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서 론
-세 균
-세균의 분류
-세균의 형태에 따른 구분
-대표적인 구균과 그 질병
-염색법
-염색시약
-유침의 기능
-이명법
4.실험도구 및 재료
5.실험방법
6.결과
7.고찰
8.참고문헌
2. 실험목적
3. 서 론
-세 균
-세균의 분류
-세균의 형태에 따른 구분
-대표적인 구균과 그 질병
-염색법
-염색시약
-유침의 기능
-이명법
4.실험도구 및 재료
5.실험방법
6.결과
7.고찰
8.참고문헌
본문내용
슬라이드 글라스와 대물렌즈 사이의 공간에 떨어뜨려 채워주면 빛이 산란되지 않고 모두 대물렌즈 사시의 공간에 떨어뜨려 채워주면 빛이 산란되지 않고 모두 대물렌즈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시야는 더욱 밝아지고 상이 분명해진다.
3-4 이명법
이명법은 오늘날 생물학에서 보편적으로 채택되어 있다. 이 체계를 사용하여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같은 이름으로 같은 생물체를 지칭한다. 린네는 각 종에 하는 종 자신을 동정하고 다른 하나는 그것이 속하는 속을 나타내는 두 개의 이름을 부여하였다. 속(genus)은 밀접히 연관된 종들의 집단이다. 많은 경우에 종의 이름 끝에 처음 명명한 분류학자의 이름이 붙여진다. 따라서 Homo sapiens Linnaeus가 현생 인간 종의 이름이다. Homo는 종이 속하는 속이고, sapiens는 종을 지칭한다. Linnaeus가 종명 sapiens를 제안하였다. 속명인 Homo는 성에 해당하고 종명인 sapiens는 이름에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속명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하지만 종명은 항상 소문자로 시작한다.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지만 일반명은 그렇지 않다.
한 속에서 각각을 지칭하지 않은 채 두 종 이상의 이름을 지칭하고자 할 때는 속명 다음에‘spp.’라는 약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Drosopbila spp.' 는 Drosopbila 속의 두 종 이상을 의미한다.) 종명을 확실히 동정할 수 없을 때는 속명 다음에 약자 'sp.'한번만 쓰고 그 이후에는 첫 자만 줄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E coli는 Escbericbia coli의 생략형이다.)
4.실험도구 및 재료
-현미경, 배지에 배양된 세균 (구균, 간균, 나선균), 백금이, 슬라이드글라스, 커버글라스, 알코올램프, Immersion oil, 렌즈페이퍼, 염색시약(Crystal violet), 자일렌
5.실험방법
①. 세균이 배양된 배지를 준비한다.
②. 알코올램프에 불을 켠 후 백금이를 멸균한다.
③. 백금이로 배양된 각각의 세균을 살짝 컷팅하여 슬라이드글라스위에 얇게 도말한다.
④.각각의 세균이 도말된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염색시약인 Crystal violet을 1방울씩 떨어뜨리고 약 30초에서 1분정도 염색한다.
⑤.시간이 지나면 염색된 균을 흐르는 물에 살짝 수세한다.
⑥.수세한 슬라이드 글라스의 물기를 살짝 제거한 후 커버글라스를 덮고 재물대위에 고정시킨다.
⑦.각 각의 배율에 따라 대물렌즈를 바꿔가며 상을 관찰한다. 필요에 따라 (상이 어두울 경우) Immersion oil을 사용한다.
⑧.관찰이 끝난 후 Immersion oil을 사용한 렌즈는 자일렌과 렌즈페이퍼를 이용하여 대물렌즈를 닦아준다.
<실험 과정 사진>
*실험 시 유의사항
-가열된 백금이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백금이로 균을 컷팅 할 때 가열된 백금이가 균을 죽게 하지 않도록 배지에서 균이 배양되지 않은 쪽에 백금이를 살짝 눌러 백금이를 식힌다.
-염색된 슬라이드글라스를 수세 할 때에는 흐르는 물에 균이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슬라이드 글라스를 기울여 간접적으로 수세한다.
-실험이 끝난 후 대물렌즈를 닦을 때는 대물렌즈에 임의로 휴지나 다른 종이를 이용하지 않고 반드시 지정된 렌즈페이퍼를 사용한다.
