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개요
Ⅱ.STP란?
1.시장세분화
1)시장세분화의 의의
2)시장세분화의 전제조건
3)시장세분화의 과정
4)시장세분화의 기준
2.시장표적화
1)표적시장의 선정
3.포지셔닝
1)포지셔닝의 개념 및 중요성
2)포지셔닝 전략 수행과정
Ⅲ.기업의 시장세분화 전략
1.기업소개
1)회사소개
2)경영이념 및 철학
2.시장세분화의 배경
1)국내휴대폰 시장현황
3.제품의 소개
1)애니콜이란?
2)애니콜의 역사
3)애니콜의 시장세분화 전략
4.신문으로 보는 경쟁기업
Ⅳ.마케팅믹스 전략
Ⅴ.느낀 점
참고문헌.
Ⅱ.STP란?
1.시장세분화
1)시장세분화의 의의
2)시장세분화의 전제조건
3)시장세분화의 과정
4)시장세분화의 기준
2.시장표적화
1)표적시장의 선정
3.포지셔닝
1)포지셔닝의 개념 및 중요성
2)포지셔닝 전략 수행과정
Ⅲ.기업의 시장세분화 전략
1.기업소개
1)회사소개
2)경영이념 및 철학
2.시장세분화의 배경
1)국내휴대폰 시장현황
3.제품의 소개
1)애니콜이란?
2)애니콜의 역사
3)애니콜의 시장세분화 전략
4.신문으로 보는 경쟁기업
Ⅳ.마케팅믹스 전략
Ⅴ.느낀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았다. 삼성은 곧바로 브랜드 이미지를 파란색 타원형으로 바꾸었고, 깨끗한 이미지와 결부되어 매출액의 증가로 이어지게 하였다. 삼성전자에는 현재 400여명의 디자이너들이 기존 상품에 대한 디자인 개발 뿐 아니라 UI(User Interface), 사운드, 컬러, 소재 등 감성디자인 등의 선행연구 활동도 펼쳐 나가고 있다. 이미 유럽 최고 권위 IF 디자인에서 휴대폰, 신 개념 리모컨 등 8개 제품에 선정된바 있으며, 이는 감성디자인 등 선행 연구와 5개 해외 디자인 연구소 운영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이었다. 삼성의 E700 모델이 지난해 미국 크리스마스 최고 선물로 뽑힌 것은 깔끔한 디자인과 돌아가는 액정이 큰 몫을 하였다. 세계 사람들의 기호의 맞춰서 상품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셋째, 애니콜은 브랜드 강화전략을 펼쳐왔다. 애니콜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리더십 확보, 차별화한 마케팅, 브랜드 관리 등을 핵심전략으로 삼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가장 먼저 개발하여 출시하고 고가격 전략을 유지하는 것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애니콜은 별도의 브랜드 전략그룹을 통해 전사적인 브랜드 관리와 전략을 총괄하고 사업부, 지역별로 브랜드 전담인원을 배치해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2) 가격(Price)
애니콜은 고가격 전략을 펼쳐왔다. 상대적 고가전략은 자사제품의 가격을 겅쟁제품의 가격보다 높게 책정하는 전략으로 자사의 제품이 독특하거나 명성이 높은 기업일 경우에 사용 가능한 전락이다.
애니콜은 저가의 브랜드 일수록 고객들에게 어필될 수 있는 기회는 적어지게 된다. 이점을 삼성은 일찍이 간파하였다. 고객에게 싼 가격은 큰 매력을 주지만, 구매 후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는 실망으로 보답할 뿐이었기 때문에 삼성은 이미지 구축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고급 브랜드 이미지" 와 함께 휴대폰 기술력이 뒷받침 된 애니콜은 성능 면에서 디자인에서 고가의 브랜드로 다시 태어나기 시작했고, 매출은 노키아에 이어 2번째로 올라서는 쾌거를 이룩했다.
