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의 합리화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근대 유럽의 합리화과정

Ⅲ. 근대 유럽과 합리성

Ⅳ. 합리화가 초래할 인간의 조건

Ⅴ. 결 론

본문내용

서유럽의 합리성 추구와 합리화과정은 궁극적으로 인간을 '강철같이 가혹한 외피'에 감싸져 질식하게 될 상황에 갇히게 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즉 현대인은 '정신을 잃은 전문가'이며 '감정이 없는 향락인'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인격을 잃은' 인간이 현대인의 전형이 될 것임을 경고하고, 인간이 '인격'을 상실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함을 강조한 것이리라.
이러한 베버의 합리화론은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추진하여 왔던 민주정치와 자본주의 체제의 경험을 파악하고 진단하는데 의미있는 분석을 제공해준다. 비록 한국에서는 서유럽의 합리주의 형성에 크게 기여한 퓨리턴의 종교적 금욕이 작용하지는 않았지만, 근대화과정에서 서양의 가치관과 제도가 정착되면서 전통적 윤리관과 사회제도가 상당히 붕괴되고, 이 두가지 측면이 여러 가지 부분에서 상호 교차하면서 가치영역 간의 갈등과 혼란을 겪는 이른바 '가치다원주의'가 나타나 있다. 서유럽의 합리화처럼 형식합리성이 확립되지도 않았고, 목적합리적 사회행위가 상당히 보편화되어 가고 있지만, 바로 그 이면에는 가치합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사회행위가 실질적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만약 한국이 세계자본주의 질서의 추세에 역행하거나 정치적 민주화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이런 와중에서 한국이 지향하여야 할 합리성은 서유럽이 추구하였던 합리성일 것이다. 목적합리적 사회행위를 통하여 달성된 서양의 형식합리성에 기초한 합리주의가 한국이 획득하여야 할 합리주의의 목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서양식 합리주의를 한국이 지속적으로 추구하게 되면, 한국에서도 '강철같이 가혹한 외피'와 같은 암담한 인간의 조건이 도래할 것인가? 이런 인간의 조건은 서유럽과 같이 자본주의와 민주정치가 고도로 발전해야만 도래할 것이므로, 현재 한국의 자본주의와 민주정치의 진전상태에서는 베버가 예견한 상황이 나타날 것인지 전망하는 것은 불투명하다.
그러나 베버는 합리화과정에서 전개되는 상황을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래서 그는 한국사회에서 엄연히 존재하며 그 위력을 잃지않고 있는 한국적 가족제도와 사회제도 속에 흐르는 가치합리적 요소를 그의 이론 속에서 분명히 인식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러한 가치합리성과 목적합리성의 추구는 갈등을 일으킬 수 있음을 분명히 시사하여 서유럽이 아닌 문화권에서의 사회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었다.
참 고 문 헌
Andreski, Stanislav, Max Weber's Insights & Error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84.
Beetham, David, MaxWeberandtheTheoryofModernPolitics, London: Allen & Unwin, 1974.
Brubaker, Rogers, 合理性의 限界: 막스 베버의 社會道德觀, 나제민 역, 서울: 법문사, 1985.
Kalberg, Stephen, “Max Weber's Types of Rationality : Cornerstones for the Analysis of Rationalization Process in History,” AmericanJournalofSociology, Vol. 85, No. 5(March 1980).
Mitzman, Arthur, Iron Cage: An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Max Weber, New York: Knopf, 1970.
Mommsen, Wolfgang J., “A Liberal in Despair,” TheAgeofBureaucrcy:PerspectivesonthePoliticalSociologyofMaxWeber, Oxford: Unwin Hyman, 1974.
Schluchter, Wolfgang, “Value Neutrality and the Ethic of Responsibility,” Guenther Roth and Wolfgang Schluchter, MaxWeber'sVisionofHistory, Berkele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Seidman, Steven, "Modernity, Meaning, and Cultural Pessimism in Max Weber," Max Weber : Critical Assessments I, ed. by Peter Hamilton, Vol. IV,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1.
Tiryakian, Edward A., “The Sociological Import of a Metaphor : Tracking the Source of Max Weber's ‘Iron Cage’,” MaxWeber:CriticalAssessmentI, ed. by Peter Hamilton, Vol. II,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1.
Warren, Mark, “Max Weber's Liberalism for a Nietzschean World," AmericanPoliticalScienceReview, Vol. 82, No. 1(March 1988).
Weber, Max, "Die protestantische Ethik und der Geist des Kapitalismus," GARS I.
Weber, Max, "Die Wirtschaftsethik der Weltreligionen," GARS I.
Weber, Max, “Kritische Studien auf dem Gebiet der kulturwissenschaftlichen Logik,” GAW.
Weber, Max, "Parlament und Regierung im neugeorgneten Deutschland," GPS.
Weber, Max, “Politik als Beruf,” GPS.
Weber, Max, WG.
Weber, Max, "Wissenschaft als Beruf," GAW.
배동인, "베버의 합리성 개념의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전성우 외, 막스 베버 사회학의 쟁점들, 서울: 민음사, 1995.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01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