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 어디로 가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교육 어디로 가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작

2. 원인

3. 결론

본문내용

한다. 이는 우리가 아무 것도 숨길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부끄러움도 영속될 필요가 없으며, 어떤 성취도 지나치게 자신을 만족하게 해서도 안된다. 만물은 유동적이며 변화하므로 더 나은 논쟁들을 기다려야 하고 미래의 실험결과들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도 그 문제에서 제외될 수 없다. 모든 공동체들이 훌륭한 주장을 내세우기도 하고 나쁜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모든 의견들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러한 논쟁을 끝내기도 전에 누군가가 지레 포기해 버리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과거에의 과도한 집착을 통해 집단간의 증오를 야기하기 보다, 다양한 문화들의 비판적 학습을 통해 상호 공존의 지혜를 길러주는 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 어떤 사람이 속한 공동체를 거의 배타적으로 대변하는 형태의 교육이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공통의 문화를 성장시키는 공교육에는 반동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다양성을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 다양성은 성장과 표준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일 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성과 종교와 인류의 모든 구성요소들의 차이에 의해 만들어진 ‘발전’에 관한 이야기이다. 우리가 다양성의 논리에서 배워야 하는 이유는 인간의 생명력과 창조성이 얼마나 다양성에 의존하는가를 그것들이 보여주기 때문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것들이 모든 문명인들이 고수해야 할 표준들을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다양성의 법칙은 우리 모두를 지적인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통 가능한 인간성 창출을 위한 언어교육이 바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가 세상을 창조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학교 교육의 구성원칙의 하나이다. 우리는 언어가 이끄는 곳으로 간다. 언어가 우리에게 세상을 볼 수 있도록 허락할 때 우리는 세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우리가 창조했고 또 창조하고 있는 말들을 통해 그 세계에 접근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사용하는 말들이 어떻게 사용되느냐는 우리가 이 세상을 얼마나 언어에 의존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성 창출을 위한 언어교육이 바르게 이루어진다면 교육의 위기는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해결 방안으로 우리의 교육의 위기는 해결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학교 교육의 목적들이 미래 인류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우리 학교는 다시 제 설 자리를 찾게 될 날을 기대하며 이글을 마무리한다.

키워드

교육,   종말,   위기,   대책,   학교,   선생님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0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