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질(癎疾, epilepsy)이란?
Ⅱ. 간질에 대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 비교
1.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정의 차이
2.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원인 차이
3.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임상 유형 및 증상 차이
4.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진단방법 차이
5.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간호 및 생활 관리 방법 차이
6.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치료 방법 차이
Ⅱ. 간질에 대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 비교
1.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정의 차이
2.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원인 차이
3.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임상 유형 및 증상 차이
4.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진단방법 차이
5.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간호 및 생활 관리 방법 차이
6.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치료 방법 차이
본문내용
(3) Absence seizure : ethosuccimide
③ 항경련제의 작용 기전
(1) Voltage dependent ionic channel modulation
(Sodium channel block 하여 action potential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2) Enhancement of GABA-mediated inhibition
(억제되어 발작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3) Suppression of amino acid mediated excitation
(Glutamate supression)
④ Principles of AEDs therapy (항경련제 치료의 원칙)
(1) 적절한 항경련제의 선택
(2) 적절한 항경련제의 용량
(3) 가능하면 monotherapy
(4) Sedative AEDs는 가급적 피할 것
(5) 정기적인 추적 관찰
⑤ Monotheraphy의 장점
(1) 약물 복용이 간편
(2) 약물간의 상호 작용을 피할 수 있음
(3) 부작용이 적음
(4) 약물에 의한 치료 효과나 부작용의 발생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으므로 향후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준다.
⑥ Initial monotheraphy에 의해 발작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1) 어떠한 항경련제 치료에도 잘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
(2) Monotherapy로는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3) 일차 약물의 선택이 부적절했던 경우
(4) 약물의 용량이 부적절했던 경우
(5) 환자가 약물을 잘 복용하지 않는 경우 (m/c)
(6) 간질성 발작이 아닌 경우
⑦ 간질의 약물 치료에 있어서 단독 요법이 선호되며, 지속적인 추적 및 정기적인 관찰을 해야 한다.
2. 수술요법
약물에 난치성 간질로 판명되어야 하고, 수술을 하였을 때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을 고려하여, 수술하는 것이 환자에게 유리하다고 판정이 될 때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 종류에는 측 두엽 전절제술, 전두엽 또는 두정엽 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다.
1. 간질성 발작을 일으키는 병소(epileptic focus or lesion)를 수술적으로 제거한다.
(temporal lobectomy, extratemporal corticectomy, hemispherectomy)
2. 간질성 발작이 파급되는 통로를 차단한다.
(corpus callosotomy, stereotaxic alation)
3. 대뇌피질의 흥분도를 감소시키는 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함으로써 간질성 발작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chronic cerebellar stimulation)
* 가장 효과가 좋고 가장 널리 행해지는 수술법
: complex partial seizure 환자에서 시행되는 ATL(anterior tempral lobectomy)
한의학
1. 침구치료
① 毫針療法 (호침요법) 진단에 따라 크게 담기울결(痰氣鬱結)과 심비양허 (心脾陽虛)로 대별된다 - 담기울결(痰氣鬱結) : 인중(人中) 신문(神門) 대릉(大陵) 내관(內關) 간수(肝?) 비수(脾?) 풍륭(豊隆) 풍지(豊池) 풍 부(豊府) 중완(中脘)에 자침(刺鍼)을 한다. - 심비양허(心脾陽虛) : 인중(人中) 백회(百會) 심수(心?) 비수(脾?)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신문(神門) 간사 (間使)에 자침(刺鍼)을 한다.
② 電針療法 (전침요법) 신정(神庭)과 내관(內關), 태양(太陽)과 족삼리(足三里), 풍지(豊池)와 복삼(僕參) 세 조를 교대 로 하여 20분간 전기자극을 가한다. 격일로 1회 시술하며 발작간헐기에 사용한다.
③ 頭針療法 (두침요법) 운동구(運動區), 감각구(感覺區), 족운동감각구(足運動感覺區)를 취하며 병정(病情) 에 따라 다 른 구역을 선택 배합한다.
2. 탕약치료
- 임상유형에 따라 탕약을 달리한다.
