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본문내용
이유는 협동학습을 통하였을 경우 심층적인 지식 구성이 가능하고, 지식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구성주의적 수업의 경우 개인별 구성보다, 조별 구성이 보다 구성주의적이고, 심층적 지식 구성이 가능하며, 나아가 지식 구성의 능동성과 자기주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또 하나의 중요한 사실은 심층적이고 고차적인 토의와 합의를 가능케 하는 사회적상호작용의 기제가 도식적 표상이라는 것이다.
2) 레지오적 구성주의 접근법의 대표적 특징은 도식적 표상이다. 그러나 1차 현장연구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과 자신들의 생각을 나타내기보다는 정답을 나타내려는 현상이었다. 따라서 선행논문에서 제시한 것 같은 구성 결과를 위한 도식적 표상보다, 구성의 과정적, 매개체적 도구로써 도식적 표상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3) 레지오적 구성주의 수업에서 간과하기 쉬운 절차가 나선형적 구성이다.
어떤 지식이 맥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구성될 때, 그 때 심층적인 지식이 구성된다. 그리고 그 전제는 중요한 경험을 반복하고, 관찰한 것을 다시 관찰하고, 다시 그에 대해 표상하고, 재 표상 하도록 격려 받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 나선형적 구성이다. 이 같은 절차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익숙치 못하여 여러 절차 중 가장 쉽게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선행학습에서의 구성과정과 구성 맥락을 재 상기시키고, 이를 통해 지식 구성의 지속성과 심층성을 강화하는 나선형적 구성을 간과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4) 구성주의 수업이라 하여, 지식을 스스로 구성한다 하여, 학습의 중심을 지나치게 학습자쪽에 두어, 학습자 스스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모른다면, 이론적으로 아무리 좋은 학습방법이라도 교육적 효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의 방향성과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에 대한 지속적 안내와 조력을 하여야 한다. 이 때 안내는 학습자들이 나아가는 방향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안내가 아니라, 자신들의 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생각해보도록 하는, 때로 자신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안내이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지식의 맥락적 구성을 위한, 그리고 사고력을 촉진시키기 위한 디딤돌로써의 안내이어야 한다.
5) 학습 주제는 수업의 전체 방향성과 학습의 능동성 및 자기 주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1차 현장 연구결과로 볼 때, 학습 주제는 학습자의 생활 속에, 그들의 삶의 터전에서 지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된 학습자료 역시 주제와 관련하여 생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을 중심으로 수집, 선정하여야 한다.
6) 레지오 접근법처럼 한학기 정도의 프로젝트 수업은 우리나라 중등에는 적합치 않다. 그러나 주제(선도) 개념을 중심으로 연계성과 위계성을 갖춘 개념들을 조직하고, 이를 토대로 여러 차시의 수업을 연계할 경우, 프로젝트 학습이 지향하는 지속적이며, 심층적이고, 전이력 있는 지식 구성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의 전제는 철저한 교과서 분석이다.
이상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레지오적 구성주의 학습 절차에 대한 1차 현장연구결과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장연구는 지속적, 순환적 과정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1차 현장연구를 토대로 한 2차 현장 연구와 2차 연구에서 노정될 문제점과 개선책, 이를 토대로 한 보다 현실 적합성을 갖는 구성주의적 학습절차에 대한 현장연구는 차후의 과제로 돌리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김영정 역(1988), 표상과 실제,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희진, 오문자 역(1998),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서울:정민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8), 교육학 대백과 사전, 서울:하우동설
송언근, 1998, 사회과 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지리적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논총, 12,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5-222.
송언근, 이보영(1999), 구성주의 인식론에서 본 구성주의적 지리교육의 전제, 지리학연구, 33(1), 한국지리교육학회, 15-27.
송언근(2000), 지리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을 위한 또 하나의 구성: 레지오 에밀리아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5(1), 대한지리학회, 95-120.
이영옥, 정성호 역(1991), 표상: 인지과학의 기초에 관한 연구, 서울:민음사
이용숙, 김영천 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교육과학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교육과학사
최의창(1995), 교사 현장 개선 연구,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지 2(1),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 91-101.
최의창(1996), 교사연구와 체육교사연구,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지 3(1), 한국 스포츠 교육학회, 1-20.
한국분석철학회 편(1999), 언어표상세계, 서울:철학과 현실사
Ortun Zuber-Skerritt(1996), New Directions in Action Research, Lodon:The Falmer Press.
Norman K. Denzin & Yvonna S. Lincoln(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don:SAGE publications.
Norman K. Denzin & Yvonna S. Lincoln(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econd edition, Lodon:SAGE publications.
Sandra Hollingsworth(1997), International Action Research: A Casebook for Educational Reform, Lodon:The Falmer Press.
Christine O′Hanlon(1996),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Action Research in Educational Settings, Lodon:The Falmer Press.
