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툴마허의 역사 비판학 비판
2. 잘못된 실천의 극복 방법
3. 스툴마허의 합의적 해석학
2. 잘못된 실천의 극복 방법
3. 스툴마허의 합의적 해석학
본문내용
비판의 제한성 과 결핍성을 신학적 해석학에 의해서 그리고 철학적 해석학에 의해서 보총하려고 한다. 우리는 신학적 해석학에 의해서 성서텍스트의 고유한 진리 내용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철학적 해석학의 조심스러운 수용을 통해서, 성서 텍스트를 가능한 한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철학적 해석학은 신앙에 대한 비판적인 질문은 유용화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툴마허는 야고보서가 의인에 관해서 부차적으로 언급하고 있다고 보고, 야고보서를 사이비 바울주의(pseudo paulismus)라고 정경 비판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그는 영감론을 성서 해석학에 있어서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성령의 선물을 방법적으로 이해 조건으로서 전제할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성령론적 반성에 제한을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