① 肝風痰濁(간풍담탁)
- 定癎丸加減 (정간환가감)
丹參(단삼), 天麻川貝母牛膽南星淸半夏陳皮石菖蒲遠志白蠶(천마천패모우담남성청반 하진피석창포원지백강잠), 全蝎竹瀝(전갈죽력)
② 肝火痰熱(간화담열)
- 龍膽瀉肝湯合滌痰湯加減方 (룡담사간탕합척담탕가감방)
山梔黃芩木通當歸生地黃半夏牛膽南星橘紅枳實白茯石菖蒲柴胡(산치황금목통당귀생 지황반하우담남성귤홍지실백복령석창포시호), 竹茹龍膽草(죽여룡담초)
③ 肝腎陰虛(간신음허)
- 左歸丸 (좌귀환)
熟地女貞子山茱萸枸杞子(숙지여정자산수유구기자), 龜版牡蠣鱉甲(구판모려별갑), 柏子 仁遠志朱砂(백자인원지주사)
④ 脾胃虛弱(비위허약)
- 六君子湯加減方 (육군자탕가감방)
釣鉤藤(조구등), 黨參白朮白茯淸半夏陳皮白蠶牛膽南星(당삼백출백복령청반하진피 백강잠우담남성), 甘草(감초)
⑤ 氣滯血瘀(기체혈어)
- 黃赤風湯(황기적풍탕)
黃(황기), 赤芍藥防風(적작약·방풍)
1. 김덕곤 편저. 동의간질학. 1998. 서원당
2. 김남일.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1999. 들녘
3.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2005. 집문당
4. 조홍건. 실용한방정신의학. 2000. 행림출판사
5.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005. 중앙문화사
6. 이상암. 간질의 진단. 2003. 대한의사협회지 제 46권 제 4호.
7. 이상건. 간질의 진단과 치료. 1996. 녹십자 의보 제 140호
8. 명호진. 간질의 진단 및 감별진단. 1975. 한방춘추 학술지 제 8권
9. 이수익. 간질의 원인론. 1975. 한방춘추 학술지 제 8권
10. 이병윤. 간질치료의 진보. 1975. 한방춘추 학술지 제 8권
11. 대한한의사협회 http://www.akom.org
12. 대한신경과학회 http://www.neuro.or.kr
13. 한국간질협회 http://epiworld.co.kr
Ⅰ. 간질(癎疾, epilepsy)이란?
Ⅱ. 간질에 대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 비교
1.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정의 차이
2.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원인 차이
3.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임상 유형 및 증상 차이
4.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진단방법 차이
③ 항경련제의 작용 기전
(1) Voltage dependent ionic channel modulation
(Sodium channel block 하여 action potential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2) Enhancement of GABA-mediated inhibition
(억제되어 발작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3) Suppression of amino acid mediated excitation
(Glutamate supression)
④ Principles of AEDs therapy (항경련제 치료의 원칙)
(1) 적절한 항경련제의 선택
(2) 적절한 항경련제의 용량
(3) 가능하면 monotherapy
(4) Sedative AEDs는 가급적 피할 것
(5) 정기적인 추적 관찰
⑤ Monotheraphy의 장점
(1) 약물 복용이 간편
(2) 약물간의 상호 작용을 피할 수 있음
(3) 부작용이 적음
(4) 약물에 의한 치료 효과나 부작용의 발생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으므로 향후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준다.
⑥ Initial monotheraphy에 의해 발작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1) 어떠한 항경련제 치료에도 잘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
(2) Monotherapy로는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3) 일차 약물의 선택이 부적절했던 경우
(4) 약물의 용량이 부적절했던 경우
(5) 환자가 약물을 잘 복용하지 않는 경우 (m/c)
(6) 간질성 발작이 아닌 경우
⑦ 간질의 약물 치료에 있어서 단독 요법이 선호되며, 지속적인 추적 및 정기적인 관찰을 해야 한다.
2. 수술요법
약물에 난치성 간질로 판명되어야 하고, 수술을 하였을 때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을 고려하여, 수술하는 것이 환자에게 유리하다고 판정이 될 때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 종류에는 측 두엽 전절제술, 전두엽 또는 두정엽 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다.
1. 간질성 발작을 일으키는 병소(epileptic focus or lesion)를 수술적으로 제거한다.
(temporal lobectomy, extratemporal corticectomy, hemispherectomy)
2. 간질성 발작이 파급되는 통로를 차단한다.
