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배경
Ⅲ.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성격
Ⅳ.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중요성
Ⅴ.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학습요소
1. 변별자극
2. 강화의 역동성
3. 행동 결과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 일차적 강화자와 이차적(조건화된) 강화자
1) 일차적 강화자
2) 이차적(조건화된) 강화자
5. 일반화된 강화자
6.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7. 정서적인 부산물
8. 벌
9. 문화적 실재와 작동적 조건화
Ⅵ.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변별적 조작
Ⅶ.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강화
1. 조작적 학습의 강화 계획
1) 변화 간격 계획
2) 고정 비율 계획
3) 변화 비율 계획
4) 고정간격계획
2. 강화 스케줄
1) 계속적 강화
2) 간혈적 강화
3) 자극통제와 자극변별
4) 연쇄와 조형
5) 일반화와 변별
6) 혐오통제와 혐오측정
Ⅷ.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실험
Ⅸ.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적용
1. 자기 속도 학습의 영역이다
2. 행동 수정의 영역이다
Ⅹ.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평가
참고문헌
Ⅱ.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배경
Ⅲ.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성격
Ⅳ.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중요성
Ⅴ.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학습요소
1. 변별자극
2. 강화의 역동성
3. 행동 결과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 일차적 강화자와 이차적(조건화된) 강화자
1) 일차적 강화자
2) 이차적(조건화된) 강화자
5. 일반화된 강화자
6.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7. 정서적인 부산물
8. 벌
9. 문화적 실재와 작동적 조건화
Ⅵ.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변별적 조작
Ⅶ.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강화
1. 조작적 학습의 강화 계획
1) 변화 간격 계획
2) 고정 비율 계획
3) 변화 비율 계획
4) 고정간격계획
2. 강화 스케줄
1) 계속적 강화
2) 간혈적 강화
3) 자극통제와 자극변별
4) 연쇄와 조형
5) 일반화와 변별
6) 혐오통제와 혐오측정
Ⅷ.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실험
Ⅸ.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적용
1. 자기 속도 학습의 영역이다
2. 행동 수정의 영역이다
Ⅹ.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기타 사회단체에서는 종종 시민, 신자, 학생, 그리고 근로자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이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우리는 혐오측정(aversive measure)을 통해 타인의 행동을 통제하는데, 예를 들면 남편이 아내의 경제적인 조건을 통제함으로써 아내를 순종적이고 의존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들 수 있다. 아내가 남편이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하지 않을 경우 남편은 아내에게 생활비를 주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아내가 독자적인 경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이 기법은 매우 효과적인 통제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스키너는 혐오통제를 인간관계나 사회단체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용하는 데는 반대한다. 이유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인데, 한 가지 사례로 학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도였던 교사의 으름장에 대해 학교에 가지 않는다든지, 고의로 성적을 떨어뜨린다든지, 불량한 행동을 한다든지 혹은 관심 없다는 식으로 반응을 보이는 학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스키너는 이런 행동들이 바로 혐오통제의 불가피한 결과라고 지적한다.
그는 처벌 또한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혐오통제가 예상되는 행동을 증진시키려는 의도를 가진 반면에 처벌은 원하지 않는 행동을 못하도록 억압하는 것이 목적이다. 비록 처벌이 일시적으로 어떤 반응을 억누른다고 할지라도, 전반적인 반응경향을 약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처벌 역시 혐오통제처럼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일으킨다. 처벌받은 학생이 모든 학습상황으로부터 도피하려고 결석하는 경우처럼, 처벌이 발생한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도피하려 한다. 그럼 처벌이 좋은 기법이 아니라고 한다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없애기 위해 어떤 다른 기법들이 이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해진다. 먼저, 원치 않는 행동을 만들어 내는 환경을 바꿀 수 있다. 도둑질 같은 문제행동은 경제제도가 모든 사람을 풍족하게 만들 수 있다면 크게 감소될 것이다. 또 원치 않는 행동을 무시함으로서 소거시킬 수 있다. 때로는 양립 불가능한 행동들이 조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아동이 매우 공격적이어서 끊임없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큰소리를 지르도록 한다면, 이러한 공격적 행동을 무시하고(소거하고), 보다 조용하고 협동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관심과 칭찬(정적강화)을 줌으로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마지막 이 기법은 소거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신속하게 바람직한 행동결과를 얻을 수 있다.
Ⅷ.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실험
상자 안쪽 벽에 지렛대가 있어 그것을 누르면 밑에 있는 먹이통에서 보수로서 먹이가 나온다. 이 보수를 얻는 것이 강화되어 쥐는 지렛대 누르기를 학습하게 된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형성을 입증하기 위해 \'스키너 상자\'라고 불리는 실험장치를 고안하였다.
