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복음주의의 의미
Ⅱ. 복음주의의 흐름
Ⅲ. 복음주의의 특징
1. 근본주의 비판(역사성 결여, 문서운동 결여, 분리정책), 협력적 전도로 나아감
2. 성경무오의 신앙
3. 과학과 성경의 조화를 위해 노력
Ⅳ. 신복음주의의 의미
Ⅴ. 신복음주의의 특징
Ⅵ. 신복음주의와 근본주의
Ⅶ. 신복음주의의 문제점
참고문헌
Ⅱ. 복음주의의 흐름
Ⅲ. 복음주의의 특징
1. 근본주의 비판(역사성 결여, 문서운동 결여, 분리정책), 협력적 전도로 나아감
2. 성경무오의 신앙
3. 과학과 성경의 조화를 위해 노력
Ⅳ. 신복음주의의 의미
Ⅴ. 신복음주의의 특징
Ⅵ. 신복음주의와 근본주의
Ⅶ. 신복음주의의 문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무비판적인 정치적 보수주의 등이다. 근본주의는 독특한 사회적 비전을 지닌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기독교 복음의 한 측면만 강조했다. 따라서 그것은 지나치게 내세 지향적이고, 반지성적이어서 교육받은 대중들의 흥미를 끌지 못했다.
신 복음주의의 출현은 이런 근본주의의 내적 분열, 반지성주의, 사회적 부 적절성 등에 대한 젊은 학자들의 비판과 항거였다. 근본주의에 대한 비판 그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이미 주류 교회와 학자들이 수 십 년 동안 그것을 비판하고 공격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비판은 근본주의 외부가 아닌, 내부로부터 온 것이라는 점에서 이전 것과 구분된다. 그것은 파괴적인 것이 아닌, 건설적 비판이었다. 그것은 근본주의에서 성장한 학자들이 근본주의 운동이 본래의 진로로부터 벗어났다고 평가하고, 그 방향을 재설정하려는 시도였다. 오켄가, 칼 헨리, 카넬(Edward John Carnel) 등을 중심으로 명문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한 젊은 학자들이 근본주의의 분리주의를 거부하고 주류 교회 내에 복음주의 신학의 활력을 회복시키는 운동을 전개했다. 그들은 종교개혁 주류의 입장을 회복하면서 세상을 긍정하고 문화를 포용하는 복음주의적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근본주의의 분열은 두 경쟁적 조직체의 출현으로 표면화되었다. 1941년 칼 맥킨타이어(Carl McIntire) 주도로 창립된 미국 교회협의회(the American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와 1942년 해롤드 오켄가(Harold John Ockenga)에 의해 조직된 전국 복음주의자 협회(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가 그것이다. 전자는 회원 자격으로 엄격한 분리주의와 교회 연방회의(the Federal Council of Churches)와의 단절을 요구했다. 반면, 후자는 교회 연방회의에 가입한 교단의 개인에게도 회원자격을 허락했으며, 그 회원에는 오순절파, 성결파, 침례파, 메노나이트파, 감리교도, 개혁교도들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그 회원 교단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군소 교단이었으며, 남 침례교, 루터교 미주리대회, 흑인교회와 같은 규모가 큰 보수교단은 가입하지 않았다.
전국 복음주의자 협회(NAE)의 초기 지도자들은 본질적으로 근본주의자였다. 근본주의자와 복음주의자가 갈라지게 된 결정적 사건은 1957년 빌리 그래함의 뉴욕집회였다. 그래함은 그 집회를 위해 뉴욕 교회 협의회의 후원을 받았다. 그것은 많은 근본주의자들에게 큰 충격이었다. 칼 헨리, 오켄가 등의 지도자들이 그래함과 제휴했다. 그들은 극단적 근본주의자로부터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해 신 복음적 또는 복음주의적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Ⅶ. 신복음주의의 문제점
1941년 맥킨타이어 박사가 NCC와 반대투쟁을 하기 위해 ACCC를 창설하였는데 이 때는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가 상관없이 근본주의신앙을 가지고 반대운동을 했다. 즉 자유주의 사상을 반대하는 자들이 합쳐서 NCC를 반대한 것이다. 그래서 칼빈주의적인 것은 아니지만 아주 좋고 건전한 근본적 교리의 성명서를 제정하고 또한 교회의 순결을 강조했다. 자유주의는 배교적 단체이니 거기서 성별해야 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성별해야 된다는 주장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마침내 그 사람들은 중간상태 즉 뜨뜻미지근한 상태에 빠져 사실상 자유주의를 반대하는데 미온적 태도를 취하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이들이 중심이 되어 N.A.E.가 시작되었다. 이들도 그들이 내세울 교리를 채택하였는데 A.C.C.C.보다는 조금 약한 내용을 받아들여 주장을 했다. A.C.C.C.는 완전영감설을 믿는다고 주장했으나 N.A.E.는 그저 영감을 믿는다고만 주장했고 A.C.C.C.는 성경의 정확 무오성을 믿는다고 주장했으나 N.A.E.는 성경의 권위를 믿는다고만 주장을 한 것이다. 그리고 A.C.C.C.는 교회의 순결성을 주장했으나 N.A.E.와 N.C.C.는 교회의 순결성에 관해서는 무관심하여 성명서도 발표치 않았다. 그 뿐 아니라 회원문제에 있어서는 W.C.C.의 회원인 동시에 N.A.E.의 회원도 될 수 있다는 이중적 태도를 취했다.
