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과 북극의 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남극
1)남극의 위치와 크기
2)남극의 기후
3)지리적 탐험
4)남극조약
5)남극의 생물

2.북극
1)북극의 위치와 크기
2) 북극의 기후
3)북극의 주민과 개발
4)북극의 생물

3.극지방의 현상
1)백야
2)오로라

4.차이점

본문내용

터 모든 방향으로 내뿜는 이런 플라즈마의 흐름을 태양풍(solar wind)이라 하는데, 태양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대부분의 태양풍은 지구의 자기장 밖으로 흩어진다. 하지만 일부는 지구의 자기장에 끌려 반알렌대(Van Allen belt)라 불리는 영역에 붙잡힌다. 반알렌대는 조개 모양으로 지구 주위에 구부려져 있고 극쪽에서는 지표에 근접해서 구부려져 있다. 대기 속에서 공기 분자와 대전입자가 서로 충돌하면 기체 분자 내부의 전자가 여기(excitation)된다. 그리고 원래 상태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면서 빛을 방출한다.
<오로라 현상>
4.차이점
남극과 북극의 차이점은 북극의 얼음은 눈이 쌓인 것이 아니라, 온도가 낮아 바다가 얼어서 생긴 얼음이다. 이것을 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이라는 뜻의 해빙이라고 한다. 그리고 북극해의 겨울 평균 기온은 영하 3.도 정도이고, 여름에는 영상 10도 정도까지 상승한다. 북극은 남극에 비해서 기후 조건이 좋고 육지와 가까워서 수천 년 전부터 사람이 정착해 왔다.
북극이 바다인 것과 달리, 남극은 하나의 커다란 땅덩어리다. 그 크기는 한반도 땅덩어리의 60여 배가 넘는 거대한 대륙이다. 남극은 연평균 기온이 영하 20도 아래로, 몹시 춥다. 남극의 얼음은 거의 빙산과 같다. 남극의 얼음 중에는 높이가 무려 4000미터를 넘는 것도 있는데 반해 북극의 얼음이 10미터를 넘지 않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남극의 얼음이 이처럼 높고 두꺼운 것은 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이 아니라 땅위에 눈이 오랫동안 쌓여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남극이 남극해 즉,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고 해서 '섬'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남극은 전 세계 육지 면적의 9.2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대륙에 있는 일반적인 자연 요소들을 다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활화산, 온천, 지진, 지하자원 등이 아주 풍부하다. 반면 북극은 유라시아대륙과 북아케리카대륙으로 둘러싸인 넓은 바다입니다. 그러나 북극지방의 중심은 북극해라고 하는 바다입니다. 이 북극해는 북미, 아시아, 유럽의 북쪽 끝이 그 주변을 빙 둘러싸고 있지요. 그러므로 땅 위에 눈과 얼음이 쌓여 있는 곳이 남극이고, 바닷물이 언 곳은 북극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러므로 남극대륙이라는 말은 옳지만, 북극대륙이라는 말은 옳지 않습니다.
두 지방의 기온은 다 낮지만, 남극이 북극보다 더 낮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온도인 영하 89.6도가 1983년 7월 21일 남극의 러시아 보스토크기지에서 기록되었다. 그 반면 북극에서 관측된 가장 낮은 온도는 영하 70도 정도였습니다. 남극이 약 19도 정도 더 낮게 측정된 것이다. 남극이 북극보다 더 추운 이유는 남극은 대륙성기후이고, 북극은 해양성기후이기 때문에 남극이 북극에 비해 기온차가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북극은 대륙이 아니라 바다이고, 북극의 바다는 열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해주지만, 남극대륙에 쌓인 눈과 얼음은 햇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 이유로 남극은 북극보다 더 춥습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2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