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경구투약
2.비경구 투약
2.비경구 투약
본문내용
한다.
바늘을 삽입했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부드럽게 제거한다.
주사부위를문질러 약물흡수가 잘되게 돕는다.
뚜껑을 안 씌운 바늘과 사용한 주사기를 준비된 용기에 버린다.
관련 정보를 기록하고, 투약의 효과가 정시에 예상한 대로 나타났는지 관찰한다.
③근육주사의 적용부위
둔부의 복면
-중둔근(Gluteus medius), 소둔근(Gluteus minimus)을 포함하며 선호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ㆍ큰 혈관이나 신경이 없다.
ㆍ중둔근과 소둔근에 의해 가장 두꺼운 근육층을 이루고 있다.
ㆍ뼈 돌출부에 의해 쉽게 확인된다.
ㆍ지방조직이 적게 분포되어 피하지방층의 두께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7개월 이상의 아동이나 성인에게 적합한 주사부위로, 앙아위, 복위, 측위로 놓을 수 있고 측위가 좀더 쉽게 둔부의 복면에 주사를 할 수 있다.
외측광근 부위
-성인과 아동 모두에서 잘 발달되어 7개월 미만 영아의 근육주사 부위로 흔히 사용한다. 큰 혈관이나 신경이 없기 Eoansd에 둔근이 발달하지 못한 영아에게 이상적인 부위이다.
둔부의 배면
-두꺼운 근육층으로 되어 둔근이 발달된 성인과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보행을 통해서 발달되므로 3세 이하 영아에게는 사용하지 않으며 걷기 전인 1세 이하 아동은 최소한 사 용하면 안된다.
삼각근
-상완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근육랴이작고 요골신경, 요골동맥와 인접하고 있어 근육주사시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 부위이며, 성인의 경우 1mL 이하의 약물을 빠른 흡수를목적으로 삼각근에 근육주사할 수 있다. B형간염 백신을 접종할 때 흔히 사용한다.
대퇴직근
-근육주사시 가끔 이용하는 부위로 주사후의 불편감 때문에 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가주사를 해야 하는 대상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④근육주사시 연령별 고려사항
ㆍ영아
-둔부 배면은 7개월 이하 아동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대퇴직근은 7개월 이하 아동이나 어린아이의 경우 근육주사에 이용되면 큰혈관이나 신경이 없어 영아의 경우 둔부 근육이 거의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아나 어린 아동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야 한다. 갑작스런 움직임 때문에 주사를 놓는 동안 다이가 다치는것을 예방한다.
ㆍ아동
-영아와 어린 아동은 흔히 짧고 작은 주사기를 사용한다.
-둔근은 보행을 하면서 발달한다. 1세 이하 아동은 걷을 수 없기 때문에 둔부 복면은 3세이하 아동에게 사용할 수 없다.
ㆍ노인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위축이 온다.
바늘을 삽입했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부드럽게 제거한다.
주사부위를문질러 약물흡수가 잘되게 돕는다.
뚜껑을 안 씌운 바늘과 사용한 주사기를 준비된 용기에 버린다.
관련 정보를 기록하고, 투약의 효과가 정시에 예상한 대로 나타났는지 관찰한다.
③근육주사의 적용부위
둔부의 복면
-중둔근(Gluteus medius), 소둔근(Gluteus minimus)을 포함하며 선호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ㆍ큰 혈관이나 신경이 없다.
ㆍ중둔근과 소둔근에 의해 가장 두꺼운 근육층을 이루고 있다.
ㆍ뼈 돌출부에 의해 쉽게 확인된다.
ㆍ지방조직이 적게 분포되어 피하지방층의 두께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7개월 이상의 아동이나 성인에게 적합한 주사부위로, 앙아위, 복위, 측위로 놓을 수 있고 측위가 좀더 쉽게 둔부의 복면에 주사를 할 수 있다.
외측광근 부위
-성인과 아동 모두에서 잘 발달되어 7개월 미만 영아의 근육주사 부위로 흔히 사용한다. 큰 혈관이나 신경이 없기 Eoansd에 둔근이 발달하지 못한 영아에게 이상적인 부위이다.
둔부의 배면
-두꺼운 근육층으로 되어 둔근이 발달된 성인과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보행을 통해서 발달되므로 3세 이하 영아에게는 사용하지 않으며 걷기 전인 1세 이하 아동은 최소한 사 용하면 안된다.
삼각근
-상완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근육랴이작고 요골신경, 요골동맥와 인접하고 있어 근육주사시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 부위이며, 성인의 경우 1mL 이하의 약물을 빠른 흡수를목적으로 삼각근에 근육주사할 수 있다. B형간염 백신을 접종할 때 흔히 사용한다.
대퇴직근
-근육주사시 가끔 이용하는 부위로 주사후의 불편감 때문에 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가주사를 해야 하는 대상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④근육주사시 연령별 고려사항
ㆍ영아
-둔부 배면은 7개월 이하 아동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대퇴직근은 7개월 이하 아동이나 어린아이의 경우 근육주사에 이용되면 큰혈관이나 신경이 없어 영아의 경우 둔부 근육이 거의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아나 어린 아동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야 한다. 갑작스런 움직임 때문에 주사를 놓는 동안 다이가 다치는것을 예방한다.
ㆍ아동
-영아와 어린 아동은 흔히 짧고 작은 주사기를 사용한다.
-둔근은 보행을 하면서 발달한다. 1세 이하 아동은 걷을 수 없기 때문에 둔부 복면은 3세이하 아동에게 사용할 수 없다.
ㆍ노인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위축이 온다.
추천자료
몸의 4대조직(상피 결합 신경 근육)
간호 사고 판례 보고서(투약 사고)
혈액 및 근육조직의 특성
overloading, unloading상태에 따른 흰쥐 근육의 단백질 조성변화와 특정 단백질 변화의 원...
인체의 4대 기본조직-상피,결합,신경,근육
비경구투약간호
[판례][판례 사례][의료사고][재개발][재산분할청구]다양한 판례 사례(의료사고 관련 판례, ...
간호의 의의, 간호의 영역, 간호의 필요성, 간호의 사업변화, 핸더슨의 간호론, 이모진킹(Kin...
신경혈관 사정(SMC 사정)
[간호학]투약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무도증, 홍반, 근육통)
투약 원본 (투약의 원칙과 경구투여, 비경구투여, 정맥요법)
임상운동학 - 고관절과 골반[Hip and Pelvic Region]의 골격 근육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