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화폐자본의 역할
Ⅲ. 화폐자본과 화폐거래업
Ⅳ. 화폐자본과 실물자본
Ⅴ. 화폐자본과 상업자본
Ⅵ. 화폐자본과 가변자본
참고문헌
Ⅱ. 화폐자본의 역할
Ⅲ. 화폐자본과 화폐거래업
Ⅳ. 화폐자본과 실물자본
Ⅴ. 화폐자본과 상업자본
Ⅵ. 화폐자본과 가변자본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소득으로 되며, 또 한 사람에게 있어서 가변자본과 잉여가치인 것(I(v+s)), 즉 일반적으로 소득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 있어서는 불변자본으로 된다. => 이하는 이에 대한 설명.
올해의 재생산의 여러 요소들의 교환을 연구하자면 지난해의 노동(이미 끝난 해의 노동)의 결과도 연구하여야 한다.
I부문의 가변자본은 연간 생산물의 교환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거나 암시적으로만 나타나는 세 가지 형태변화를 겪는다.
(1) 첫째 형태는 Iv의 화폐형태. 동등한 가치액의 노동력으로 전환된다. I부문의 노동자가 화폐를 가지고 II부문의 상품판매자들과 대면한다는 사실로 나타난다.
(2) 둘째 형태는 가변자본이 실제로 변화하여 가변자본으로서 기능하는 유일한 형태. 가치창조력이 그것과 교환된 주어진 가치 대신에 나타나며, 생산과정에 속한다.
(3) 셋째 형태는 가변자본이 생산과정의 결과 중에 자기를 가변자본으로서 실증하는 형태. 연간의 가치생산물. 그러나 상품형태에서는 다만 잠재적인 화폐이며, Iv의 상품이 IIc에게 팔리는 것에 의해서 화폐자본으로 된다.
- 이 모든 전환이 진행되는 동안 I부문의 자본가들은 항상 가변자본을 자기들의 손에 쥐고 있다. (1) 화폐자본, (2) 생산자본의 요소, (3) 상품자본의 가치부분(상품가치), (4) 다시 화폐.
-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힘이 길건 짧건 일정한 기간 이미 작용한 다음에야 비로소 노동자들에게 지불하므로, 자본가들은 그들이 지불하기 전에 벌써 노동력이 창조한 자기 자신의 보전가치 더하기 잉여가치를 자기들의 손에 가지고 있다.
가변자본은 이러저러한 형태로 늘 자본가의 손에 남아 있으므로 그것이 그 누구를 위한 소득으로 전환된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소득으로 분해 되는 것은 I부문의 가변자본의 화폐형태의 v가 아니다. 임금으로서 얻은 화폐가 노동계급의 손에서 거치는 전화는 결코 가변자본의 전환이 아니라 화폐로 전환된 그들의 노동력의 가치의 전환이다.
- 그러나 자본가들, 그리고 더욱이 그들의 이론적 대변자인 경제학자들은, 노동자들에게 지불한 화폐가 여전히 자본가들의 화폐라는 망상을 좀처럼 버리지 못하고 있다.
- 소비수단에 노동자들이 지출하는 것은 가변자본이 아니라 임금(노동자들의 화폐)인데, 이 화폐가 바로 이 소비수단으로 실현됨으로써 가변자본을 자본가들에게 화폐형태로 회복시켜주는 것이다. 소득으로 분해 되는 것은 어느 경우에나 임금뿐이다.
참고문헌
◇ 안현효(1995), 현대 스태그플레이션 분석의 이론구조 - 공황론과 화폐론의 결합을 위하여, 화폐, 신용, 자본주의, 사회경제평론 7호, 한국사회경제학회편, 한울
◇ 이정선(2001),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관계 : 콜맨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4(2)
◇ 전창환(1994), 아글리에타의 현대자본주의 동학이론에 대한 고찰, 고려대박사학위논문
◇ 칼 마르크스, 자본론 제1권, 도서출판 백의
◇ 황태연(1990), 한국사회와 자본론의 강의, 도서출판 중원문화
◇ 홍진근·정상철, 서혁수, 문화의 시대를 여는 문화자본구축 전략
올해의 재생산의 여러 요소들의 교환을 연구하자면 지난해의 노동(이미 끝난 해의 노동)의 결과도 연구하여야 한다.
I부문의 가변자본은 연간 생산물의 교환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거나 암시적으로만 나타나는 세 가지 형태변화를 겪는다.
