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러시아 안보 정책
2. 러시아의 에너지 정책
3. 에너지 전략 2030
4. 中·日 간의 러시아 에너지 확보 경쟁
5. 결론 및 전망
2. 러시아의 에너지 정책
3. 에너지 전략 2030
4. 中·日 간의 러시아 에너지 확보 경쟁
5.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에너지 안보구조로 발달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에서 러시아가 주요 당사자로 나섬.
나. 러시아는 중국과 일본을 상호 견제하며 동시에 지역발전을 이룩하려는 구도를 가짐
다. 러시아의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은 광대하며 극도의 저개발 상황이라서 개발문제를 특정
국가가 독점하기 어려움. 중국, 일본 어느 한 나라가 모두 개발 할 수는 없음. 따라서
우리나라가 개입할 여지가 많음.
라. 가스관/성유관 확보와 같은 우리에게 유익하지만 러시아가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사업만 추진할 것이 아니라, 일본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에너지 분야와 함께
극동지역에 우리 기업/자본 진출과 같은 다면적인 관계를 맺어 에너지 수급을
확보하고, 동북아에 영향력 확대를 원하는 러시아에 지분을 확보해야함.
※ 참고 문헌
1. 도현재(2005). 동북아 에너지 협력 연구 - 러시아의 석유·가스 수출전략과 대응방안
연구.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 연구원
2. 심상렬(2005). 러시아 시베리아·극동자원개발 실태 및 우리의 진출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3. 윤성학(2008). 러시아 에너지가 대한민국을 바꾼다. 뿌쉬낀하우스
4. 정한구(2004). 동북아시아 ‘에너지 안보’와 러시아. 세종연구소
동북아시아에서 러시아가 주요 당사자로 나섬.
나. 러시아는 중국과 일본을 상호 견제하며 동시에 지역발전을 이룩하려는 구도를 가짐
다. 러시아의 동시베리아/극동지역은 광대하며 극도의 저개발 상황이라서 개발문제를 특정
국가가 독점하기 어려움. 중국, 일본 어느 한 나라가 모두 개발 할 수는 없음. 따라서
우리나라가 개입할 여지가 많음.
라. 가스관/성유관 확보와 같은 우리에게 유익하지만 러시아가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사업만 추진할 것이 아니라, 일본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에너지 분야와 함께
극동지역에 우리 기업/자본 진출과 같은 다면적인 관계를 맺어 에너지 수급을
확보하고, 동북아에 영향력 확대를 원하는 러시아에 지분을 확보해야함.
※ 참고 문헌
1. 도현재(2005). 동북아 에너지 협력 연구 - 러시아의 석유·가스 수출전략과 대응방안
연구.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 연구원
2. 심상렬(2005). 러시아 시베리아·극동자원개발 실태 및 우리의 진출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3. 윤성학(2008). 러시아 에너지가 대한민국을 바꾼다. 뿌쉬낀하우스
4. 정한구(2004). 동북아시아 ‘에너지 안보’와 러시아. 세종연구소
추천자료
이라크 전쟁에 따른 세계 경제 흐름의 파급 효과
동북아 경제 공동체
21세기형 자원 강국이 되는 길
레닌의 혁명이론의 형성과 전개
브릭스 국가 ‘인도’의 유통산업, IT 산업에 대한 현황 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 전략
유가상승에 의한 우리나라 경제의 영향 및 파급효과 분석
브릭스[BRICs]
바이오 에너지
미래에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메탄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
에너지산업
기회의 땅, 아프리카
[현대정치이론 독후감] 이안 브레머(Ian Bremmer)의 <국가자본주의 (The Return of State Cap...
이슬람 문화와 예술 PPT전체내용 한글파일 정리본
한_러 자원외교,자원외교란 무엇인가,에너지 구조의 다변화,갭당 난방비 절감의 효과,자원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