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_광주_놀이지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1~80번

본문내용

) 예측할 수 없어 호기심을 자극하는 시간표
5) 일관성 있는 시간구성
57. 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통합교육을 성공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가장 필요한 것은 성인의 중재이다.
2) 장애아동에게 사회성기술을 훈련시켜서는 안된다.
3)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4) 모델링, 강화의 사용은 부적절하다.
5) 성인의 중재는 필요하지 않다.
58. 대근육활동의 자료로서 적당한 것은?
1) 훌라우프
2) 목공놀이기구
3) 동물사육
4) 리듬악기류
5) 퍼즐류
59. 유아가 상징적 사고를 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1) 12개월
2) 18개월
3) 24개월
4) 36개월
5) 48개월
60. 하나의 활동을 완성시키기 위하여 도구적 활동에만 사용되는 놀잇감은?
1) 미로 찾기
2) 밀가루 반죽
3) 단위블록
4) 모래
5) 인형놀이
61.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5~7세)의 놀잇감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밀고 당기는 놀잇감
2) 칠판
3) 지구의
4) 메트
5) 줄넘기
62. 다음 중 놀잇감 선택 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단조로운 놀잇감
2) 표기된 생활 연령
3) 어른의 기호에 맞는 것
4) 복잡한 것
5) 다양성이 있는 것
63. 교사가 시범을 보이며 직접 지도해야 하는 것은?
1) 주제 환상극하기
2) 블록으로 다리 만들기
3) 목공놀이의 못질하기
4) 퍼즐 맞추기
5) 책 읽기
64. 놀이관찰법이 아닌것은?
1) 체크리스트 사용
2) 내적중재법
3) 일화기록법
4) 평정척도 사용
5) 비디오 촬영
65. 물놀이 도구로써 적당치 않은 것은?
1) 뜨거나 가라앉는 물건
2) 구멍이 뚫린 그릇
3) 덤프트럭과 삽
4) 낚시도구 놀이
5) 그릇들
66. 다음 중 사회놀이를 보다 상세히 관찰, 측정할 수 있는 척도는?
1) 체크리스트
2) 또래놀이 척도
3) 평정척도
4) 사회극 척도
5) 인지 척도
67. 다음 중 운동장애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이분척추는 아동의 척추가 다 성장하지 않고 열려 있어 척수의 보호에 영향을 준다.
2) 뇌성마비가 중도인 경우에는 걷거나 서툴러 보이지만 움직일 수 있다.
3) 근육장애는 일반적으로 10세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대개 20대 초반에 사망한다.
4) 근육장애는 아동이 성장하면서 근육이 점점 약해지고 협응의 어려움을 갖는다.
5) 뇌성마비는 출산 시 또는 출생이전의 두뇌의 손상으로 오는 신경근육장애이다.
68. 변형된 사물이 실제로 그것을 상징하고자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실제적 거리
2) 구체적 거리
3) 왜곡된 거리
4) 상징적 거리
5) 사회적 거리
69. 자폐아동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자폐아동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지체되어 있다.
2) 의사소통의 문제가 있다.
3) 자신과 외부 세상과의 변별에 어려움을 가진다.
4)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이해와 기능의 문제가 있다.
5) 일반아동의 지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신지체아동으로 진단되기도 한다.
70. 모래놀이, 물놀이, 목공놀이는 어느 놀이영역에 해당되는가?
1) 구성활동영역
2) 신체활동영역
3) 자연과학활동영역
4) 극놀이활동영역
5) 수놀이활동영역
71. 파튼의 사회놀이와 피아제의 인지놀이 범주를 혼합하여 관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루빈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것은?
1) 사회/인지척도
2) 또래놀이척도
3) 사회극놀이척도
4) 평정척도
5) 체크리스트
72. 소꿉놀이에 필수적으로 있어야하는 놀잇감은?
1) 소형 모조품
2) 개방식 놀잇감
3) 특수목적용 놀잇감
4) 대형 놀잇감
5) 식탁
73. 다음 중 장애아동을 위한 놀이토대 평가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비구조화된 평가- 놀이기간 중 나타난 모든 행동을 파악하고자 하며, 자발적으로 놀이를 관찰 할 수 있다.
2) 구조화된 평가 - 각각 다른 발달 영역에서 또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아동의 놀이를 관찰한다.
3) 초학문적 평가- 사전에 관찰하고자 하는 놀이행동이 정해진 경우이다.
4) 초학문적 평가- 사용된 놀잇감과 절차, 놀이행동을 하게하기 위해서 성인이 사용하는 전략이 정해져 있다.
5) 비구조화된 평가- 부모를 포함한 대표자들이 한 팀을 이루어 각각 다른 발달영역에서 또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아동의 놀이를 관찰하는 것이다.
74. 놀이터 외에 어린이 주변을 놀이에 적합하도록 고려하는 방안이다. 아닌 것은?
1) 모든 건물설계를 놀이에 알맞게 하기
2) 옥상을 놀이장소로 만든다.
3) 건물자체에 놀이를 유도하는 설치를 한다.
4) 공공건물 안에 놀이장소 만들기
5) 생활주변의 적당한 곳을 찾아 놀이장소로 만든다.
75. 학대를 받는 아동의 특성으로 바른 것은?
1) 언어발달의 심각한 지체
2) 공격적 또는 위축
3) 근육의 쇠퇴
4) 근육의 발달
5) 적절한 행동
76. 아동의 놀이를 관찰하는 가정 바람직한 태도는?
1) 가능한 새로운 상황, 새로운 놀잇감이 많은 곳에서 한다.
2) 한 번의 관찰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3) 실내에서만 놀이를 관찰한다.
4) 유아가 놀이환경에 익숙해 지기를 기다려 관찰한다.
5) 실외에서만 관찰하도록 한다.
77. 다음 놀이 중 가장 치료적 가치가 있는 놀이는? 2
1) 블록놀이
2) 모래놀이
3) 조작놀이
4) 목공놀이
5) 물놀이
78. 청각장애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4
1) 청력의 손실은 소리의 파동이 두뇌의 신경세포에 전달되지 않을 때 온다.
2) 청력의 손실은 신경섬유의 손상으로 제대로 들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3) 감각-신경손상의 경우는 유전적이거나 의학적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4) 소리의 파동이 신경세포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 청력의 회복이 불가능하다.
5) 감각-신경손상의 경우 수술을 통해 청력을 회복할 수 있다.
79. 다음 중 클라인과 안나 프로이드의 견해차이점은? 3
1) 놀이지도에서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견해
2) 아동과 성인의 차이에 대한 견해
3) 아동의 놀이해석에 대한 견해
4) 이론적 토대
5) 상징적의미의 중요성
80.다음 중 패터슨이 모래밭의 형태로 적절하다고 한 것은? 1
1. 직사각형
2. 정사각형
3. 타원형
4. 삼각형
5. 오각형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5.10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