신복음주의란 무엇인가? 바로 이 N.A.E.에 속한 사람들이 가진 신앙사상을 말하는 것이다. 그들은 교리적으로는 다소 바른 근본적 교리를 가지고 있으나 그들의 생활태도는 영적 흑암과 타협하는 타협주의자들이며 애급에서 나와서 광야까지 오기는 했으나 다시 애급으로 돌아가려고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과 같은 자들이며 소돔 고모라에서 떠나기 싫어하는 롯의 아내 같은 자들이요 엘리야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까이 나아가 너희가 어느 때까지 두 사이에서 머뭇머뭇 하려느냐고 할 때 하나님 편도 아니고 바알편도 아닌 중간 위치에서 머뭇거리던 백성들과 같다고 정의할 수 있다. 신복음주의는 기회주의적인 생각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과 뜻을 먼저 생각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자기들의 눈에 유리한 것을 먼저 택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근본주의적 복음주의는 먼저 하나님의 말씀의 원칙에 기초하여 생각하고 그것을 준수하자는 주장을 내세운다. 미국 장로교 1936년에 법적으로 그리고 공식적으로 배도적 교회가 되었다고 본다. 1936년 전까지는 교단 안에 머물러 있으면서 교단을 구출할 가능성이 있었으나 1936년에 공식적으로 배도적 교회가 되었음으로 근본주의적 교회들은 거기서 따로 나와서 성별되어야 할 것을 주장했다.NAE에서는 이런 점에서 분명한 원리를 가지지 않고 혼돈을 하고 있음으로 중간노선에서 방황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명혁(2004), 복음주의와 한국교회,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목창균(2004), 복음주의와 경건주의,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마틴 로이드 존스(목사) 저, 이길상 역(2004),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복있는사람
◇ 박명수(1998), 근대 복음주의의 주요 흐름, 대한기독교서회
◇ 신경수 역(1996), 복음주의 조직 신학, 서울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알리스터 맥그래스 저, 김선일 역(2001), 복음주의와 기독교적 지성, IVP(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신 복음주의의 출현은 이런 근본주의의 내적 분열, 반지성주의, 사회적 부 적절성 등에 대한 젊은 학자들의 비판과 항거였다. 근본주의에 대한 비판 그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이미 주류 교회와 학자들이 수 십 년 동안 그것을 비판하고 공격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비판은 근본주의 외부가 아닌, 내부로부터 온 것이라는 점에서 이전 것과 구분된다. 그것은 파괴적인 것이 아닌, 건설적 비판이었다. 그것은 근본주의에서 성장한 학자들이 근본주의 운동이 본래의 진로로부터 벗어났다고 평가하고, 그 방향을 재설정하려는 시도였다. 오켄가, 칼 헨리, 카넬(Edward John Carnel) 등을 중심으로 명문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한 젊은 학자들이 근본주의의 분리주의를 거부하고 주류 교회 내에 복음주의 신학의 활력을 회복시키는 운동을 전개했다. 그들은 종교개혁 주류의 입장을 회복하면서 세상을 긍정하고 문화를 포용하는 복음주의적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
근본주의의 분열은 두 경쟁적 조직체의 출현으로 표면화되었다. 1941년 칼 맥킨타이어(Carl McIntire) 주도로 창립된 미국 교회협의회(the American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와 1942년 해롤드 오켄가(Harold John Ockenga)에 의해 조직된 전국 복음주의자 협회(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가 그것이다. 전자는 회원 자격으로 엄격한 분리주의와 교회 연방회의(the Federal Council of Churches)와의 단절을 요구했다. 반면, 후자는 교회 연방회의에 가입한 교단의 개인에게도 회원자격을 허락했으며, 그 회원에는 오순절파, 성결파, 침례파, 메노나이트파, 감리교도, 개혁교도들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그 회원 교단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군소 교단이었으며, 남 침례교, 루터교 미주리대회, 흑인교회와 같은 규모가 큰 보수교단은 가입하지 않았다.
