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 회복시의 환자 관리 및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마취의 각성

2.회복실의 입실 및 퇴실조건

3.호흡계통의 부작용

4.순환계통의 합병증

5.비뇨계통의 합병증

6.통증

7.저체온, 떨림

8.구역, 구토 및 흡인

9.고체온, 악성 고열증

10.출혈

11.회복실 환자관리의 원칙

본문내용

성고열(malignant hyperthermia)일 수도 있다. 고열은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고 빈맥을 유발시켜 허혈성 심장질환환자는 매우 위험하다. 체온이 1도 상승할때마다 정상인보다 10% 정도의 기초대사량이 증가되어 같은 정도의 수액량 증가와 함께 환기량도 증가시켜 줘야 한다. 환자가 열이나면 원인이 확인될 때까지 알콜맛사지 등의 처치를 해야하며, 악성고열의 유일한 치료는 dantrolene(2mg/kg, 정주, 5분간격으로 동량 추가, 총 10mg/kg)이며 삽관 후 100%산소로 과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
10.출혈
-상처부위나 배출관으로의 출혈은 쉽게 확인될 수 있으나 흉강이나, 복강내, 후복강내, 골반강내로의 출혈은 예상 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출혈은 저혈압, 빈맥, 감뇨증, 혈색소치저하 등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앙아위로 하고 있어 저혈량증상이 늦게 나타나며 마취에서 완전히 각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증상이 현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회복실에서 출혈이 발생시 원인이 혈관 손상에 의한 것인지 혈액응고장애에 의한 것인지 신속히 감별해야 한다. 혈액검사에서 Prothrombin time(PT)이 길어지면 DIC, Vit. K 결핍, 간질환, coumadin 투여 등을 의심하게 되며, partial thromboplastin time(PTT)연장은 대량수혈로 인한 V, Ⅷ인자 결핍, 혈우병, heparin 투여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대량수혈후 나타나는 출혈은 희석성 혈소판감소증(dilutional thrombocytopenia)이 원인이기 쉽다.
11.회복실 환자관리의 원칙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상주하면서 환자를 전담해 관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회복실간호사가 환자를 관리시 문제가 생기면 바로 의사에게 알리고 처리해야 한다. 회복실에서는 환자의 호흡수와 호흡양상등의 폐환기 정도, 혈압과 심박동수 등의 심기능 정도, 체온, 피부색깔 등을 포함한 의식상태 등을 감시해야 하므로 회복실의모든 환자에게는 혈압기, 부정맥 발생여부를 위한 심전도기, 혈액산소포화도를 알기위한 맥박산소측정기는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무의식 환자는 구토물의 폐 흡인(aspiration)을 예방하기 위해 측와위를 취해야 하며, 얼굴은 간호사 쪽을 향하도록 해야 하며 가급적이면 남녀별로 모아서 관리하고 필요없 이 환자의 몸이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내과적, 외과적인 문제등 모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담당간호사는 의학 전반의 넓고 깊은 지식이 필요하며, 환자들은 시시가각으로 상태가 나빠질 수 있어 정도를 파악함은 물론 즉시 알아내고 신속한 처치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한다. 무의식, 저혈압환자, 무기폐환자, 기도폐쇄 환자, 통증호소 환자, 흥분 환자, 저환기 환자 등의 특수분양의 지식도 잘 터득하고 있어야 한다.
-수술 후 환자의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 회복실에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등의 노력도 강구되어야 하며 환자의 정신적인 면도 중요시해 소음은 가급적 줄이고 환자의 상태나 예후에 관한 대화는 환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22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