6. 실험결과
-간균
-구균
7.고찰
이번실험은 세균의 형태를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교수님께서 준비하신 균은 둥근 구형을 하고 있는 구균, 막대형 모양의 간균, 나선모양의 나선균이었다. 구균의 대표적인 예로는 서론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taphylococcus aureus 와 Streptococcus pyogenes 그리고 간균의 예로는 E. coil, 마지막으로 나선균의 예로는 매독을 일이키는 Treponema pallidum 등이 있다. 관찰시 우리 조에서는 구균과 간균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염색되지 않은 미생물 빛을 투과하는 특성 때문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관찰시 염색을 하게 되는데 우리가 이번에 사용한 염색시약은 Crystal violet이었다. Crystal violet은 아세트산카민이나 메틸렌블루에 비해 비교적 염색시간이 짧은 염색시약이다. 우선 가장 쉽게 관찰 할 수 있었던 간균은 막대형의 긴 타원체 모양으로 염색 시 남아있던 물기로 움직이는 모습(물에 흐르는...) 또한 볼 수 있었다. 비교적 도말이 잘된 부분에서 주위와 떨어져있는 균 또한 발견되어 그 모양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균의 경우에는 도말이나 상을 잡을 때 잘 되지 않아 제대로 된 상을 잡을 수 없었다. 수업이 끝나기 직전 상을 잡긴 했으나 프레파라트를 만든 지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 찌그러진 상 밖에 얻을 수 없었다. 아마 주위 수분에 의한 영향이라 생각된다. 아쉽게도 나선균의 상은 찾을 수 없었는데 나선균은 양 끝에 채찍 모양의 편모다발과 운동성을 가지고 있다는 미생물학적 특징이 있다. 구균과 간균은 지난 1학기 때 관찰을 해보았지만 나선균은 관찰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이번실험에서 관찰하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웠다. 특히나 나선균은 구균과 간균, 두 균에 비해 크기나 모양에서 많은 다른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더욱 아쉬웠다. 또한 구균을 관찰했을 때는 1000배율에서 다른 배율에 비해 렌즈 면이 작아져 시야가 어두워 Immersion oil을 사용해서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었다.
지난학기에도 많이 사용한 현미경이었지만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더 잘해야겠다는 욕심 때문에 급하게 사용 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실험을 통해 세균의 분류와 그에 따른 질병, 염색법과 그 원리 등을 다시금 되살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8. 참고문헌
*미생물학 제6판. 라이프사이언스. PRESCOTT. 40p, 486~487p
*환경미생물학. 동화기술. 송홍규. 오계현. 2007.9.17 발행. 123~125p
*생명과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김주필 외 지음. 2007.8.1 발행. 47p
*일반미생물학. 유한문화사. 김창한 외 지음. 2007.11.24 발행. 146p
*생물공학. 유한문화사. 고정삼 외 지음. 2006. 3. 23 발행. 65p
3-4 이명법
이명법은 오늘날 생물학에서 보편적으로 채택되어 있다. 이 체계를 사용하여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같은 이름으로 같은 생물체를 지칭한다. 린네는 각 종에 하는 종 자신을 동정하고 다른 하나는 그것이 속하는 속을 나타내는 두 개의 이름을 부여하였다. 속(genus)은 밀접히 연관된 종들의 집단이다. 많은 경우에 종의 이름 끝에 처음 명명한 분류학자의 이름이 붙여진다. 따라서 Homo sapiens Linnaeus가 현생 인간 종의 이름이다. Homo는 종이 속하는 속이고, sapiens는 종을 지칭한다. Linnaeus가 종명 sapiens를 제안하였다. 속명인 Homo는 성에 해당하고 종명인 sapiens는 이름에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속명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하지만 종명은 항상 소문자로 시작한다. 속명과 종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지만 일반명은 그렇지 않다.
한 속에서 각각을 지칭하지 않은 채 두 종 이상의 이름을 지칭하고자 할 때는 속명 다음에‘spp.’라는 약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Drosopbila spp.' 는 Drosopbila 속의 두 종 이상을 의미한다.) 종명을 확실히 동정할 수 없을 때는 속명 다음에 약자 'sp.'한번만 쓰고 그 이후에는 첫 자만 줄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E coli는 Escbericbia coli의 생략형이다.)
4.실험도구 및 재료
-현미경, 배지에 배양된 세균 (구균, 간균, 나선균), 백금이, 슬라이드글라스, 커버글라스, 알코올램프, Immersion oil, 렌즈페이퍼, 염색시약(Crystal violet), 자일렌
5.실험방법
①. 세균이 배양된 배지를 준비한다.
②. 알코올램프에 불을 켠 후 백금이를 멸균한다.