전국 복음주의자 협회(NAE)의 초기 지도자들은 본질적으로 근본주의자였다. 근본주의자와 복음주의자가 갈라지게 된 결정적 사건은 1957년 빌리 그래함의 뉴욕집회였다. 그래함은 그 집회를 위해 뉴욕 교회 협의회의 후원을 받았다. 그것은 많은 근본주의자들에게 큰 충격이었다. 칼 헨리, 오켄가 등의 지도자들이 그래함과 제휴했다. 그들은 극단적 근본주의자로부터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해 신 복음적 또는 복음주의적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Ⅶ. 신복음주의의 문제점
1941년 맥킨타이어 박사가 NCC와 반대투쟁을 하기 위해 ACCC를 창설하였는데 이 때는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가 상관없이 근본주의신앙을 가지고 반대운동을 했다. 즉 자유주의 사상을 반대하는 자들이 합쳐서 NCC를 반대한 것이다. 그래서 칼빈주의적인 것은 아니지만 아주 좋고 건전한 근본적 교리의 성명서를 제정하고 또한 교회의 순결을 강조했다. 자유주의는 배교적 단체이니 거기서 성별해야 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성별해야 된다는 주장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마침내 그 사람들은 중간상태 즉 뜨뜻미지근한 상태에 빠져 사실상 자유주의를 반대하는데 미온적 태도를 취하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이들이 중심이 되어 N.A.E.가 시작되었다. 이들도 그들이 내세울 교리를 채택하였는데 A.C.C.C.보다는 조금 약한 내용을 받아들여 주장을 했다. A.C.C.C.는 완전영감설을 믿는다고 주장했으나 N.A.E.는 그저 영감을 믿는다고만 주장했고 A.C.C.C.는 성경의 정확 무오성을 믿는다고 주장했으나 N.A.E.는 성경의 권위를 믿는다고만 주장을 한 것이다. 그리고 A.C.C.C.는 교회의 순결성을 주장했으나 N.A.E.와 N.C.C.는 교회의 순결성에 관해서는 무관심하여 성명서도 발표치 않았다. 그 뿐 아니라 회원문제에 있어서는 W.C.C.의 회원인 동시에 N.A.E.의 회원도 될 수 있다는 이중적 태도를 취했다.
신복음주의란 무엇인가? 바로 이 N.A.E.에 속한 사람들이 가진 신앙사상을 말하는 것이다. 그들은 교리적으로는 다소 바른 근본적 교리를 가지고 있으나 그들의 생활태도는 영적 흑암과 타협하는 타협주의자들이며 애급에서 나와서 광야까지 오기는 했으나 다시 애급으로 돌아가려고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과 같은 자들이며 소돔 고모라에서 떠나기 싫어하는 롯의 아내 같은 자들이요 엘리야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까이 나아가 너희가 어느 때까지 두 사이에서 머뭇머뭇 하려느냐고 할 때 하나님 편도 아니고 바알편도 아닌 중간 위치에서 머뭇거리던 백성들과 같다고 정의할 수 있다. 신복음주의는 기회주의적인 생각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과 뜻을 먼저 생각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자기들의 눈에 유리한 것을 먼저 택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근본주의적 복음주의는 먼저 하나님의 말씀의 원칙에 기초하여 생각하고 그것을 준수하자는 주장을 내세운다. 미국 장로교 1936년에 법적으로 그리고 공식적으로 배도적 교회가 되었다고 본다. 1936년 전까지는 교단 안에 머물러 있으면서 교단을 구출할 가능성이 있었으나 1936년에 공식적으로 배도적 교회가 되었음으로 근본주의적 교회들은 거기서 따로 나와서 성별되어야 할 것을 주장했다.NAE에서는 이런 점에서 분명한 원리를 가지지 않고 혼돈을 하고 있음으로 중간노선에서 방황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명혁(2004), 복음주의와 한국교회,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 목창균(2004), 복음주의와 경건주의,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마틴 로이드 존스(목사) 저, 이길상 역(2004),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복있는사람
◇ 박명수(1998), 근대 복음주의의 주요 흐름, 대한기독교서회
◇ 신경수 역(1996), 복음주의 조직 신학, 서울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알리스터 맥그래스 저, 김선일 역(2001), 복음주의와 기독교적 지성, IVP(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