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선정동기
2. 역사 (연혁)
3. 기업소개
4. 오뚜기 마요네즈 소개
Ⅱ. 본론
1. 해외 진출현황
-러시아 시장 진출분석
2. SWOT 분석
3. 4P분석
4. STP전략
Ⅲ. 결론
1. 선정동기
2. 역사 (연혁)
3. 기업소개
4. 오뚜기 마요네즈 소개
Ⅱ. 본론
1. 해외 진출현황
-러시아 시장 진출분석
2. SWOT 분석
3. 4P분석
4. STP전략
Ⅲ. 결론
본문내용
▶ 재래시장, 중/소매상, 대형마트
▶ 가공식품 제조업체(간식으로 인기있는 샐러드 제조업체⇒편의점으로 납품)
4. STP전략
골드마요
논콜/하프 마요
국내
▶ 사용: 오리지널 마요네즈로 무엇보다 고소한 맛과 깊은 맛을 강조하여 샐러드 등에 곁들이는 소스 등으로 사용
▶ 용량: 1kg, 2kg단위는 대부분 식당용으로 사용, 대부분 가정에선 g단위의 중, 소량 마요네즈를 사용함
▶ 소비량: 음식에 한정되게 사용하는편, 소비량이 많지 않다.
▶다이어트나 웰빙 중심으로 식문화가 인식되면서 콜레스테롤을 낮추거나 기름을 반으로 줄인 논콜 마요네스, 하프 마요네스가 등장
▶ 깊은 맛보단 깔끔하고 느끼하지 않은 맛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함.
러시아
▶ 사용
-기후적 환경에 대비하여 열량이 높은 음식을 선호함
-'천 가지 재료에 어울리는 고소한 맛' 강조
-매 식사 때 대부분의 음식에 첨가하여 사용.
▶ 용량: 국내에선 식당용으로 사용하는 kg단위 사용
▶ 소비량: 평균 1주일에 2kg용량 한통정도 소비
▶ 깊고 고소한 맛을 선호하는 러시아 사람들은 아직도 골드라벨을 선호함.
Segmentation
Targeting
러시아로의 수출: 국내보다 소비량이 7~10배 이상 많은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리적 위치로도 항구간 거리가 가까워 수출이 쉽다. 또한 러시아 내 교통의 발달로 블라디보스톡에서 모스크바까지 지역을 넓혀가며 수출할 수 있다. 대형 수입업체와의 계약으로 수출량의 확보와 현지 소비량이 증대될 수 있다.
Positioning
-고급화 전략: 자본주의 시장으로 넘어가면서 소비문화가 가속화되어 수입제품 유입이 증가하여 하바로프스크를 중심으로 중산층이 성장하였다. 또한 좋은 재료와 맛, 월등한 품질로 러시아 마요네즈 시장에 입지가 굳혀졌을 뿐만아니라 내수품과 수출품이 동일한 제품으로 제조되어 제품에 대한 자신감이 있다. 이러한 요건들로 인하여 현지 제품들보다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98년 모라토리움 선언 이후 환율이 1/6정도 떨어지게 되어 소비가 거의 없었지만 경기가 풀리면서 다시 소비가 이루어 질 정도로 고품질을 인정받고 중산층 주부들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있다.
-일반화: 여러 유통시장(재래시장, 대형마트, 도/소매시장)에 시식회를 하여 현지 제품들보다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켰다. 따라서 구매 후에도 현지인들의 재구매를 이끌어냄으로써 오뚜기 마요네스가 러시아 마요네즈 판매 1위의 제품으로 도약하게 되었다.
Ⅲ. 결론
위와 같은 내용들에서 얻은 오뚜기의 러시아 진출 성공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품질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바이어들의 가격인하 요구에도 굳건히 품질을 지키며 그 자리를 유지해 왔고 이는 상품의 고급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 끊임없는 시장조사이다. 블라디보스톡을 시작해서 곳곳에 있는 재래시장, 도,소매점, 마켓 등 직접 시장조사하고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했다.
셋째.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다. 다른 기업들과 다르게 오뚜기는 시식이라는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그것이 재래시장이던 대형 마트이던 상관없이 그 제품을 직접적으로 홍보하고 판매하였다.
넷째.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였다. 98년 모라토리움 선언에 의해 수출이 중단되었지만 이러한 위기로 꾸준한 시장조사 등의 활동을 통하여 해소되어가는 경기침체에 맞게 러시아 중산층을 중심으로 판매를 넓혀갔다.
이 네 가지 요건들은 오뚜기가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는데 가장 중요시 한 것들이었고 1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 직접 경험을 통한 노하우로 바탕삼아 현재까지 마요네스 1위 기업이라는 이름을 얻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반면 아쉬운 점은 아직 수출에만 머물러 있는 시장이 오히려 현지 자회사(공장 설립)를 통하여 제품을 더욱 신선하고 빠르게 공급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점이다. 또한 하나의 제품. 즉, 골드 마요네스만 가지고 영원히 입지를 굳히게 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국내처럼 논콜 마요네스나 하프 마요네스로 변해가는 해외 고객의 needs를 더욱 적극적으로 맞추어가야 할 것 같다.
참고자료
오뚜기 http://www.ottogi.co.kr/
신화창조의 비밀 http://www.kbs.co.kr/1tv/sisa/myth/vod/index.html
파이넨셜 뉴스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921237434&cDateYear=2008&cDateMonth=02&cDateDay=26
▶ 가공식품 제조업체(간식으로 인기있는 샐러드 제조업체⇒편의점으로 납품)
4. STP전략
골드마요
논콜/하프 마요
국내
▶ 사용: 오리지널 마요네즈로 무엇보다 고소한 맛과 깊은 맛을 강조하여 샐러드 등에 곁들이는 소스 등으로 사용
▶ 용량: 1kg, 2kg단위는 대부분 식당용으로 사용, 대부분 가정에선 g단위의 중, 소량 마요네즈를 사용함
▶ 소비량: 음식에 한정되게 사용하는편, 소비량이 많지 않다.
