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파일링의 정의
2. 프로파일링의 사례
3. 프로파일링의 역사
4. 프로파일링에 필요한 사항
5. 프로파일링의 기법
6. 프로파일링의 한계
2. 프로파일링의 사례
3. 프로파일링의 역사
4. 프로파일링에 필요한 사항
5. 프로파일링의 기법
6. 프로파일링의 한계
본문내용
공간을 중심으로 수사를 진행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범인을 검거할 수 있음.
6. 프로파일링의 한계
(1) 프로파일러들을 교육할 부서가 없음
현재 프로파일링은 경찰청 과학수사대에서 거의 전담하고 있고 기타 몇몇 지방 경찰서에서도 분석관이 있다. 하지만 지방의 일선 형사요원이나 범죄분석요원들 중 프로파일링에 대해 호감을 가지는 경우가 절반 가까이 되지만, 아직 이들을 교육하고 관리할 통합부서가 없어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지도는 물론 아직도 수많은 미제사건이 남아 있음.
미제강력사건의 해결을 위해서도 체계적인 과학수사에 대한 교육 및 전문 프로파일러 양성, 관리 기관이 필요하다.
(2)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지도 부족
실제로 국내 제1호프로파일러 권일용 경의도 2000년대 들어와서 프로파일링을 연구하였고 실제 형사, 범죄수사요원들에게 ‘프로파일링 절차에 대해서 알고 계십니까?“라고 설문해 본 결과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32.6%에 불과하여 형사요원 2/3가량이 프로파일링 절차에 대하여 알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범죄수사과정에서 프로파일링이 필요성을 느끼십니까? 라고 한 경우 형사요원들의 45%가 그렇다고 하여 프로파일링에 대한 큰 기대를 갖고 있다.
6. 프로파일링의 한계
(1) 프로파일러들을 교육할 부서가 없음
현재 프로파일링은 경찰청 과학수사대에서 거의 전담하고 있고 기타 몇몇 지방 경찰서에서도 분석관이 있다. 하지만 지방의 일선 형사요원이나 범죄분석요원들 중 프로파일링에 대해 호감을 가지는 경우가 절반 가까이 되지만, 아직 이들을 교육하고 관리할 통합부서가 없어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지도는 물론 아직도 수많은 미제사건이 남아 있음.
미제강력사건의 해결을 위해서도 체계적인 과학수사에 대한 교육 및 전문 프로파일러 양성, 관리 기관이 필요하다.
(2)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지도 부족
실제로 국내 제1호프로파일러 권일용 경의도 2000년대 들어와서 프로파일링을 연구하였고 실제 형사, 범죄수사요원들에게 ‘프로파일링 절차에 대해서 알고 계십니까?“라고 설문해 본 결과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32.6%에 불과하여 형사요원 2/3가량이 프로파일링 절차에 대하여 알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범죄수사과정에서 프로파일링이 필요성을 느끼십니까? 라고 한 경우 형사요원들의 45%가 그렇다고 하여 프로파일링에 대한 큰 기대를 갖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