애니콜이 처음 휴대폰 시장에 진입하던 시기에 애니콜은 휴대폰 보급화를 위해 20%이상의 파격적 제품가격 인하를 단행하고 할부판매를 실시한 결과 95년도 하반기에 시장점유율이 상승하기 시작하였고 그 후부터 애니콜은 고가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모토로라에 대해 경쟁적 열위에 있었을 때에도 가격은 모토로라와 비슷한 위치에 포지셔닝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모토로라와 동급의 제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 후에 시장점유율이 1위에 오르고부터는 최고의 품질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가전략이 효과적이라는 판단 아래 경쟁사 대비 15~20만 원 이상의 고가전략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고가전략이 성공한 것은 핸드폰은 이미지를 중시하는 전 문품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가격에 의해 제품 품질을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전략은 애니콜이라는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최고의 품질, 업계를 선도하는 브랜드라고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3) 유통(Place)
유통전략도 애니콜 신화창조의 일등공신이다. 삼성전자는 휴대폰 사업 이전부터 PC, 전화기, 팩스 기타 가전제품을 판매하면서 이미 형성된 유통망이 있었기 때문에 유통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애니콜 브랜드의 최대 노출을 꾀하고, 애니콜 클럽 점을 집중 육성하여 매출기반을 조성하고, 중, 대형대리점을 결속시키기 위해 년 3회 이상 신제품 발표회, 결속의 장을 마련하는 등 유통 취급도의 획기적 신장을 위한 적극적 유통전략을 전개해 나갔다. 애니콜 전용유통체계인 애니콜 프라자도 운영하면서 애니콜 제품판매와 함께 신 모델 전시, 서비스 등을 강화하여 고객만족을 통해 매출증대를 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애니콜 플라자는 전국 주요대도시 핵심 상권(신촌, 강남, 은행동, 남포동, 충장로 등)에 출점하여 제품판매와 더불어 브랜드 로열티 강화에 주력하였다. 그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고객접점확대의 애니콜 서비스 거점으로 삼성 서비스 센터, 애니콜 전문 서비스센터, 애니콜 플라자 유통(리빙 플라자)내에 애니콜 판매점을 입점 시켜 유통의 다각화도 꾀하였다. 이러한 다각적인 유통망의 결속을 위해 판매점들 간의 애니콜 가족화작업도 추진되었다.
전략적인 유통망의 확대와 유통점간의 결속은 애니콜 브랜드의 시장 침투를 효과적으로 극대화하는 게 크게 기여하였다.
(4) 촉진(Promotion)
첫째, 애니콜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촉진활동을 하고 있다. 휴대폰의 최대 수요자인 네티즌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애니콜 랜드” 오픈한 이래, 월 300만 네티즌 접속하는데, 이는 제조사 홈페이지 접속 건수로는 국내 최고 기록이다. 복합화 되는 휴대폰에 대한 관심이 높은 네티즌 세대를 겨냥하여 국내 최초로 시작한 애니콜 홈페이지 사이버 마케팅은 제품 정보 제공뿐 아니라, 네티즌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애니콜 홈페이지의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흡수할 뿐 아니라, 수요 트랜드 조사 분석의 창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애니콜 랜드”에는 음악이나 게임등 을 받을 수 있게 되어있으며 애니클럽이라 하여 유명연예인들이 나오는 광고를 볼 수 있고 그 춤을 배울 수 있게 하는 등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 제품을 선전하고 있다.
둘째, 지역 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있다. 다양한 애니콜 단말기를 한눈에 비교 구입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사업자의 요금 및 부가 서비스 비교 및 가입이 용이하고 휴대폰 액세서리 구입 및 휴대폰 고장 발생 시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A/S를 받을 수 있는 애니콜 전문매장인 애니콜 플라자를 운영하고 있다.
셋째,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 애니콜은 애니콜 제품을 구입한 고객들을 위해 고객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신촌, 명동, 종로와 같은 지역에 직접 나가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고객들은 이런 서비스 직원들을 만나는 길가 어디에서나 애니콜의 차별화된 서비스,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맛볼 수 있다.
Ⅴ.느낀 점
셋째, 애니콜은 브랜드 강화전략을 펼쳐왔다. 애니콜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리더십 확보, 차별화한 마케팅, 브랜드 관리 등을 핵심전략으로 삼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가장 먼저 개발하여 출시하고 고가격 전략을 유지하는 것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애니콜은 별도의 브랜드 전략그룹을 통해 전사적인 브랜드 관리와 전략을 총괄하고 사업부, 지역별로 브랜드 전담인원을 배치해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2) 가격(Price)
애니콜은 고가격 전략을 펼쳐왔다. 상대적 고가전략은 자사제품의 가격을 겅쟁제품의 가격보다 높게 책정하는 전략으로 자사의 제품이 독특하거나 명성이 높은 기업일 경우에 사용 가능한 전락이다.
