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사상의 생태적 함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사상의 생태적 함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면, 사람과 자연
은 서로 다른 특성을 띠고 있으므로 분명히 다르다. 그런데 생명
적 차원에서 보면, 사람과 생산물을 가져다주는 땅은 다르지 않
다. 존재론적으로 신토불이(身土不二)이다. 마찬가지로 이성적/감
성적 차원에서 보면, 신은 인간이나 자연과 다르다. 그러나 영성
적 차원에서 조망하면, 우리 민족에게 신과 인간은 분할되지 않
는 신인불이(神人不二)이고 신과 자연(즉, 기의 총체)도 분리되지
않는 신기불이(神氣不二)이다. 이것이 한국의 만유재신론이다. 동
학의 경우, 비록 후대로 내려갈수록 범신론의 색채가 강해진다고
하더라도, 창시자 최제우에게서는 만유재신론의 특성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홍익인간의 이념과 동학은 유기적 연계성
논제와 자연의 탈도구적 가치 논제를 수용하므로 소극적 생태주
의 지평에 놓여 있다.
동학의 경우에는 적극적 생태주의로 나아갈 수 있을 정도로 사
회적 내용도 일정하게 구비하고 있다. 사람이면 누구나 한울님을
자기 안에 모시고 있다. 이것을 깨달을 떼 동료 인간 누구에게나
한울님 모시듯이 소중하고 경건하게 대하게 된다. 선명하게 신분
과 계급의 차별을 철폐하는 평등주의 사회로 나아가게 된다. 구
역별로 소접주와 대접주를 두는데, 집주는 지역민의 의견을 존중
하고 취합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접주에게는 가능한 한 타인의
옳은 의견을 묵살할 권위가 배제될 것이다. 이런 유형의 합리적
이면서 영성적인 자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자연을 대
할 때도, 그 만에 깃든 한울님을 대하듯이 다가가야 하므로 조심
스럽게 할 것이다. 따라서 동학은 생태적 한계성 논제를 수용할
것이고, 이념 구체화 프로그램도 마련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
다. 적극적 생태주의에 다가가 있는 젬이다. 다만 그것이 현대인
으로 하여금 현 문명의 대안으로 선택하게 할 정도로 이념 구체
화의 세부 내용과 절차, 방법을 구비하고 있지는 못하다. 정치와
겅제, 문화에 대한 세부적 내용을 갖추지 못한다면, 생태사회로
나아가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수준에서 머물 수 있다. 동학적 생
태주의의 출현이 요구되는 것이다.
종합하자면 한국 전통의 사상은 우리 내부의 자생적 이념의 뿌
리를 갖고 있었고, 그런 고유의 이상에 비추어 중국에서 유입되
는 유불선을 창의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조성되었는데, 한결같이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자연이 도구를 넘어선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간주하므로 소극적 생태주의의 지평에 놓
여 있음이 분명하다. 다만 한국 전통사상을 세부화하여 유불선과
실학, 토착적인 홍익인간 이념과 동학으로 분류할 때, 그런 각각
의 입장은 인간사회의 경제발전이 생태적 한계를 용인하는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요구하는 생태적 한계성 논제를 수용할
것인지, 또는 향후 도래할 생태사회를 이루기 위해 요청되는 이
념 구체화 프로그램 논제를 구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도의
차이에 따라 다가가 있기도 하고 또 비켜서 있기도 하다고 평가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전통사상이 적극적 생태주의의 지평
으로 발돋움을 해서 미래에 인류가 추구할 새로운 생태주의 사회
로 나아가는 데 얼마나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지의 여부는
각각에 고유한 이념을 현실적으로 매력이 있는 구체적 내용과 절
차로 다듬어 내는 실천적 색채의 생태주의로 성숙을 시킬 수 있
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혜숙 외, 인간관계론, 양서원. 2000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1997
-양창삼, 인간관계와 갈등관리, 경문사. 1997
-이학종, 조직행동론, 세경사. 1997
-최승희, 김수옥, 심리학개론, 박영사 1997
-유기현, 인간관계론, 무역경영사. 1999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