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과(교육, 수업) 게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업) 듣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업) 읽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수업) 말하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수업) 노래학습지도, 영어과 총체적학습지도, 문형학습지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과(교육, 수업) 게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업) 듣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업) 읽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수업) 말하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수업) 노래학습지도, 영어과 총체적학습지도, 문형학습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어과(교육, 수업) 게임학습지도

Ⅱ. 영어과(교육, 수업) 듣기학습지도
1. 보고 듣기(Look and listen)
2. 듣고 따라 하기(Listen and repeat)
3. 듣고 행하기(Listen and do)
4. 듣고 그리기(Listen and draw)
5. 듣고 특정 정보 찾기(Listen for information)
6. 이야기 듣기(Listen to a story)

Ⅲ. 영어과(교육, 수업) 읽기학습지도

Ⅳ. 영어과(교육, 수업) 말하기학습지도
1. 새로운 언어의 제시(Presentation)
2. 통제적 말하기 연습(Controlled practice)
3. 유도적 말하기 연습(Guided practice)
4. 자유 말하기 연습(Free production)

Ⅴ. 영어과(교육, 수업) 노래학습지도

Ⅵ. 영어과(교육, 수업) 총체적학습지도

Ⅶ. 영어과(교육, 수업) 문형학습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말하기 지도는 처음에는 어느 정도 통제된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단계에서 학생이 발화하는 것은 교사의 말을 반복하거나 교과서에 제시된 말을 다시 해 보는 정도일 것이다. 이 때는 정확성을 중시하는 연습의 단계이므로 학생들이 실수를 하면 수정해 주어야 한다. 그 다음 좀더 자유롭게 학생들 스스로의 생각을 말해 보게 하는 단계에서는 언어의 정확성보다는 의미 전달의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말하는 것을 즐길 수 있도록, 즉 지겨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Ⅴ. 영어과(교육, 수업) 노래학습지도
영어학습에서 아동활동 중심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자료 중에서 노래가 있다. 노래는 흥겨운 멜로디를 통해 학습에 대한 아동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는 심리적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 내용의 유의적 반복활동을 통해 다양한 언어요소(어휘, 구문, 발음, 강세, 리듬, 억양 등)를 연습하고 교정하는 데에 유용하다. 이처럼 노래는 그 교육적 효과가 인정됨에 따라 언어지도의 훌륭한 보조 수단이 되고 있다.
영어학습에서 노래가 지니는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노래는 음성적 구조면(소리의 연속체, 운율등)이나 지각적 요소면(리듬, 고저 등)에서 언어가 지니고 있는 것과 공통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② 노래는 음악적 요소(멜로디)와 의사소통적 요소(가사)를 모두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즐겁게 언어학습을 시킬 수 있다.
③노래를 통한 음악능력의 발달은 학습성취도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
Ⅵ. 영어과(교육, 수업) 총체적학습지도
. 언어습득의 4가지 요소인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가 따로 학습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긴밀한 상호 의존적이며 연관 관계를 맺고 함께 학습된다.
. 학습은 전체로부터 부분으로 진행한다.
- 학습자들은 큰 그림을 먼저 볼 수 있어야 한다. 주제를 중심으로 언어를 가르치는 것은 전체로부터 부분으로 옮겨가는 데 도움을 준다. 제 2언어 학습자들은 그들이 제 2언어를 배우면서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 지 목적을 알 필요가 있다.
. 수업은 학습자 중심이다.(learner - centered)
- 수업은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것으로부터 시작되고, 활동들은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끼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학습자의 권한을 부여하자.
- 수업은 학습자들을 위한 의미와 목적이 분명하여야 하며 학습자들은 자신이 배울 것을 선택할 수 있어야하고, 그들이 배운 것을 교실 안에서뿐만 아니라 교실 밖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룹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서로 생각을 나누면서 언어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동심을 배운다.
. 교실 안과 밖에서의 학습이 다르지 않다.
. 제 2언어 습득은 모국어가 바탕이 된다.
- 모국어에서 학습된 인지 능력의 완전한 발달은 제 2언어 발달을 촉진시킨다.
. 신문이나 메뉴판, 표지판, 타 교과의 내용은 좋은 언어 모델이 된다.
. 언어의 목적은 의미 창출에 있다.
. 오감을 이용한 활동적 학습 활동
- TPR, Game Activities
Ⅶ. 영어과(교육, 수업) 문형학습지도
문형연습(Pattern Drills)은 문장의 문법적 구조를 집중적인 구술훈련을 통해서 익히기 위한 지도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교사의 설명을 최소한하고 학생의 연습기회를 최대한으로 하는 한다. 이 문형연습을 통해서 모든 학생들이 문법형태를 문법이라고 명시화하지 않지만 자연스럽게 내재화(internalise)할 수 있고 언어에 대한 통찰력(insights)을 갖게 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어떤 틀을 계속 연습하면 자동적으로 습관이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연습이 문형연습이다.
따라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문법수업은 학습할 구조적 문형의 특성을 설명하는 문법규칙들과 학생들에게 언어발표의 최대의 연습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계적 단계에서부터 의사 전달적 단계로의 일련의 반복 연습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형연습을 통한 기능어 지도에 가장 적합한 귀납적 교수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청화교수법(Audio-Lingual)을 제안한다. 귀납적 교수방법은 가르치고자 하는 구조나 문형을 먼저 제시하고 연습을 통해 일반화시키는 것으로 이 방법은 규칙적인 문법의 문형을 지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정정섭은 청화교수법은 언어 및 그 지도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말한다.
① 언어는 말이며, 글이 아니다.
② 언어는 일련의 습관이다.
③ 언어에 관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를 가르쳐라.
④ 언어는 원어민이 실제로 말하는 그대로일 뿐이며 누군가가 그렇게 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⑤ 언어는 서로 다르다.
이상의 원리 속에서 언어는 습관이며 반복적인 연습에 의해서 습득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언어는 규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구두의 문형연습을 통해서 구문을 익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문형연습의 유형에는 반복연습, 식별연습, 교체연습, 응답 등의 방법이 있다(Paulston, C. B & Bruder, M, N 1976:11)
이 방법은 아동들이 이해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며 아동의 개인차에 따라 이해가 빠른 아동에게는 지루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규칙에만 한정되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구두어를 중심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영어지도에서는 아동 스스로 문법규칙을 이끌어낼 수 있는 청화교수법이 가장 적당하다고 하겠다. 청화교수법의 수업방식은 먼저 교사가 학습할 문형을 제시하고 연습을 통해 익숙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연습유형을 선택,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성환 옮김, 어휘접근법과 영어교육, 서울 : 한국문화사, 2002
박성범, 총체적언어학습, 서울 : 우리교육, 1995
박인숙, 영어 듣기 지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1991
박원, 영어 교육학, 인천 : 인하대 출판부, 1996
신은실, 듣기와 말하기에 관한 효율적인 영어교수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1992
최신영, 효과적인 지도방법으로서 노래와 챈트에 관한 연구, 2002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4.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