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영어교육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II. 유아영어교육의 이론적 근거

III. 유아들을 위한 외국어 교수방법

III. 유치원 영어교육 활동

I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아의 조기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영, 김현희, 김영실(2000). 우리나라 유치원 영어교육의 현황. 제14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2-117.
김현희(1988). Sociolinguistic and syntactic aspects of code-switching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 Naturalistic, longitudinal stud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남윤주(1997). 유치원에서의 영어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송희(1997). 유치원 영어교육의 타당성 및 교수방법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권 2호, 175-92.
박형기, 배두본, 전도영, 정길정(1991). 국민학교 영어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 김충배(편), 국민학교 조기 영어교육론. 한국문화사, 143-96.
신경구, 선규수, 박주경(1996). 효과적인 초등학교 영어수업모형개발. 영어교육 51(4), 203-36.
안수웅(1994). EFL 환경에서의 영어조기교육. 김충배 편(1994). 초등학교 조기영어교육론. 한국영어학회 영어교육총서1, 215-44. 한국문화사.
우남희, 이종희(1994). 한국의 조기 영어교육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 강연 발표논문.
이옥로(1982). LAD와 조기영어교육. 김충배(편) 국민학교 조기 영어교육론. 한국영어교육학회 영어교육총서, 13-26.
이옥로(1983). 조기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취학전 아동을 중심으로-. 영어교육 26호. 한국영어교육학회.
이정민(2000). 유아언어발달과 영어교육. 제14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3.
이종혁(1990). 노래를 통한 영어 듣기 지도의 효과. 영어교육 39호. 한국영어교육학회.
이흥수(1991). 조기영어교육론의 제문제. 정동빈(편) 영어교육론. 언어와 응용언어학 II. 한신문화사.
전동열(1983). 유치원에서의 조기 영어학습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정명호(1989). 조기영어교육론. 한신문화사.
최진황(1986). 영어교수법 이론과 적용. 민족문화문고간행회.
최홍규(2000).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와 해결방향. 제14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8-69.
한유미, 이진화(1997).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어머니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고황논집. 20, 325-42.
Chomsky, N.(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M.I.T. Press.
Fillmore L.W.(1991). Wh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means losing the firs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 323-46.
Transnational College of LEX(1998). Who is Fourier? A mathematical adventure translated by Gleason, A. Language Research Foundation.
Graham, C.(1979). Jazz chants for children. Oxford University Press.
Hancock, C.(1977). Second language stud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Foreign language Annals, 10.
Krashen, S.(1978). The monitor model for second language aquisition. In R.Gringras(ed.) Second language aquisition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Washinton: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이흥수(1991) 재인용.
Krashen, S.D.(1991). Bilingual education: A focus on current research. Washington, D.C.: National Clearinghouse for Bilingual Education.
Lado, R.(1976). Early Reading as Language Development. In: Robert Lado and theodore Andersson, eds., Georgetown University Papers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No. 13: Early Reading.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이옥로(1983) 재인용.
Oliva, F.(1969).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 Englewood Cliffs: Printice Hall. 이흥수(1991) 재인용.
Puckett, M.B. & Black, J.K.(2001). The Young Child Development from pre-birth through age eight. Merrill Prentice Hall.
Ricciardelli, L.A.(1993). Creativity and bilingualism.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6(4), 242-54.
Rodrigue, J.L. Diaz R.M., Duran, D., Espinosa, L.(1995). The impact of bilingual preschool educa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Spanish-speaking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475-90.
Soderbergh, R.(1977). Readings in Early Childhood.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