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말
1)여불위의 생애
2)내용
①〈十二紀〉
②〈八覽〉
③〈六論〉
3)특징
①구조상의 특징
②사상적 특징
③문학적 특징
4)사상
①유가․도가․묵가․법가
②‘하나-’ 사상
③음양사상
④농가사상
5)『呂氏春秋』관련서
Ⅲ. 맺음말
Ⅱ. 본말
1)여불위의 생애
2)내용
①〈十二紀〉
②〈八覽〉
③〈六論〉
3)특징
①구조상의 특징
②사상적 특징
③문학적 특징
4)사상
①유가․도가․묵가․법가
②‘하나-’ 사상
③음양사상
④농가사상
5)『呂氏春秋』관련서
Ⅲ. 맺음말
본문내용
지닌다. 첫째, 농가의 생명령은 천지만물의 변화를 기반으로 생겨나므로, 다원적이고 겸용적이며 만상을 배척하지 않는다. 둘째, 농가체계하의 商道를 강조하면서 중상주의를 추진하여 상도법칙을 치국의 도리로 승화시킨다. 셋째, 농가의 뿌리를 농경에 두어 중농정책을 실시한다. 농업이 단순한 양식문제가 아니라 농사를 짓는 백성은 소박하고 쉽게 쓸 수 있으며 변경이 안정된다는 것이다. 넷째, 농가의 근본은 자연법칙을 따르는 데 있어 국가정치의 도리 또한 농가법칙을 따르며 곧 천지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농가는 하늘과 땅의 상황변화에 순응해야 하며 시세에 따르되 억지로 해서는 안 된다. 여섯째, 농사는 해로운 것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기에 나쁜 욕망을 제거하고 시세에 순응하여 변법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5)『呂氏春秋』관련서
-原典류
①呂本中 撰, 『呂氏春秋集解』: 『文淵閣四庫全書』(영인본 : 國立故官博物院藏本) 제 150冊. 「經部」 144 春秋類, 타이완상무인서관, 타이베이 1986
②漢 고유 注, 『呂氏春秋訓解』: 『문연각사고전서』(위 영인본) 제848책, 「子部」154 雜家類
-주석서 : 尹仲容의 『呂氏春秋校釋』등
Ⅲ. 맺음말
『呂氏春秋』에는 이 외에도 고대 전설이나 신화도 소개되어 있어, 현대를 사는 우리들도 오랜 옛날 중국 민족이 어떤 생활을 했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소중한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예컨대 <古樂>편은 먼 옛날 중국의 갈천씨가 춤을 추는 모습을 아주 상세히 묘사하고 있어서, 글을 읽기만 해도 원시 인류가 가무를 즐기는 장면이 눈에 선하게 그려질 정도라고 한다. 그런 점 등을 미루어 특히 예술의 사학 연구 자료로서도 참고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呂氏春秋』는 사상사와 문학사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동양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가치 있는 역사서 중 하나인 서한의 사마천이 저술한 『史記』도 이 책의 구조를 본따서 내용을 ‘記’로 나눠 기전체의 효시를 이루며, 동한의 고유인을 비롯하여 많은 위인들이 이 책을 제자백가의 사상을 집대성한 최고의 걸작으로 꼽았다.
<참고문헌>
-화탁수 저, 김지연전인경 역, 『한권으로 읽는 중국명저』, 생각하는 백성, 2006
-여씨춘추(중국적 실용주의의 기원), 김근, 살림, 2005
<참고 site>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5a2962a
5)『呂氏春秋』관련서
-原典류
①呂本中 撰, 『呂氏春秋集解』: 『文淵閣四庫全書』(영인본 : 國立故官博物院藏本) 제 150冊. 「經部」 144 春秋類, 타이완상무인서관, 타이베이 1986
②漢 고유 注, 『呂氏春秋訓解』: 『문연각사고전서』(위 영인본) 제848책, 「子部」154 雜家類
-주석서 : 尹仲容의 『呂氏春秋校釋』등
Ⅲ. 맺음말
『呂氏春秋』에는 이 외에도 고대 전설이나 신화도 소개되어 있어, 현대를 사는 우리들도 오랜 옛날 중국 민족이 어떤 생활을 했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소중한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예컨대 <古樂>편은 먼 옛날 중국의 갈천씨가 춤을 추는 모습을 아주 상세히 묘사하고 있어서, 글을 읽기만 해도 원시 인류가 가무를 즐기는 장면이 눈에 선하게 그려질 정도라고 한다. 그런 점 등을 미루어 특히 예술의 사학 연구 자료로서도 참고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呂氏春秋』는 사상사와 문학사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동양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가치 있는 역사서 중 하나인 서한의 사마천이 저술한 『史記』도 이 책의 구조를 본따서 내용을 ‘記’로 나눠 기전체의 효시를 이루며, 동한의 고유인을 비롯하여 많은 위인들이 이 책을 제자백가의 사상을 집대성한 최고의 걸작으로 꼽았다.
<참고문헌>
-화탁수 저, 김지연전인경 역, 『한권으로 읽는 중국명저』, 생각하는 백성, 2006
-여씨춘추(중국적 실용주의의 기원), 김근, 살림, 2005
<참고 site>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5a2962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