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학업성적과 비행과의 관계
3.분석모형, 자료 및 주요변인의 측정방법
4.분석 및 논의
5.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2.학업성적과 비행과의 관계
3.분석모형, 자료 및 주요변인의 측정방법
4.분석 및 논의
5.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석해볼 수 있다.
그러나 부모와의 결속과 비행친구와의 교제의 경우에는 검정요인에 대한 시간적 선후행의 가정 여하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학교유형은 시간적으로 선행한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유형에 따라 즉 인문고보다는 실업고로 진학하게 되면 부모와의 결속을 약화시켜 비행으로 이어지거나, 비행친구와의 교제를 강화시켜 비행으로 이어진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 그러나 학업성적과 검정요인과는 시간적 선 후행을 가정할 적절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학업성적이 선행하여 부모와의 결속 및 비행친구와의 교제라는 매개과정을 거쳐 비행으로 이어질 수도 있겠고, 부모와의 결속 및 비행친구와의 교제라는 요인이 선행하여 성적과 비행에 동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면 학업성적이 비행의 원인이라기보다는 부모와의 결속과 비행친구와의 교제라는 요인이 비행의 진정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학교유형 및 학업성적과 비행과의 인과적 연관에 관한 논의는 일정한 가정하의 추론적인 논의라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횡단적인 조사 자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종단적인 조사 자료를 통한 인과적 과정에 관한 좀 더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경험적 조사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문고 학생보다 실업고 학생이 약 2배 정도 더 비행을 범하고 있다는 점과 학급석차에 따른 학업성적의 차이보다는 인문고 학생인가 실업고 학생인가 하는 학교유형별 차이가 부모와의 결속 및 비행친구와의 교제의 차이를 가져와 즉, 실업고 학생들 경우가 인문고 학생들 경우보다 부모와의 결속은 약화되고 비행친구와의 교제의 가능성은 강화되어 비행을 더 범하게 된다는 인과적 연관을 보여주고 있는 점을 고려해보면, 학벌이 과도하게 강조되는 한국사회에서에서 청소년 비행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의 학업성적보다는 더 큰 틀에서 학력의 차이를 반영하는 인문고인가 실업고인가 하는 학교유형이라는 요인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낸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성과라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김상봉(2004). 『학벌사회』. 서울: 한길사.
김용래(1976). “학업성취도와 자아개념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각급학교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 논총』7. pp.49-173.
김준호김선애(1999). “공부와 청소년 비행.” 『청소년학 연구』 6(2). pp.123-143.
김준호노성호(1993). "학교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김준호 외(1990).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연구-공부압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 89-03.
김준호이성식(1996). “계층에 따른 학업성적과 비행 - 긴장이론과 사회통제이론의 논쟁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7(4). pp.97-120.
김지선(1996). "학업성적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석사논문.
남재봉(2007). “청소년의 지위특성과 비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충북대 사회과학연구소) 24(2). pp.31-64.
(1990). "청주시내 중고생의 비행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충북대사회과학연구소) 7(1). pp.5-36.
조정문(198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비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Agnew, R.(1992).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 pp.47-61.
Babbie, Earl. R.(2007).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고성호 외 (역). 『사회조사방법론』제11판. 도서출판 그린.
Glueck, S.(1950). Unraveling Juvenile Delinquency. New York: Common Wealth Fund.
Hawkins, J. D. and D. L. Lishner(1987). "Schooling and Delinquency." in E. H. Johnson (ed.) Handbook on Crime and Delinquency Prevention. Westport, CT: Greenwood Press.
Hirschi, T.(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CA: Univesity of California Press.
Kaplan, H. C. B.(1976). "Self-Attitude and Deviant Response." Social Forces. 54. pp.788-801.
Lemert, Edwin M.(1967). Human Deviance, Social Problems and Social Control.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iska, A. E. and M. D. Reed(1985). "Ties to Conventional Institutions and Delinquency: Estimating Reciprocal Effec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0. pp.547-60.
Merton Robert. K.(1938).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 pp672-682.
Reckless, Walter and Simon Dinitz(1967). "Pioneering with Self -Concept as a Vulnerability Factor in Delinquency." Journal of Criminal Law, Criminology and Police Science. 58. pp.515-523.
Sutherland, Edwin, and Donald Cressey(1970). Principles of Criminology. New York: Lippincott.
Winslow, Robert W.(1973). Juvenile Delinquency in a Free Society. Encino CA: Dickinson Publishing Co.
