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성리학
1) 성리학과 교육과의 관계
2) 성리학의 목표
3) 성리학의 교육 이념
4) 이황의 교육사상
① 교육목적
② 교육내용(교육과정)
③ 교육방법
④ 성학십도와 성학집요
⑤「성학십도」
⑥「성학집요」
⑦「성학십도」& 「성학집요」차이
(2) 실학사상
1) 실학사상의 배경과 발전
2) 실학사상의 교육목적
3) 실학사상의 교육내용
4) 실학사상의 의의
3. 결론
* 참고자료
2. 본론
(1) 성리학
1) 성리학과 교육과의 관계
2) 성리학의 목표
3) 성리학의 교육 이념
4) 이황의 교육사상
① 교육목적
② 교육내용(교육과정)
③ 교육방법
④ 성학십도와 성학집요
⑤「성학십도」
⑥「성학집요」
⑦「성학십도」& 「성학집요」차이
(2) 실학사상
1) 실학사상의 배경과 발전
2) 실학사상의 교육목적
3) 실학사상의 교육내용
4) 실학사상의 의의
3.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첫째, 신분에 의한 교육차별을 반대하면서 귀속적 요인이 아닌 ‘능력’에 의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등의 교육의 기회균등에 노력하였다. 둘째, 공교육제도의 필요성과 단계적인 학교제도로의 개편을 포함한 교육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셋째, 우리나라의 실정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의 역사지리풍속언어제도 등에 관한 교육은 물론, 외국의 문물제도학술언어(외국어) 등도 가르쳐야 한다는 등의 교육과정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넷째, 기술교육직업교육과학교육 등의 실용적인 교육을 역설하였다.
3. 결론
성리학은 지식의 실용성을 경시하여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정치경제사회의 모든 활동에 실제적인 것이 되지 못해 조선의 발전에 장해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이에 대한 반성으로 실학주의가 싹트게 되었다. 실학사상은 조선사회의 현실성 없는 학문을 바로잡고, 자아의 자각으로 우리나라의 사정에 입각한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을 추구하는 실사구시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또한 실학파들도 그 근본은 성리학에서 출발하였으므로 실학 자체가 유학적인 한계와 성리학의 가치관을 극복하지 못한 채 결국 근대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지는 못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학사상은 민족주체적인 사고와 인식을 갖게 하였고 또한, 우리 민족에게 실증적인 정신을 깊이 불어 넣어 주었다는 등의 의의를 가진다.
* 참고자료
주칠성,『실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6
윤사순,『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삼인, 2008
한국사상사연구회,『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200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 탐구당, 2003
3. 결론
성리학은 지식의 실용성을 경시하여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정치경제사회의 모든 활동에 실제적인 것이 되지 못해 조선의 발전에 장해요소로 작용하게 되어, 이에 대한 반성으로 실학주의가 싹트게 되었다. 실학사상은 조선사회의 현실성 없는 학문을 바로잡고, 자아의 자각으로 우리나라의 사정에 입각한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을 추구하는 실사구시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또한 실학파들도 그 근본은 성리학에서 출발하였으므로 실학 자체가 유학적인 한계와 성리학의 가치관을 극복하지 못한 채 결국 근대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지는 못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학사상은 민족주체적인 사고와 인식을 갖게 하였고 또한, 우리 민족에게 실증적인 정신을 깊이 불어 넣어 주었다는 등의 의의를 가진다.
* 참고자료
주칠성,『실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6
윤사순,『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삼인, 2008
한국사상사연구회,『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200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 탐구당, 2003
추천자료
실학자 유형원(柳馨遠)의 생애와 저서 철학적 견해 및 사회 정치사상 사회정치 개혁사상
천명도설과 성리학의 사상
[교육사상]17세기 과학운동과 실학주의 교육사상
[율곡][이이][사상][철학]율곡 이이의 사상과 철학에 관한 심층 고찰(율곡 이이 생애와 저서 ...
실학의 재조명
성리학과 주자의 교육사상
실학의 정리
조선시대 성리학과 교육사상에 대한 나의 생각
중농주의 실학에 대하여
[순자][순자사상][인간관][성악설][義(의)개념][理(이)개념][실학의 道(도)]순자의 일생, 순...
권근과 정도전의 신분적 차이,권근의 사상(철학사상 성리학,교육사상,입학도설), 정도전의 사...
일제강점기 교육자 박문호의 성리학적 사상과 그에 근거한 그의 교육사상을 고찰하여 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