애니콜은 저가의 브랜드 일수록 고객들에게 어필될 수 있는 기회는 적어지게 된다. 이점을 삼성은 일찍이 간파하였다. 고객에게 싼 가격은 큰 매력을 주지만, 구매 후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는 실망으로 보답할 뿐이었기 때문에 삼성은 이미지 구축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고급 브랜드 이미지" 와 함께 휴대폰 기술력이 뒷받침 된 애니콜은 성능 면에서 디자인에서 고가의 브랜드로 다시 태어나기 시작했고, 매출은 노키아에 이어 2번째로 올라서는 쾌거를 이룩했다.
애니콜이 처음 휴대폰 시장에 진입하던 시기에 애니콜은 휴대폰 보급화를 위해 20%이상의 파격적 제품가격 인하를 단행하고 할부판매를 실시한 결과 95년도 하반기에 시장점유율이 상승하기 시작하였고 그 후부터 애니콜은 고가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모토로라에 대해 경쟁적 열위에 있었을 때에도 가격은 모토로라와 비슷한 위치에 포지셔닝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모토로라와 동급의 제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 후에 시장점유율이 1위에 오르고부터는 최고의 품질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가전략이 효과적이라는 판단 아래 경쟁사 대비 15~20만 원 이상의 고가전략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고가전략이 성공한 것은 핸드폰은 이미지를 중시하는 전 문품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가격에 의해 제품 품질을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전략은 애니콜이라는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최고의 품질, 업계를 선도하는 브랜드라고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3) 유통(Place)
유통전략도 애니콜 신화창조의 일등공신이다. 삼성전자는 휴대폰 사업 이전부터 PC, 전화기, 팩스 기타 가전제품을 판매하면서 이미 형성된 유통망이 있었기 때문에 유통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애니콜 브랜드의 최대 노출을 꾀하고, 애니콜 클럽 점을 집중 육성하여 매출기반을 조성하고, 중, 대형대리점을 결속시키기 위해 년 3회 이상 신제품 발표회, 결속의 장을 마련하는 등 유통 취급도의 획기적 신장을 위한 적극적 유통전략을 전개해 나갔다. 애니콜 전용유통체계인 애니콜 프라자도 운영하면서 애니콜 제품판매와 함께 신 모델 전시, 서비스 등을 강화하여 고객만족을 통해 매출증대를 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애니콜 플라자는 전국 주요대도시 핵심 상권(신촌, 강남, 은행동, 남포동, 충장로 등)에 출점하여 제품판매와 더불어 브랜드 로열티 강화에 주력하였다. 그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고객접점확대의 애니콜 서비스 거점으로 삼성 서비스 센터, 애니콜 전문 서비스센터, 애니콜 플라자 유통(리빙 플라자)내에 애니콜 판매점을 입점 시켜 유통의 다각화도 꾀하였다. 이러한 다각적인 유통망의 결속을 위해 판매점들 간의 애니콜 가족화작업도 추진되었다.
전략적인 유통망의 확대와 유통점간의 결속은 애니콜 브랜드의 시장 침투를 효과적으로 극대화하는 게 크게 기여하였다.
(4) 촉진(Promotion)
첫째, 애니콜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촉진활동을 하고 있다. 휴대폰의 최대 수요자인 네티즌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애니콜 랜드” 오픈한 이래, 월 300만 네티즌 접속하는데, 이는 제조사 홈페이지 접속 건수로는 국내 최고 기록이다. 복합화 되는 휴대폰에 대한 관심이 높은 네티즌 세대를 겨냥하여 국내 최초로 시작한 애니콜 홈페이지 사이버 마케팅은 제품 정보 제공뿐 아니라, 네티즌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애니콜 홈페이지의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흡수할 뿐 아니라, 수요 트랜드 조사 분석의 창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애니콜 랜드”에는 음악이나 게임등 을 받을 수 있게 되어있으며 애니클럽이라 하여 유명연예인들이 나오는 광고를 볼 수 있고 그 춤을 배울 수 있게 하는 등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 제품을 선전하고 있다.
둘째, 지역 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있다. 다양한 애니콜 단말기를 한눈에 비교 구입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사업자의 요금 및 부가 서비스 비교 및 가입이 용이하고 휴대폰 액세서리 구입 및 휴대폰 고장 발생 시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A/S를 받을 수 있는 애니콜 전문매장인 애니콜 플라자를 운영하고 있다.
셋째,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 애니콜은 애니콜 제품을 구입한 고객들을 위해 고객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신촌, 명동, 종로와 같은 지역에 직접 나가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고객들은 이런 서비스 직원들을 만나는 길가 어디에서나 애니콜의 차별화된 서비스,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맛볼 수 있다.
Ⅴ.느낀 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