(corpus callosotomy, stereotaxic alation)
3. 대뇌피질의 흥분도를 감소시키는 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함으로써 간질성 발작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chronic cerebellar stimulation)
* 가장 효과가 좋고 가장 널리 행해지는 수술법
: complex partial seizure 환자에서 시행되는 ATL(anterior tempral lobectomy)
한의학
1. 침구치료
① 毫針療法 (호침요법) 진단에 따라 크게 담기울결(痰氣鬱結)과 심비양허 (心脾陽虛)로 대별된다 - 담기울결(痰氣鬱結) : 인중(人中) 신문(神門) 대릉(大陵) 내관(內關) 간수(肝?) 비수(脾?) 풍륭(豊隆) 풍지(豊池) 풍 부(豊府) 중완(中脘)에 자침(刺鍼)을 한다. - 심비양허(心脾陽虛) : 인중(人中) 백회(百會) 심수(心?) 비수(脾?)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신문(神門) 간사 (間使)에 자침(刺鍼)을 한다.
② 電針療法 (전침요법) 신정(神庭)과 내관(內關), 태양(太陽)과 족삼리(足三里), 풍지(豊池)와 복삼(僕參) 세 조를 교대 로 하여 20분간 전기자극을 가한다. 격일로 1회 시술하며 발작간헐기에 사용한다.
③ 頭針療法 (두침요법) 운동구(運動區), 감각구(感覺區), 족운동감각구(足運動感覺區)를 취하며 병정(病情) 에 따라 다 른 구역을 선택 배합한다.
2. 탕약치료
- 임상유형에 따라 탕약을 달리한다.
① 肝風痰濁(간풍담탁)
- 定癎丸加減 (정간환가감)
丹參(단삼), 天麻川貝母牛膽南星淸半夏陳皮石菖蒲遠志白蠶(천마천패모우담남성청반 하진피석창포원지백강잠), 全蝎竹瀝(전갈죽력)
② 肝火痰熱(간화담열)
- 龍膽瀉肝湯合滌痰湯加減方 (룡담사간탕합척담탕가감방)
山梔黃芩木通當歸生地黃半夏牛膽南星橘紅枳實白茯石菖蒲柴胡(산치황금목통당귀생 지황반하우담남성귤홍지실백복령석창포시호), 竹茹龍膽草(죽여룡담초)
③ 肝腎陰虛(간신음허)
- 左歸丸 (좌귀환)
熟地女貞子山茱萸枸杞子(숙지여정자산수유구기자), 龜版牡蠣鱉甲(구판모려별갑), 柏子 仁遠志朱砂(백자인원지주사)
④ 脾胃虛弱(비위허약)
- 六君子湯加減方 (육군자탕가감방)
釣鉤藤(조구등), 黨參白朮白茯淸半夏陳皮白蠶牛膽南星(당삼백출백복령청반하진피 백강잠우담남성), 甘草(감초)
⑤ 氣滯血瘀(기체혈어)
- 黃赤風湯(황기적풍탕)
黃(황기), 赤芍藥防風(적작약·방풍)
1. 김덕곤 편저. 동의간질학. 1998. 서원당
2. 김남일.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1999. 들녘
3.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한방신경정신의학. 2005. 집문당
4. 조홍건. 실용한방정신의학. 2000. 행림출판사
5.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005. 중앙문화사
6. 이상암. 간질의 진단. 2003. 대한의사협회지 제 46권 제 4호.
7. 이상건. 간질의 진단과 치료. 1996. 녹십자 의보 제 140호
8. 명호진. 간질의 진단 및 감별진단. 1975. 한방춘추 학술지 제 8권
9. 이수익. 간질의 원인론. 1975. 한방춘추 학술지 제 8권
10. 이병윤. 간질치료의 진보. 1975. 한방춘추 학술지 제 8권
11. 대한한의사협회 http://www.akom.org
12. 대한신경과학회 http://www.neuro.or.kr
13. 한국간질협회 http://epiworld.co.kr
Ⅰ. 간질(癎疾, epilepsy)이란?
Ⅱ. 간질에 대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 비교
1.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정의 차이
2.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원인 차이
3.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임상 유형 및 증상 차이
4.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간질의 진단방법 차이
추천자료
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 및 문헌고찰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현황과 발전방안
[생활위생학] 비만(비만의 규정, 발명, 이상비만, 체중감량, 등)에 대하여 쓰시오
아모레퍼시픽 오설록 티하우스 마케팅 4P, STP, SWOT 분석과 오설록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성인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망상장애 케이스 스터디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임상증상) 치료 및 ...
간세포암종 케이스 A+++++
성인간호 ICU case study- SAH(A+ 칭찬받은자료)
아동 골육종(osteosarcoma)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아동건강간호학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스터디, 피부반응 검사, 폐기물관리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