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성과관리의 중요성
본론
1.BSC에 대하여
2.MBO에 대하여
결론
참고문헌
본론
1.BSC에 대하여
2.MBO에 대하여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리기법이라는 특징이 있다.
위 주요연구자들의 정의를 종합하면, 목표관리제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서 전체조직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조직구성원 또는 조직이 성취하고자 하는 성과목표를 설정한 후, 이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환류시키는 과정” 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개인별 목표의 수립과정에서 성장형 인간관에 기초하여 구성원의 자율성과 참여를 강조하는데 관심이 있으며 셋째, 성과 평가를 통한 보상을 실현하려는 관리기법이라는 특징이 있다. 성과 관리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코칭과 피드백, 평가 보상이 모니터링 되면서 순서대로 반복되어진다. 언급한 부분들에 대한 것을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a. 목표설정: 조직의 목표와 일관성이 있고, 개인의 기대가 반영된 개인의 목표설정이며,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행동 정의 및 필요한 권한, 정보, 자원 등의 조직화가 필요하다.
b. 코칭/ 피드백: 목표에 근거하여 서과의 진척도 파악 및 주기적 피드백을 하며, 성과 향샹을 위한 상사의 지원 과 지도 및 조언이 필요하다.
c. 평가: 상사와 부하간 합의된 평가 기준에 의거한 성과평가를 한다. 차기 목표설정 및 육성, 경력 개발에 대해 토의 및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d. 보상: 바람직한 성과, 행동과 보상기준에 대한 합의를 하며, 금전적 보상 및 비금전적 보상을 즉시 제공한다.
결론
Southwest Airlines 나 SAS Institute과 같은 기업은 성과를 중시하고 있으며, 실제로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들에게는 두가지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첫째는 기업의 목표의식이 명확하고 이를 전 구성원과 공유하는데 성공했다는 점이고, 둘째로는 사람의 중요성.사람에 대한 존엄성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결국 성과주의 HR은 ‘성과’를 통해 구성원을 Control 하려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더 높은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 본질임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성과주의를 장착시키려는 우리 기업들은 구성원들이 조직 몰입 및 열정을 갖도록 하는데 보다 노력함으로써 일하기 좋은 직장으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전공 :김경한행정학박사학위논문
- http://www.seri.org/삼성경제 연구소
- http://www.lgeri.com/LG경제 연구소
위 주요연구자들의 정의를 종합하면, 목표관리제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서 전체조직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조직구성원 또는 조직이 성취하고자 하는 성과목표를 설정한 후, 이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환류시키는 과정” 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개인별 목표의 수립과정에서 성장형 인간관에 기초하여 구성원의 자율성과 참여를 강조하는데 관심이 있으며 셋째, 성과 평가를 통한 보상을 실현하려는 관리기법이라는 특징이 있다. 성과 관리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코칭과 피드백, 평가 보상이 모니터링 되면서 순서대로 반복되어진다. 언급한 부분들에 대한 것을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a. 목표설정: 조직의 목표와 일관성이 있고, 개인의 기대가 반영된 개인의 목표설정이며,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행동 정의 및 필요한 권한, 정보, 자원 등의 조직화가 필요하다.
b. 코칭/ 피드백: 목표에 근거하여 서과의 진척도 파악 및 주기적 피드백을 하며, 성과 향샹을 위한 상사의 지원 과 지도 및 조언이 필요하다.
c. 평가: 상사와 부하간 합의된 평가 기준에 의거한 성과평가를 한다. 차기 목표설정 및 육성, 경력 개발에 대해 토의 및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d. 보상: 바람직한 성과, 행동과 보상기준에 대한 합의를 하며, 금전적 보상 및 비금전적 보상을 즉시 제공한다.
결론
Southwest Airlines 나 SAS Institute과 같은 기업은 성과를 중시하고 있으며, 실제로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들에게는 두가지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첫째는 기업의 목표의식이 명확하고 이를 전 구성원과 공유하는데 성공했다는 점이고, 둘째로는 사람의 중요성.사람에 대한 존엄성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결국 성과주의 HR은 ‘성과’를 통해 구성원을 Control 하려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더 높은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 본질임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성과주의를 장착시키려는 우리 기업들은 구성원들이 조직 몰입 및 열정을 갖도록 하는데 보다 노력함으로써 일하기 좋은 직장으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
- http://www.seri.org/삼성경제 연구소
- http://www.lgeri.com/LG경제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