③. 백금이로 배양된 각각의 세균을 살짝 컷팅하여 슬라이드글라스위에 얇게 도말한다.
④.각각의 세균이 도말된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염색시약인 Crystal violet을 1방울씩 떨어뜨리고 약 30초에서 1분정도 염색한다.
⑤.시간이 지나면 염색된 균을 흐르는 물에 살짝 수세한다.
⑥.수세한 슬라이드 글라스의 물기를 살짝 제거한 후 커버글라스를 덮고 재물대위에 고정시킨다.
⑦.각 각의 배율에 따라 대물렌즈를 바꿔가며 상을 관찰한다. 필요에 따라 (상이 어두울 경우) Immersion oil을 사용한다.
⑧.관찰이 끝난 후 Immersion oil을 사용한 렌즈는 자일렌과 렌즈페이퍼를 이용하여 대물렌즈를 닦아준다.
<실험 과정 사진>
*실험 시 유의사항
-가열된 백금이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백금이로 균을 컷팅 할 때 가열된 백금이가 균을 죽게 하지 않도록 배지에서 균이 배양되지 않은 쪽에 백금이를 살짝 눌러 백금이를 식힌다.
-염색된 슬라이드글라스를 수세 할 때에는 흐르는 물에 균이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슬라이드 글라스를 기울여 간접적으로 수세한다.
-실험이 끝난 후 대물렌즈를 닦을 때는 대물렌즈에 임의로 휴지나 다른 종이를 이용하지 않고 반드시 지정된 렌즈페이퍼를 사용한다.
6. 실험결과
-간균
-구균
7.고찰
이번실험은 세균의 형태를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교수님께서 준비하신 균은 둥근 구형을 하고 있는 구균, 막대형 모양의 간균, 나선모양의 나선균이었다. 구균의 대표적인 예로는 서론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taphylococcus aureus 와 Streptococcus pyogenes 그리고 간균의 예로는 E. coil, 마지막으로 나선균의 예로는 매독을 일이키는 Treponema pallidum 등이 있다. 관찰시 우리 조에서는 구균과 간균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염색되지 않은 미생물 빛을 투과하는 특성 때문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관찰시 염색을 하게 되는데 우리가 이번에 사용한 염색시약은 Crystal violet이었다. Crystal violet은 아세트산카민이나 메틸렌블루에 비해 비교적 염색시간이 짧은 염색시약이다. 우선 가장 쉽게 관찰 할 수 있었던 간균은 막대형의 긴 타원체 모양으로 염색 시 남아있던 물기로 움직이는 모습(물에 흐르는...) 또한 볼 수 있었다. 비교적 도말이 잘된 부분에서 주위와 떨어져있는 균 또한 발견되어 그 모양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균의 경우에는 도말이나 상을 잡을 때 잘 되지 않아 제대로 된 상을 잡을 수 없었다. 수업이 끝나기 직전 상을 잡긴 했으나 프레파라트를 만든 지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 찌그러진 상 밖에 얻을 수 없었다. 아마 주위 수분에 의한 영향이라 생각된다. 아쉽게도 나선균의 상은 찾을 수 없었는데 나선균은 양 끝에 채찍 모양의 편모다발과 운동성을 가지고 있다는 미생물학적 특징이 있다. 구균과 간균은 지난 1학기 때 관찰을 해보았지만 나선균은 관찰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이번실험에서 관찰하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웠다. 특히나 나선균은 구균과 간균, 두 균에 비해 크기나 모양에서 많은 다른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더욱 아쉬웠다. 또한 구균을 관찰했을 때는 1000배율에서 다른 배율에 비해 렌즈 면이 작아져 시야가 어두워 Immersion oil을 사용해서 보다 밝고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었다.
지난학기에도 많이 사용한 현미경이었지만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더 잘해야겠다는 욕심 때문에 급하게 사용 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실험을 통해 세균의 분류와 그에 따른 질병, 염색법과 그 원리 등을 다시금 되살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8. 참고문헌
*미생물학 제6판. 라이프사이언스. PRESCOTT. 40p, 486~487p
*환경미생물학. 동화기술. 송홍규. 오계현. 2007.9.17 발행. 123~125p
*생명과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김주필 외 지음. 2007.8.1 발행. 47p
*일반미생물학. 유한문화사. 김창한 외 지음. 2007.11.24 발행. 146p
*생물공학. 유한문화사. 고정삼 외 지음. 2006. 3. 23 발행. 65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