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합계한다.(백분위점수, 환산점수, 학년규준 산출에 이용)
② 백분위 점수 : 검사영역의 원점수로 산출한다.
③ 환산점수 : 검사영역별로 원점수를 평균이 10이고 표준편차가 3인 환산점수로 전환한 점수.
④ 학력지수 : 환산점수를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표준점수로 전환한 점수
⑤ 학년규준 : 학년수준을 표시한 점수로 원점수의 합으로 산출
(2) 결과 해석
① 백분위 점수 : 한 집단의 점수분포 상에서 피검사자의 점수 미만에 놓여있는 사례의 전체 사례에 대한 백분율이다.
· 표준집단에 비춰 피검사자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나, 피검사자의 내적 정보는 제공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학력지수 & 학년규준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내적 정보를 제공.
② 학력지수
ⓐ 통계적 해석 :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표준점수로 전환한 편차지수로 학력지수 100은 학년집단의 평균에 해당한다는 의미임.(원점수를 환산점수로, 환산점수의 합을 학력지수로 변환- 자료 2,3 참고)
ⓑ 학력지수 분류
학력지수
분류
포함된 비율
130이상
최우수
2.2
120-129
우수
6.7
110-119
평균상
16.1
90-109
평균
50.0
80-89
평균하
16.1
70-79
학습지체
6.7
69이하
심한 학습지체
2.2
③ 학년규준 : 피검사자의 학력이 현재 학년수준에서 어느 정도 향상 또는 지체되어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음(원점수의 합을 학년 규준으로 산출)
(3) 검사영역간 비교
① 백분위점수 프로파일 작성 : 검사영역별 원점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파일
· 특정 피검사자가 검사영역별로 집단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
② 환산점수 프로파일 작성 : 검사영역별 환산점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파일
③ 학력지수 프로파일 작성
④ 학년규준 프로파일 작성
4. KISE-BAAT의 장·단점
(1) 장점
- 규준 참조검사로 또래집단의 규준에서의 피검사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고, 교육계획의 수립과 적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복수심리 검사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능력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또 소검사 내에서의 자세한 검사영역 및 검사내용을 두어 구체적인 교육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가’, ‘나’ 형의 동형검사로 구성되어 있어 전반적인 신뢰도가 높다.
- 피검사자의 수행검사를 통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해 할 수 있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 학력 지수, 학년규준을 산출하고 프로파일로 나타내어 검사영역 간 능력을 쉽게 비교 해 볼 수 있다.
(2) 단점
-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문항으로 인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해 할 수 있다.
- 통계적 특성에서 보면 표준화 표본을 표집하기 위해서 대표적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 연령, 학년, 성별, 지역 등은 잘 고려하였으나, 이 외의 다른 기준이 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종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 채점자간 신뢰도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
※ 참고 문헌
박경숙김계옥송영준정동영정인숙 (2005). KISE-BAAT 검사요강. 서울: 서울문
② 백분위 점수 : 검사영역의 원점수로 산출한다.
③ 환산점수 : 검사영역별로 원점수를 평균이 10이고 표준편차가 3인 환산점수로 전환한 점수.
④ 학력지수 : 환산점수를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표준점수로 전환한 점수
⑤ 학년규준 : 학년수준을 표시한 점수로 원점수의 합으로 산출
(2) 결과 해석
① 백분위 점수 : 한 집단의 점수분포 상에서 피검사자의 점수 미만에 놓여있는 사례의 전체 사례에 대한 백분율이다.
· 표준집단에 비춰 피검사자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나, 피검사자의 내적 정보는 제공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학력지수 & 학년규준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내적 정보를 제공.
② 학력지수
ⓐ 통계적 해석 :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표준점수로 전환한 편차지수로 학력지수 100은 학년집단의 평균에 해당한다는 의미임.(원점수를 환산점수로, 환산점수의 합을 학력지수로 변환- 자료 2,3 참고)
ⓑ 학력지수 분류
학력지수
분류
포함된 비율
130이상
최우수
2.2
120-129
우수
6.7
110-119
평균상
16.1
90-109
평균
50.0
80-89
평균하
16.1
70-79
학습지체
6.7
69이하
심한 학습지체
2.2
③ 학년규준 : 피검사자의 학력이 현재 학년수준에서 어느 정도 향상 또는 지체되어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음(원점수의 합을 학년 규준으로 산출)
(3) 검사영역간 비교
① 백분위점수 프로파일 작성 : 검사영역별 원점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파일
· 특정 피검사자가 검사영역별로 집단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
② 환산점수 프로파일 작성 : 검사영역별 환산점수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파일
③ 학력지수 프로파일 작성
④ 학년규준 프로파일 작성
4. KISE-BAAT의 장·단점
(1) 장점
- 규준 참조검사로 또래집단의 규준에서의 피검사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고, 교육계획의 수립과 적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복수심리 검사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능력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또 소검사 내에서의 자세한 검사영역 및 검사내용을 두어 구체적인 교육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가’, ‘나’ 형의 동형검사로 구성되어 있어 전반적인 신뢰도가 높다.
- 피검사자의 수행검사를 통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해 할 수 있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 학력 지수, 학년규준을 산출하고 프로파일로 나타내어 검사영역 간 능력을 쉽게 비교 해 볼 수 있다.
(2) 단점
- 검사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문항으로 인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해 할 수 있다.
- 통계적 특성에서 보면 표준화 표본을 표집하기 위해서 대표적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 연령, 학년, 성별, 지역 등은 잘 고려하였으나, 이 외의 다른 기준이 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종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 채점자간 신뢰도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
※ 참고 문헌
박경숙김계옥송영준정동영정인숙 (2005). KISE-BAAT 검사요강. 서울: 서울문
키워드
추천자료
[특수교육]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의의,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이론,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정서장애아교육][특수교육][장애인교육]정서장애아동의 정의와 정서장애아동의 장애요인 및 ...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가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장애인통합교...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유형, 장애인통합교육의 기준과 장애인통합교육...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정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
[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아지도][학습장애][특수교육]학습장애의 개념, 학습장애아동의 특...
[특수교육]전환교육프로그램의 개념, 전환교육프로그램의 구성, 전환교육프로그램의 적용, 전...
[전환교육][장애인교육][특수교육][직업재활]전환교육의 개념,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환...
[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의미, 장애인통합교육의 지향점과 장애인통합교육의 ...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정의, 장애인통합교육의 중요성, 장애인통합교...
(A+ 레포트) (유아교육과 4학년, 특수아교육 B형)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
[특수아동이해] 특수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특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