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기술론]정신분석상담(학자별개념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융(Carl Jung)의 주요개념
2. 아들러(Alfred Adler)의 주요개념
3. 랑크(Otto Rank)의 주요개념
4. 하니(Karen Horney)의 주요개념
5. 프롬(Erich Fromm)의 주요개념
6. 설리반(Harry S. Sullivan)의 주요개념
7. 에릭슨(Erik Erikson)의 주요 개념

본문내용

van)의 주요개념
가. 대인론
그는 인간관계의 역할과 영향력있는 사람과의 관계를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개인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인성(personality)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의 개인의 행동을 의미한다.
나. 자아 체제
자아 체제는 인간의 안정성에 대한 위협에서 비롯된다. 모든 충동의 기초는 권력에 대한 동기이며 그것은 기본적인 자기 무력감을 극복하기 위해 일생을 통해 작용한다. 즉, 사람의 자아 체제는 대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안에 대한 반응으로 발전한다.
다. 설리반의 경험 모형
그는 인성(personality)의 발달을 인지 과정의 역할로 강조하면서 자아 형성의 세 가지 경험 모형을 소개했다.
① 원형(Protaxic Mode)
생후 일 년 동안에 시공간의 구애없이 다른 두 유형에 대한 필연적인 전제 조건이 된다.
② 병형(Parataxic Mode)
어린이는 자기 주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아무런 평가없이 수용하고 타인에 대해서는 아무런 근거도 없이 반응한다. 즉, 아무런 논리적인 연관성 없이 부분적으로 경험한 것을 전체로 받아 들인다.
③ 전형(Syntaxic Mode)
어린이는 아무런 왜곡없이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대조없이 평가하며 사회에 대한 자신의 관계성을 조금씩 배워 나간다. 즉 어린이는 영향력있는 사람들의 반응에 의해 인성(personality)을 이룬다.
라. 발달 단계
설리반은 인간은 본능적인 적응성으로 인해서 자신의 인성(personality)이 유아기에 형성되기도 하지만, 그러나 대인 관계 속에서 수시로 변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유아기, 아동기, 소년기, 전기 사춘기, 후기 사춘기, 성장기를 포함한 발달 단계를 통하여 인성은 형성된다고 강조한다. 때문에 인간의 인성은 사회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7. 에릭슨(Erik Erikson)의 주요 개념
가. 자아 정체성(Ego Identity)
자아 심리학의 주창자인 에릭슨(Erikson)은 인간의 “자신이 생각하는 나”를 자아의 정체성이라고 생각했다. 자아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소속감을 느낀다. 그리고 과거란 미래의 관점에서 볼 때 의미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성장 단계로 이어지고 각 단계는 다른 단계들과 연관이 있다.
나. 성장 단계
그는 Childhood and Society(1964)에서 각 성장 단계는 충족되어야 할 결정적인 욕구와 함께 해결되어야 할 위기를 갖고 있다고 했다. 그는 첫 3 단계는 초기 유아기에 발생한다고 했다.
① 구순기(oral phase)는 자신과 세계에 대한 신뢰감을 발달시키는 과정이다. 유아는 사랑받는 것을 느낄 때 신뢰감이 발달한다. 이 시기의 위기는 불신이다.
② 항문기(anal phase)에 해당하는 초기 아동기를 그는 자율성 단계”라고 했다. 어린이의 핵심적인 갈등은 수치심에서 시작된다. 그때 그들은 독립심, 환경의 극복, 그리고 자율성을 배워야 한다. 이 시기는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는 반항기이므로 “첫 사춘기”와 같은 것이다. 어린이가 건전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부모의 도움을 받으면서도 스스로 체험하면서 자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남근기(phallic)에 해당하는 특징은 진취적인 단계라는 것이다. 이 시기에 겪는 주요한 갈등은 죄책감이고 그 시기에는 시초 능력, 성역할 확인, 도덕적 규범, 그리고 충동의 조절을 배운다.
그리고 생후 첫 5년 이후에는 다음의 다섯 단계가 있다.
1) 성장기의 열등감.
2) 사춘기의 역할 혼돈.
3) 초기 성년기의 친근감과 고립감.
4) 성년기의 생식과 침체성.
5) 후기 성년기의 자기 완성과 좌절감.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03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