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DTVP2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적하거나 정답이 아닌 모양을 포함해서 지적한 경우에는 0점을 준다.
3. 기록용지 작성
1면의 경우
피검자 정보 : 아동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면 된다.
하위검사 및 종합점수 기록표 부분에서 원점수는 채점된 원점수를 그대로 기록하면 된다.
연령지수(pp142~143) : “각 하위검사별 시지각 연령점수 환산표”에서 각 하위검사별 원점수에 해당하는 시지각 연령을 기록하면 된다.
백분위와 GVP(p137) : “8세 6개월~8세 11개월 표준점수 및 백분위”에서 각 하위검사별 원점수에 해당하는 백분위(좌)와 표준점수(우)를 찾아 기록하면 된다.
MRP와 VMI : 기록된 GVP를 오른쪽으로 옮겨 기록하면 된다.
종합점수에서 GVP, MRP 그리고 VMI 지수와 백분위(pp138~141) : “종합척도의 표준점수 환산표”에서 하위검사 표준점수 합계에 속하는 표준점수(좌)와 백분위(우)를 찾아 기록한다.
프로파일 작성 : 해당하는 점수를 따라 선을 그으면 된다.
2면의 경우
기타검사 자료 : 이전에 다른 검사도구를 측정한 적이 있다면 그 검사명과 일자 그리고 표준점수를 기록한다.
실시조건 : 누가 어떠한 이유로 검사를 실시하게 되었는지를 기록하면 된다. 그리고 실시 횟수와 방해조건 등을 기록하면 된다.
3면의 경우
해석과 조언 : 결과의 해석, 장차 필요한 검사에 대한 제언, 적절한 치료방법이나 중재 프로그램, 그리고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고려한 적절한 배치 등에 대한 제안점을 기록한다. 검사결과의 타당성에 대한 첨언도 여기에 기술한다.
4면의 경우
채점기록표 : 아동이 반응한 것을 채점하여 기록하면 된다.
4. 검사의 장단점
1) 장점
- 어린 아동들의 시지각과 눈과 손의 협응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 시지각 발달검사의 과제는 디자인이 단순하고 난이도에 따라 배열되어 있어 하위검사를 일반적으로 신속하게 실시 할 수 있다.
- 각 항목마다 채점준거를 설명하는 예가 제시되어 있으며 몇가지 항목에 대해 제공된 투명 채점안으로 객관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2) 단점
- 하위검사들이 비교적 독립적이고 다른 시지각 능력을 측정하지 않는다.
- 원점수를 평가점으로 환산하는 절차가 매우 혼란스럽다.
- 검사문항에 문자나 숫자는 사용되지 않아 아동이 비슷한 문자나 숫자를 변별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시지각 기능을 운동기능과 분리하여 측정하지 않았다.
- 하위 검사의 신뢰도가 낮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