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지
아이스팩사용
heel protector를 사용하여 피부손상을 예방
견인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잘 유지하고 있는지 점검
Abductor pillow를 사용
심호흡, 기침, 수술받지 않은 사지의 능동적 운동강조
6)영양
수분섭취를 권장
균형잡힌식사
7)피부간호
heel sacrum 등 욕창 호발 부위를 관찰하고 마사지
elbow의 자극으로 인한 ulnar nerve의 손상유무 관찰
8)배뇨
fracture bed pan을 이용
간헐적 도뇨 가능
24-48시간 내에는 소변량이 증가 할 수도 있다.
9)통증
24-48시간동안은 주사로 투여한다.
48시간 이후에는 경구용 진통제를 투여한다.
수술 후 합병증 및 주의사항
1. 수술 후 합병증
1) 감염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감염입니다. 감염은 수술 후 조기에도 생길 수 있고, 퇴원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수술 후 수 년이 지난 후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삽입물을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몸의 다른 부위에서의 감염이 고관절로 파급되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치과에서 이를 뽑거나 잇몸 수술을 받거나 다른 부위의 시술 또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 담당 의사에게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음을 반드시 알려야 하며, 항생제의 사전 투여가 필요합니다.
2) 탈구
이는 주로 수술 직후에 발생하는데 많은 경우 비수술적으로 정복하며, 드물게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복 후에도 6주 정도 보조기나 석고 붕대 고정을 하게 되며 예방을 위해서는 술 후 주의 사항을 숙지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삽입물의 해리
해리라는 것은 삽입물이 비구나 대퇴골과 잘 접촉 고정되어 있다가 이 고정이 느슨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 해리가 생기면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심한 경우 삽입물을 교체하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삽입물과 수술 방법으로 이 해리의 발생률은 상당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4) 삽입물의 마모
인공 삽입물이 우리 몸에서 사용되면 닳아서 마모가 일어납니다. 인공 삽입물은 마모가 되면 재생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최근 개발된 관절면에서는 그 마모율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5) 신경 마비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주로 심한 고관절의 변형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감염을 비롯한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약 1~2% 정도입니다.
2. 수술 후 주의사항
인공 관절 수술을 받으면 수술 후 관리를 잘하셔야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혹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으신 분들은 통증이 없거나 관절 운동에 지장이 없으면 아무 이상이 없으므로 병원에 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만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마치 자동차를 사용하면서 정기적인 점검과 수리가 필요하듯, 인공 고관절 역시 기계이므로 그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유무와 인공 고관절 삽입물의 상태 확인을 위해서 증상이 없더라도 적어도 1년에 한번씩은 정기 검진과 방사선 촬영을 하는 것이 인공 고관절을 오래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참고 문헌>
성인간호학2현문사이향련,최철자,박오장,김영숙,최경옥,김금순,현경선,윤은자 외 2010.2.4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건강정보마당
http://www.kmle.co.kr/ 의학검색엔진
http://blog.naver.com/welltonhp?Redirect=Log&logNo=70089377905인공고관절전문병원
아이스팩사용
heel protector를 사용하여 피부손상을 예방
견인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잘 유지하고 있는지 점검
Abductor pillow를 사용
심호흡, 기침, 수술받지 않은 사지의 능동적 운동강조
6)영양
수분섭취를 권장
균형잡힌식사
7)피부간호
heel sacrum 등 욕창 호발 부위를 관찰하고 마사지
elbow의 자극으로 인한 ulnar nerve의 손상유무 관찰
8)배뇨
fracture bed pan을 이용
간헐적 도뇨 가능
24-48시간 내에는 소변량이 증가 할 수도 있다.
9)통증
24-48시간동안은 주사로 투여한다.
48시간 이후에는 경구용 진통제를 투여한다.
수술 후 합병증 및 주의사항
1. 수술 후 합병증
1) 감염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감염입니다. 감염은 수술 후 조기에도 생길 수 있고, 퇴원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수술 후 수 년이 지난 후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삽입물을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몸의 다른 부위에서의 감염이 고관절로 파급되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치과에서 이를 뽑거나 잇몸 수술을 받거나 다른 부위의 시술 또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 담당 의사에게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음을 반드시 알려야 하며, 항생제의 사전 투여가 필요합니다.
2) 탈구
이는 주로 수술 직후에 발생하는데 많은 경우 비수술적으로 정복하며, 드물게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복 후에도 6주 정도 보조기나 석고 붕대 고정을 하게 되며 예방을 위해서는 술 후 주의 사항을 숙지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삽입물의 해리
해리라는 것은 삽입물이 비구나 대퇴골과 잘 접촉 고정되어 있다가 이 고정이 느슨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 해리가 생기면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심한 경우 삽입물을 교체하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삽입물과 수술 방법으로 이 해리의 발생률은 상당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4) 삽입물의 마모
인공 삽입물이 우리 몸에서 사용되면 닳아서 마모가 일어납니다. 인공 삽입물은 마모가 되면 재생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최근 개발된 관절면에서는 그 마모율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5) 신경 마비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주로 심한 고관절의 변형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감염을 비롯한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약 1~2% 정도입니다.
2. 수술 후 주의사항
인공 관절 수술을 받으면 수술 후 관리를 잘하셔야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혹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으신 분들은 통증이 없거나 관절 운동에 지장이 없으면 아무 이상이 없으므로 병원에 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만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마치 자동차를 사용하면서 정기적인 점검과 수리가 필요하듯, 인공 고관절 역시 기계이므로 그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유무와 인공 고관절 삽입물의 상태 확인을 위해서 증상이 없더라도 적어도 1년에 한번씩은 정기 검진과 방사선 촬영을 하는 것이 인공 고관절을 오래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참고 문헌>
성인간호학2현문사이향련,최철자,박오장,김영숙,최경옥,김금순,현경선,윤은자 외 2010.2.4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건강정보마당
http://www.kmle.co.kr/ 의학검색엔진
http://blog.naver.com/welltonhp?Redirect=Log&logNo=70089377905인공고관절전문병원
추천자료
[성인간호학][Ulcerative Colitis][궤양성대장염]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성인간호학][Cholangitis][담관염][담석증] 질병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Insomnia][수면장애][불면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수술실케이스][TLH][Total laparoscopic hystrectomy]수술전간호,수술후간호, ...
[성인간호학][APN][Pyelonephritis][신우신염 ]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APN][Pyelonephritis][신우신염 ]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Angina pectoris][협심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BD cancer][총담관암]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common bile duct c...
[성인간호학][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VA][뇌졸중]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안면경련][facial spasm]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CU 케이스]
[성인간호학][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소화성궤양][Peptic ul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