그러나 부모와의 결속과 비행친구와의 교제의 경우에는 검정요인에 대한 시간적 선후행의 가정 여하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학교유형은 시간적으로 선행한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유형에 따라 즉 인문고보다는 실업고로 진학하게 되면 부모와의 결속을 약화시켜 비행으로 이어지거나, 비행친구와의 교제를 강화시켜 비행으로 이어진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 그러나 학업성적과 검정요인과는 시간적 선 후행을 가정할 적절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학업성적이 선행하여 부모와의 결속 및 비행친구와의 교제라는 매개과정을 거쳐 비행으로 이어질 수도 있겠고, 부모와의 결속 및 비행친구와의 교제라는 요인이 선행하여 성적과 비행에 동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면 학업성적이 비행의 원인이라기보다는 부모와의 결속과 비행친구와의 교제라는 요인이 비행의 진정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학교유형 및 학업성적과 비행과의 인과적 연관에 관한 논의는 일정한 가정하의 추론적인 논의라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횡단적인 조사 자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종단적인 조사 자료를 통한 인과적 과정에 관한 좀 더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경험적 조사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문고 학생보다 실업고 학생이 약 2배 정도 더 비행을 범하고 있다는 점과 학급석차에 따른 학업성적의 차이보다는 인문고 학생인가 실업고 학생인가 하는 학교유형별 차이가 부모와의 결속 및 비행친구와의 교제의 차이를 가져와 즉, 실업고 학생들 경우가 인문고 학생들 경우보다 부모와의 결속은 약화되고 비행친구와의 교제의 가능성은 강화되어 비행을 더 범하게 된다는 인과적 연관을 보여주고 있는 점을 고려해보면, 학벌이 과도하게 강조되는 한국사회에서에서 청소년 비행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학교 내의 학업성적보다는 더 큰 틀에서 학력의 차이를 반영하는 인문고인가 실업고인가 하는 학교유형이라는 요인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낸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성과라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김상봉(2004). 『학벌사회』. 서울: 한길사.
김용래(1976). “학업성취도와 자아개념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각급학교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 논총』7. pp.49-173.
김준호김선애(1999). “공부와 청소년 비행.” 『청소년학 연구』 6(2). pp.123-143.
김준호노성호(1993). "학교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김준호 외(1990).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연구-공부압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 89-03.
김준호이성식(1996). “계층에 따른 학업성적과 비행 - 긴장이론과 사회통제이론의 논쟁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7(4). pp.97-120.
김지선(1996). "학업성적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석사논문.
남재봉(2007). “청소년의 지위특성과 비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충북대 사회과학연구소) 24(2). pp.31-64.
(1990). "청주시내 중고생의 비행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충북대사회과학연구소) 7(1). pp.5-36.
조정문(198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비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논문.
Agnew, R.(1992).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 pp.47-61.
Babbie, Earl. R.(2007).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고성호 외 (역). 『사회조사방법론』제11판. 도서출판 그린.
Glueck, S.(1950). Unraveling Juvenile Delinquency. New York: Common Wealth Fund.
Hawkins, J. D. and D. L. Lishner(1987). "Schooling and Delinquency." in E. H. Johnson (ed.) Handbook on Crime and Delinquency Prevention. Westport, CT: Greenwood Press.
Hirschi, T.(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CA: Univesity of California Press.
Kaplan, H. C. B.(1976). "Self-Attitude and Deviant Response." Social Forces. 54. pp.788-801.
Lemert, Edwin M.(1967). Human Deviance, Social Problems and Social Control.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iska, A. E. and M. D. Reed(1985). "Ties to Conventional Institutions and Delinquency: Estimating Reciprocal Effec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0. pp.547-60.
Merton Robert. K.(1938).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 pp672-682.
Reckless, Walter and Simon Dinitz(1967). "Pioneering with Self -Concept as a Vulnerability Factor in Delinquency." Journal of Criminal Law, Criminology and Police Science. 58. pp.515-523.
Sutherland, Edwin, and Donald Cressey(1970). Principles of Criminology. New York: Lippincott.
Winslow, Robert W.(1973). Juvenile Delinquency in a Free Society. Encino CA: Dickinson Publishing Co.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고려대 경영학과 대학원 합격 학업계획서
[교육사회학] 학업스트레스의 원인과 대처방안
서울대 대학원 합격 학업계획서 (사회과학분야)
대학생활에서 일어나는 윤리성 문제 (학업부정행위)
[교육학] 학업성취도 평가, 일제고사에 관하여
생활지도 사례분석-청소년 학업문제,학습장애 상담사례
[계량분석] 청소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Replication 연구모형]
중등교원의 행정업무 부담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위계적 선형모형 ...
‘청소년 학업스트레스’ 관련 연구 논문 분석
청소년의 흡연중독 문제와 학업부진에 따른 대처방안을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