실험내용: 스키너가 행한 전형적인 실험은 지렛대 장치가 되어 있는 상자에 흰쥐를 넣어두었다. 쥐는 사방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다가 우연히 툭 튀어나온 지렛대를 누른다. 그 순간 자동적으로 먹이 알 하나가 나오게 되고 쥐는 먹이 알을 집어먹고 다시 지렛대를 누른다. 그렇게 할 때마다 먹이 알은 계속 나오게 되니 쥐는 그 후 점차로 지렛대를 누르는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쥐는 지렛대를 누르는 행위와 먹이가 떨어지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학습하게 된다. 즉 반복적으로 지렛대를 누르게 되었고 이는 조작적 조건화가 형성된 것이다.)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과 이러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고안된 먹이와의 관계를 강화라는 용어로 설명한다. 만일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 알이 제시되지 않았다면 지렛대 누르는 횟수는 많아지지 않았을 것이다.
비둘기로 실험을 할 때는 지렛대 대신 표적을 만들어서 그것을 쪼면 먹이가 나오도록 하였고 더욱 발전된 제품에서는 상자의 내부에 빨간불과 녹색불 그리고 전기배선망 등 프로그램용 부속장치를 연결시켜 여러 가지 강화 스케줄과 자극통제를 통한 변별학습훈련과 벌의 효과를 실험하였다고 한다.
실험을 통해 조작적 조건형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무엇보다도 결정적 역할을 하며 조작적 조건화이론의 원리(반응)자극 학습원리, 즉 유기체에 의해 행동이 먼저 발생하고 그 결과로서 자극이 따르게 된다는 원리로 볼 수 있다.
Ⅸ.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적용
1. 자기 속도 학습의 영역이다
자기 속도 학습이란 학생이 교수 기계나 프로그램 교재를 이용하여 자기의 이해 속도에 따라 학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수 기계는 하나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산물이지만 프로그램 수업이 의미하는 것 중 작은 부분일 뿐이다. 교실 수업이 프로그램화 될 때 수업의 내용은 작은 부분들로 제시되고 각 부분마다 반응이 요구된다. 그리고 각 부분이 성공적으로 학습되도록 피드백이 즉시 제공된다.
2. 행동 수정의 영역이다
행동 수정의 원리는 바람직한 행동 반응에 대해서는 보상을 해 줌으로써 그 반응 빈도를 증
가시키며, 부적응 행동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혐오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Ⅹ.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평가
Skinner이론의 장점은 첫째, 치료기법의 효과성을 중시하고 발전시킨 점, 둘째, 치료기법에 대한 정밀한 측정을 강조한 점, 셋째,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개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이 이론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실제 상황에서가 아니라 주로 실험상황에서 쉽게 적용되는 문제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진 점, 둘째, 클라이언트가 직면하는 수많은 문제들은 실제생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실험적이나 치료실 내에서 발생하는 행동변화를 실제 상황으로까지 일반화하기가 어렵다는 점, 셋째, 행동주의에서의 처벌원칙은 인간 서비스의 측면에서 보면 다소 비인간적인 면을 정당화시킨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나동진(2008), 교육심리학, 학지사
로렌 슬레이터, 조증열 옮김(2005),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에코의 서재
임의영(1993),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문학과 지성사
진위교 외(1998), 현대수업의 원리, 정민사
최정훈 외(1998), 인간행동의 이해, 법문사
RobertD.Nye 지음, 이영만·유병관 옮김, 심리학과 인간이해-프로이드·스키너·로저스
그는 처벌 또한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혐오통제가 예상되는 행동을 증진시키려는 의도를 가진 반면에 처벌은 원하지 않는 행동을 못하도록 억압하는 것이 목적이다. 비록 처벌이 일시적으로 어떤 반응을 억누른다고 할지라도, 전반적인 반응경향을 약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처벌 역시 혐오통제처럼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일으킨다. 처벌받은 학생이 모든 학습상황으로부터 도피하려고 결석하는 경우처럼, 처벌이 발생한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도피하려 한다. 그럼 처벌이 좋은 기법이 아니라고 한다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없애기 위해 어떤 다른 기법들이 이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해진다. 먼저, 원치 않는 행동을 만들어 내는 환경을 바꿀 수 있다. 도둑질 같은 문제행동은 경제제도가 모든 사람을 풍족하게 만들 수 있다면 크게 감소될 것이다. 또 원치 않는 행동을 무시함으로서 소거시킬 수 있다. 때로는 양립 불가능한 행동들이 조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아동이 매우 공격적이어서 끊임없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큰소리를 지르도록 한다면, 이러한 공격적 행동을 무시하고(소거하고), 보다 조용하고 협동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관심과 칭찬(정적강화)을 줌으로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마지막 이 기법은 소거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신속하게 바람직한 행동결과를 얻을 수 있다.
