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 무용 프로그램 개발 계획안>무용을 통한 내 삶의 쉼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휴식의 의미
2. 휴식의 필요성 및 효과
3. 무용요법의 의미와 효과
4. 휴식과 무용의 연관성

Ⅲ. ‘무용을 통한 내 삶의 쉼표’ 프로그램 개발
1. 프로그램 구성 및 특징
2. 강의 계획서
3. 16차시 강의 계획서
4. 16차시 세부 계획서

Ⅳ. 결론

본문내용

제시한다.
◈ 수업 과정 제시
◈ 기본 실기 내용
설명 및 시범
*부끄러움을 없애고 자신감 을 갖으며 누구든지 무용 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불어넣음.
5′
10′
5‘
10′
10‘
출석확인
환자파악
*시각적 집중을 위한 분위기 조성
*부드러운 음향 사용
수준별
학습
no
yes
심화
보충
(3)손으로 그리기
① 시선은 계속 물건에 집중한다.
② 외곽선을 따라 그린 물건을 손이나 발을 이용해 그려본다.
③ 의식적으로 어두워 보이거나 밝아 보이는 지점에서 멈춘다.
④ 다시 외곽선을 따라 손과 발로 물건을 그린다.
(손이외의 다른 신체 부분별로 해본다)
(( 자유 시간 ))
수준별 실기 활동
(3)몸으로 그리기
① 시선은 계속 물건에 집중한다.
② 외곽선을 따라 시선이 움직이는 대로 걸어간다.
③ 의식적으로 어두워 보이거나 밝아 보이는 지점에서 멈춘다.
④ 어두운 지점에선 몸을 오므리고 밝은 지점에서는 두 팔을 위로 편다.
⑤ 다시 외곽선을 따라 시선이 움직이는 대로 걸어간다.
(4) 보이는 대로 느끼는 대로
시선은 계속 물건에 집중한다.
외곽선을 따라 시선을 움직인다.
이번엔 자유롭게 신체를 사용하여 외곽선을 따라 움직인다.
내가 보는 것과 내 몸이 움직이는 것에 집중한다.
머무르기, 강조하기 등 다양한 움직임으로 외곽선을 따라 움직인다.
눈과 육체와 정신이 편안해 지는 것을 느낀다.
◈ 수준별 실기 활동 목표제시
보충실기내용 : 간단한 몸의 움직임
심화실기내용 : 신체의 한 부위 자유 선정, 추상적 움직임
10‘
10‘
15′
10‘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기쁨을 느끼도록 한다.
확인
정리
(5)나만의 감각을 깨우기 위한 쉼표
나만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다른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움직임의 느낌을 간단히 발표한다.
(1) 다음 차시에 대한 예고
(2) 마무리 움직임 지도
생각 머물기
숨 쉬기
간단한 스트레칭
발표를 통하여 목표 도 달여부 확인.
차시 예고를 한다.
청각적 감각을 무용을 통 해 깨우침
마무리 움직임 지도
10‘
10‘
*몸의 긴장을 충분히 풀어 준다.
Ⅳ 결론
현재 대학의 교양무용은 교육목적과 내용이 획일화 되어 있고, 목표간 에 또한 내용 자체의 연계성도 부족하며,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학 교양무용 과목의 개설이 늘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양무용의 교육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내용의 설계는 시급한 문제이다. 대학 교양 무용 강좌의 개설은 대학이 가진 교육 목표의 특성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무용 예술에 대한 일반 대학생들의 관심과 기대가 만든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무용교육인들 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무용 전공자 들을 위한 대학의 무용 교육 과정과는 별개의 일반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이 요구 되는 것이고, 그 프로그램에 있어서 이상적인 목표,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맥락 하에 ‘무용을 통한 내 삶의 쉼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휴식과 무용의 역할을 접목하여 무용을 통해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진정한 쉼의 의미를 깨닫게 하고자 하고, 휴식에 대한 교육을 무용을 수단으로 일깨워 줌으로서 무용에 쉽게 접근하고 그 필요성을 느끼는 동시에 휴식을 얻고자 한다. 휴식은 안정되고 평안한 마음을 갖게 함으로서 육체와 정신을 모두 쉬게 하는 것이며, 현재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 더 나는 자기계발을 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 내주고 창의력을 길러 준다. 휴식은 무언가 하고자 하는 의욕이 생기게 하는 생활의 재충전 시간 이며, 자신을 발견하고 삶을 활기차게 보내기 위해 활력을 불어 넣어 줄 것이다. 육체의 감각과 그 감각에 따른 인식을 통하여 개개인의 움직임의 과정을 만들어 내고, 그러한 심상의 안내로 하여 기본적인 감정과 육체의 욕구를 표현한다. 즉, 무용을 통해 반복적으로 음악에 맞추어 육체적 연습 (연습된 움직임)의 효과로 정신적, 육체적 이완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들이 미처 깨닫지 못했던 몸의 움직임을 창출하게 된다. 또한 무용 움직임 과정의 도입에서 종결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본능적인 기쁨을 유지하게 되고, 근원 적으로 갖고 있는 자발성의 개발에 한층 도움을 주게 되고, 또한 움직임의 목표와 그 해석과 활동의 평가를 통하여 좀 더 진행된 움직임 과정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업에 열중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교양과목은 학점을 따는 위주의 수업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학업과 학점 이전에 더 중요한 무언가를 깨닫게 해주고자 하며 그것은 바로 휴식이다. 바쁘게 시간에 쫓기면서 살면서 머릿속에 많은 지식을 넣고 좋은 곳에 취직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요즘 대학생들에게 쉼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고자 한다. 휴식을 그저 하루 종일 집에서 잠을 잔다거나 친구들과 어우러져 놀고먹는 일차원 적인 것으로 여기는 대학생들이 무용을 수단으로 즉 무용을 통해서 몸을 이완시키고 생각과 육체를 자유롭게 하면서 해방된 느낌을 얻음으로서 진정한 의미의 휴식을 깨닫길 바라는 바이다.
※ 참고문헌
맹한승(2002), 쉼-나를비우러가는길, 마당넓은집.
로버트K 존스톤(2004), 휴식의 기술, 황금비늘.
이상민(2005), 바쁜사람들을 위한 5분치료, 하남출판사.
알릭스 카르스타(1988), 스트레스 풀기, 하남출판사.
루시 리델(1993), 감각깨우기, 하남출판사
김정운(2003), 휴테크 성공학, 명진출판(주).
로날트P 슈베페 알로샤A(2005), (주)북하우스.
주선애(1991), 휴식의 교육, 바른삶 캠패인(8).
김혜림, 일과 휴식사이, 한국논단 4월호.
박은규, 창작무용을 통한 무용 요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춘천대학교.
원상화, 신체중심 심리치료의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공주대.
김경남,최성희, 무용활동 참가와 몰입경험 및 자아실현의 관계, 경기대.
서예원, 대학 교양무용 교육과정 요구 및 시태조사, 한국 체육교육학회, 제3권1호.
류분순, 심리적 재활에 있어서 무용동작치료법의 이론 및 적용효과, 한국무용치료 연구회.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04.1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