2) 레지오적 구성주의 접근법의 대표적 특징은 도식적 표상이다. 그러나 1차 현장연구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과 자신들의 생각을 나타내기보다는 정답을 나타내려는 현상이었다. 따라서 선행논문에서 제시한 것 같은 구성 결과를 위한 도식적 표상보다, 구성의 과정적, 매개체적 도구로써 도식적 표상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3) 레지오적 구성주의 수업에서 간과하기 쉬운 절차가 나선형적 구성이다.
어떤 지식이 맥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구성될 때, 그 때 심층적인 지식이 구성된다. 그리고 그 전제는 중요한 경험을 반복하고, 관찰한 것을 다시 관찰하고, 다시 그에 대해 표상하고, 재 표상 하도록 격려 받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 나선형적 구성이다. 이 같은 절차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익숙치 못하여 여러 절차 중 가장 쉽게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선행학습에서의 구성과정과 구성 맥락을 재 상기시키고, 이를 통해 지식 구성의 지속성과 심층성을 강화하는 나선형적 구성을 간과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4) 구성주의 수업이라 하여, 지식을 스스로 구성한다 하여, 학습의 중심을 지나치게 학습자쪽에 두어, 학습자 스스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모른다면, 이론적으로 아무리 좋은 학습방법이라도 교육적 효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의 방향성과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에 대한 지속적 안내와 조력을 하여야 한다. 이 때 안내는 학습자들이 나아가는 방향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안내가 아니라, 자신들의 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생각해보도록 하는, 때로 자신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안내이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지식의 맥락적 구성을 위한, 그리고 사고력을 촉진시키기 위한 디딤돌로써의 안내이어야 한다.
5) 학습 주제는 수업의 전체 방향성과 학습의 능동성 및 자기 주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1차 현장 연구결과로 볼 때, 학습 주제는 학습자의 생활 속에, 그들의 삶의 터전에서 지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된 학습자료 역시 주제와 관련하여 생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을 중심으로 수집, 선정하여야 한다.
6) 레지오 접근법처럼 한학기 정도의 프로젝트 수업은 우리나라 중등에는 적합치 않다. 그러나 주제(선도) 개념을 중심으로 연계성과 위계성을 갖춘 개념들을 조직하고, 이를 토대로 여러 차시의 수업을 연계할 경우, 프로젝트 학습이 지향하는 지속적이며, 심층적이고, 전이력 있는 지식 구성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의 전제는 철저한 교과서 분석이다.
이상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레지오적 구성주의 학습 절차에 대한 1차 현장연구결과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장연구는 지속적, 순환적 과정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1차 현장연구를 토대로 한 2차 현장 연구와 2차 연구에서 노정될 문제점과 개선책, 이를 토대로 한 보다 현실 적합성을 갖는 구성주의적 학습절차에 대한 현장연구는 차후의 과제로 돌리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김영정 역(1988), 표상과 실제, 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희진, 오문자 역(1998),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서울:정민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8), 교육학 대백과 사전, 서울:하우동설
송언근, 1998, 사회과 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지리적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논총, 12,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5-222.
송언근, 이보영(1999), 구성주의 인식론에서 본 구성주의적 지리교육의 전제, 지리학연구, 33(1), 한국지리교육학회, 15-27.
송언근(2000), 지리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을 위한 또 하나의 구성: 레지오 에밀리아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5(1), 대한지리학회, 95-120.
이영옥, 정성호 역(1991), 표상: 인지과학의 기초에 관한 연구, 서울:민음사
이용숙, 김영천 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교육과학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교육과학사
최의창(1995), 교사 현장 개선 연구,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지 2(1),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 91-101.
최의창(1996), 교사연구와 체육교사연구, 한국 스포츠 교육 학회지 3(1), 한국 스포츠 교육학회, 1-20.
한국분석철학회 편(1999), 언어표상세계, 서울:철학과 현실사
Ortun Zuber-Skerritt(1996), New Directions in Action Research, Lodon:The Falmer Press.
Norman K. Denzin & Yvonna S. Lincoln(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don:SAGE publications.
Norman K. Denzin & Yvonna S. Lincoln(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econd edition, Lodon:SAGE publications.
Sandra Hollingsworth(1997), International Action Research: A Casebook for Educational Reform, Lodon:The Falmer Press.
Christine O′Hanlon(1996),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Action Research in Educational Settings, Lodon:The Falmer Press.
추천자료
한국 교육열에 대한 연구
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정리
몬테소리의 아동교육관에 관한 연구
발도로프 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듀이의 아동중심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평가E]질적연구의 개념은 무엇이고 이것을 실시한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논의
수학과(수학교육)의 정의, 수학과(수학교육)의 성격, 수학과(수학교육) 기본 방향, 수학과(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일본어 교과교육론] 일본어 교재연구 (교육과정에 따른 일본어교재,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
사회조사방법론 A형 청소년교육 관련 연구계획서 - 청소년 체험활동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제 교육 방안 연구 - ‘-았’‘-는’...
[한국어 문법 교육론]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