(1) 첫째 형태는 Iv의 화폐형태. 동등한 가치액의 노동력으로 전환된다. I부문의 노동자가 화폐를 가지고 II부문의 상품판매자들과 대면한다는 사실로 나타난다.
(2) 둘째 형태는 가변자본이 실제로 변화하여 가변자본으로서 기능하는 유일한 형태. 가치창조력이 그것과 교환된 주어진 가치 대신에 나타나며, 생산과정에 속한다.
(3) 셋째 형태는 가변자본이 생산과정의 결과 중에 자기를 가변자본으로서 실증하는 형태. 연간의 가치생산물. 그러나 상품형태에서는 다만 잠재적인 화폐이며, Iv의 상품이 IIc에게 팔리는 것에 의해서 화폐자본으로 된다.
- 이 모든 전환이 진행되는 동안 I부문의 자본가들은 항상 가변자본을 자기들의 손에 쥐고 있다. (1) 화폐자본, (2) 생산자본의 요소, (3) 상품자본의 가치부분(상품가치), (4) 다시 화폐.
-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힘이 길건 짧건 일정한 기간 이미 작용한 다음에야 비로소 노동자들에게 지불하므로, 자본가들은 그들이 지불하기 전에 벌써 노동력이 창조한 자기 자신의 보전가치 더하기 잉여가치를 자기들의 손에 가지고 있다.
가변자본은 이러저러한 형태로 늘 자본가의 손에 남아 있으므로 그것이 그 누구를 위한 소득으로 전환된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소득으로 분해 되는 것은 I부문의 가변자본의 화폐형태의 v가 아니다. 임금으로서 얻은 화폐가 노동계급의 손에서 거치는 전화는 결코 가변자본의 전환이 아니라 화폐로 전환된 그들의 노동력의 가치의 전환이다.
- 그러나 자본가들, 그리고 더욱이 그들의 이론적 대변자인 경제학자들은, 노동자들에게 지불한 화폐가 여전히 자본가들의 화폐라는 망상을 좀처럼 버리지 못하고 있다.
- 소비수단에 노동자들이 지출하는 것은 가변자본이 아니라 임금(노동자들의 화폐)인데, 이 화폐가 바로 이 소비수단으로 실현됨으로써 가변자본을 자본가들에게 화폐형태로 회복시켜주는 것이다. 소득으로 분해 되는 것은 어느 경우에나 임금뿐이다.
참고문헌
◇ 안현효(1995), 현대 스태그플레이션 분석의 이론구조 - 공황론과 화폐론의 결합을 위하여, 화폐, 신용, 자본주의, 사회경제평론 7호, 한국사회경제학회편, 한울
◇ 이정선(2001),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관계 : 콜맨의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4(2)
◇ 전창환(1994), 아글리에타의 현대자본주의 동학이론에 대한 고찰, 고려대박사학위논문
◇ 칼 마르크스, 자본론 제1권, 도서출판 백의
◇ 황태연(1990), 한국사회와 자본론의 강의, 도서출판 중원문화
◇ 홍진근·정상철, 서혁수, 문화의 시대를 여는 문화자본구축 전략
추천자료
화폐와 금융의 기능과 통화량의 변화와 실물경제(A+)
[남북한사회통합][남북통합][노동시장통합][화폐통합][정보통신통합][에너지통합]남북한 사회...
[북한][북한의 노동정책][북한의 환경정책][북한의 화폐][북한의 금융제도][북한의 사회복지...
[북한][인구][자연환경][정치제도][민속놀이][연극][토지소유제도][주거문화][화폐제도]북한 ...
[포스트케인지언경제학][화폐신용이론][가격이론][분배모형]포스트케인지언경제학의 특징, 포...
케인즈(케인즈학파 경제학)의 이론과 방법론, 케인즈(케인즈학파 경제학)의 경제학목표와 화...
(A+, 전자화폐) 전자화폐의 등장과 문제점 및 해결 방안
(A+, 전자화폐) 전자화폐의 등장과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지역화폐운동
[페르시아, 페르시아제국, 페르시아(페르시아제국) 화폐, 페르시아 건축]페르시아(페르시아제...
(A+ 레포트) 화폐제도와 화폐정책
비트코인 특징, 문제점 그리고 향후 전망 [비트코인,가상화폐,암호화폐,Bitcoin,블록체인,채...
시사 이슈 에세이 - 가상화폐 열풍에 대한 나의 견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암호화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