Ⅷ.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실험
상자 안쪽 벽에 지렛대가 있어 그것을 누르면 밑에 있는 먹이통에서 보수로서 먹이가 나온다. 이 보수를 얻는 것이 강화되어 쥐는 지렛대 누르기를 학습하게 된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형성을 입증하기 위해 \'스키너 상자\'라고 불리는 실험장치를 고안하였다.
실험내용: 스키너가 행한 전형적인 실험은 지렛대 장치가 되어 있는 상자에 흰쥐를 넣어두었다. 쥐는 사방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다가 우연히 툭 튀어나온 지렛대를 누른다. 그 순간 자동적으로 먹이 알 하나가 나오게 되고 쥐는 먹이 알을 집어먹고 다시 지렛대를 누른다. 그렇게 할 때마다 먹이 알은 계속 나오게 되니 쥐는 그 후 점차로 지렛대를 누르는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쥐는 지렛대를 누르는 행위와 먹이가 떨어지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학습하게 된다. 즉 반복적으로 지렛대를 누르게 되었고 이는 조작적 조건화가 형성된 것이다.)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과 이러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고안된 먹이와의 관계를 강화라는 용어로 설명한다. 만일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 알이 제시되지 않았다면 지렛대 누르는 횟수는 많아지지 않았을 것이다.
비둘기로 실험을 할 때는 지렛대 대신 표적을 만들어서 그것을 쪼면 먹이가 나오도록 하였고 더욱 발전된 제품에서는 상자의 내부에 빨간불과 녹색불 그리고 전기배선망 등 프로그램용 부속장치를 연결시켜 여러 가지 강화 스케줄과 자극통제를 통한 변별학습훈련과 벌의 효과를 실험하였다고 한다.
실험을 통해 조작적 조건형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무엇보다도 결정적 역할을 하며 조작적 조건화이론의 원리(반응)자극 학습원리, 즉 유기체에 의해 행동이 먼저 발생하고 그 결과로서 자극이 따르게 된다는 원리로 볼 수 있다.
Ⅸ.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적용
1. 자기 속도 학습의 영역이다
자기 속도 학습이란 학생이 교수 기계나 프로그램 교재를 이용하여 자기의 이해 속도에 따라 학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수 기계는 하나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산물이지만 프로그램 수업이 의미하는 것 중 작은 부분일 뿐이다. 교실 수업이 프로그램화 될 때 수업의 내용은 작은 부분들로 제시되고 각 부분마다 반응이 요구된다. 그리고 각 부분이 성공적으로 학습되도록 피드백이 즉시 제공된다.
2. 행동 수정의 영역이다
행동 수정의 원리는 바람직한 행동 반응에 대해서는 보상을 해 줌으로써 그 반응 빈도를 증
가시키며, 부적응 행동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혐오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Ⅹ.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평가
Skinner이론의 장점은 첫째, 치료기법의 효과성을 중시하고 발전시킨 점, 둘째, 치료기법에 대한 정밀한 측정을 강조한 점, 셋째,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개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이 이론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실제 상황에서가 아니라 주로 실험상황에서 쉽게 적용되는 문제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진 점, 둘째, 클라이언트가 직면하는 수많은 문제들은 실제생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실험적이나 치료실 내에서 발생하는 행동변화를 실제 상황으로까지 일반화하기가 어렵다는 점, 셋째, 행동주의에서의 처벌원칙은 인간 서비스의 측면에서 보면 다소 비인간적인 면을 정당화시킨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나동진(2008), 교육심리학, 학지사
로렌 슬레이터, 조증열 옮김(2005),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에코의 서재
임의영(1993),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문학과 지성사
진위교 외(1998), 현대수업의 원리, 정민사
최정훈 외(1998), 인간행동의 이해, 법문사
RobertD.Nye 지음, 이영만·유병관 옮김, 심리학과 인간이해-프로이드·스키너·로저스
추천자료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이론
프로이드, 에릭슨, 반두라, 피아제, 스키너, 콜버그의 발달이론과 학습이론
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행동주의적 학습이론들) 비교 설명
파블로브, 스키너, 반두라 의 학습이론
발달에 관한 관점 중 학습이론적관점 즉 파블로브, 스키너, 반두라의 이론에 대해 기술하세요
성숙이론, 학습이론,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이론 홀, 게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
국자감-아동발달-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사회학습이론 중 하나의 이론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관해 서술하시오
학습이론을 이용한 우울증에 대한 치료적 접근 방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우울증 치료를 위해 ...
[교육학개론] 학습이론의 이해(자극반응연합설(刺戟-反應聯合說), 고전적 조건반사설, 조작적...
스키너의 강화이론과 반듀라의 관찰학습이론에 대한 비교
행동주의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언어발달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스키너와 반두라의 학습이론을 ...
행동주의(고전적,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사회학습이론)의 학습이론이 교육장면에 갖는 시사...
정신심리적 이해 - 1. 학습이론 1) 고전적 조건형성 2) 조작적 조건형성 3) 인지학습 2. 동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