의 토크로 정의된다.
- 손실과 효율
(1) 손실
유도전동기의 손실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고정손 : 철손, 베어링 마찰손, 브러시 마찰손, 풍손
- 직접 부하손 : 1차 권선의 저항손, 2차회로의 저항손, 브러시의 전기손
- 표류 부하손 : 위의 손실 외에 부하가 걸리면 측정하기 곤란한 약간의 손실이 도체 및 철 속에 발생하다. 이것은 효율의 계산에서 무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고정자로 입력되는 전력과 고정자 손실이 주어졌을 때 공극을 건너가는 전력은
=고정자로 입력되는 전체 3상 전력, =철손, =고정자 동손
그림은 고정자입력에서부터 축출력까지의 전력의 흐름을 고정자와 회전자의 손실과 함께 보여주고 있다. 전동기의 총 전력 손실은 다음과 같다.
(2) 효율
효율은 다른 기기와 같이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는 1차 정격 전압, 전류이고, 는 기계적 출력이다.
그런데 유도전동기의 효율을 표시하는 방법에 와트로 표시한 출력 P와 VA로 표시한 피상입력과의 비를 가지고 피상효율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 2전력계법
단상 전력계 2대를 접속해서 측정해서 측정하는 방법. 전력계의 지시값을 P1, P2라 하면 3상 전력은
이와 같은 측정법을 2전력계법(two wattmeter method)이라 한다.
그리고 를 구해보면
즉 무효 전력 식이 나온다.
■ 회로도
- 손실과 효율
(1) 손실
유도전동기의 손실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고정손 : 철손, 베어링 마찰손, 브러시 마찰손, 풍손
- 직접 부하손 : 1차 권선의 저항손, 2차회로의 저항손, 브러시의 전기손
- 표류 부하손 : 위의 손실 외에 부하가 걸리면 측정하기 곤란한 약간의 손실이 도체 및 철 속에 발생하다. 이것은 효율의 계산에서 무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고정자로 입력되는 전력과 고정자 손실이 주어졌을 때 공극을 건너가는 전력은
=고정자로 입력되는 전체 3상 전력, =철손, =고정자 동손
그림은 고정자입력에서부터 축출력까지의 전력의 흐름을 고정자와 회전자의 손실과 함께 보여주고 있다. 전동기의 총 전력 손실은 다음과 같다.
(2) 효율
효율은 다른 기기와 같이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는 1차 정격 전압, 전류이고, 는 기계적 출력이다.
그런데 유도전동기의 효율을 표시하는 방법에 와트로 표시한 출력 P와 VA로 표시한 피상입력과의 비를 가지고 피상효율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 2전력계법
단상 전력계 2대를 접속해서 측정해서 측정하는 방법. 전력계의 지시값을 P1, P2라 하면 3상 전력은
이와 같은 측정법을 2전력계법(two wattmeter method)이라 한다.
그리고 를 구해보면
즉 무효 전력 식이 나온다.
■ 회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