▶다이어트나 웰빙 중심으로 식문화가 인식되면서 콜레스테롤을 낮추거나 기름을 반으로 줄인 논콜 마요네스, 하프 마요네스가 등장
▶ 깊은 맛보단 깔끔하고 느끼하지 않은 맛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함.
러시아
▶ 사용
-기후적 환경에 대비하여 열량이 높은 음식을 선호함
-'천 가지 재료에 어울리는 고소한 맛' 강조
-매 식사 때 대부분의 음식에 첨가하여 사용.
▶ 용량: 국내에선 식당용으로 사용하는 kg단위 사용
▶ 소비량: 평균 1주일에 2kg용량 한통정도 소비
▶ 깊고 고소한 맛을 선호하는 러시아 사람들은 아직도 골드라벨을 선호함.
Segmentation
Targeting
러시아로의 수출: 국내보다 소비량이 7~10배 이상 많은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리적 위치로도 항구간 거리가 가까워 수출이 쉽다. 또한 러시아 내 교통의 발달로 블라디보스톡에서 모스크바까지 지역을 넓혀가며 수출할 수 있다. 대형 수입업체와의 계약으로 수출량의 확보와 현지 소비량이 증대될 수 있다.
Positioning
-고급화 전략: 자본주의 시장으로 넘어가면서 소비문화가 가속화되어 수입제품 유입이 증가하여 하바로프스크를 중심으로 중산층이 성장하였다. 또한 좋은 재료와 맛, 월등한 품질로 러시아 마요네즈 시장에 입지가 굳혀졌을 뿐만아니라 내수품과 수출품이 동일한 제품으로 제조되어 제품에 대한 자신감이 있다. 이러한 요건들로 인하여 현지 제품들보다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98년 모라토리움 선언 이후 환율이 1/6정도 떨어지게 되어 소비가 거의 없었지만 경기가 풀리면서 다시 소비가 이루어 질 정도로 고품질을 인정받고 중산층 주부들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있다.
-일반화: 여러 유통시장(재래시장, 대형마트, 도/소매시장)에 시식회를 하여 현지 제품들보다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켰다. 따라서 구매 후에도 현지인들의 재구매를 이끌어냄으로써 오뚜기 마요네스가 러시아 마요네즈 판매 1위의 제품으로 도약하게 되었다.
Ⅲ. 결론
위와 같은 내용들에서 얻은 오뚜기의 러시아 진출 성공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품질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바이어들의 가격인하 요구에도 굳건히 품질을 지키며 그 자리를 유지해 왔고 이는 상품의 고급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 끊임없는 시장조사이다. 블라디보스톡을 시작해서 곳곳에 있는 재래시장, 도,소매점, 마켓 등 직접 시장조사하고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했다.
셋째.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다. 다른 기업들과 다르게 오뚜기는 시식이라는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그것이 재래시장이던 대형 마트이던 상관없이 그 제품을 직접적으로 홍보하고 판매하였다.
넷째.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였다. 98년 모라토리움 선언에 의해 수출이 중단되었지만 이러한 위기로 꾸준한 시장조사 등의 활동을 통하여 해소되어가는 경기침체에 맞게 러시아 중산층을 중심으로 판매를 넓혀갔다.
이 네 가지 요건들은 오뚜기가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는데 가장 중요시 한 것들이었고 1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 직접 경험을 통한 노하우로 바탕삼아 현재까지 마요네스 1위 기업이라는 이름을 얻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반면 아쉬운 점은 아직 수출에만 머물러 있는 시장이 오히려 현지 자회사(공장 설립)를 통하여 제품을 더욱 신선하고 빠르게 공급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점이다. 또한 하나의 제품. 즉, 골드 마요네스만 가지고 영원히 입지를 굳히게 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국내처럼 논콜 마요네스나 하프 마요네스로 변해가는 해외 고객의 needs를 더욱 적극적으로 맞추어가야 할 것 같다.
참고자료
오뚜기 http://www.ottogi.co.kr/
신화창조의 비밀 http://www.kbs.co.kr/1tv/sisa/myth/vod/index.html
파이넨셜 뉴스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0921237434&cDateYear=2008&cDateMonth=02&cDateDay=26
추천자료
[외식산업] 외식산업 현황과 나아갈 길
(외식산업의 이해) 국내 유명 4대 외식 산업체의 진출현황과 운영방안 및 문제점 대책방안
(외식산업 분석)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의 실태 및 현황과 성공 사례 분석 (놀부보쌈 경영 성...
외식산업 외식 2
외식업체견학외식산업의미래와이외공의전망
[외식산업 업체의 현황 분석] CJ FOOD 외식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극복방안 [A+ 추천 레포트]
[외식산업] 외식과 외식산업의 개념(정의), 특성, 경영형태, 성장요인, 전망과 과제
패밀리레스토랑, 어디로? (외식산업,FR시장현황,FR시장,FR시장확산요인,외식산업특징,외식산...
외식 산업 분석 - 외식산업분석,외식산업,패밀리레스토랑분석,패스트푸드분석,커피전문점분석...
외식업 {외식과 외식업의 개념, 외식상품의 구성요소, 외식산업의 기능과 특성, 외식산업의 ...
[일본의 외식산업 변천사] 일본 외식산업의 발전과정(일본외식산업 발전단계)
[외식산업] 외식산업의 정의와 특성, 20세기와 21세기의 외식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