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해와 감상
머리말
본론
제 1장 (모방의 수단에 의한 구별)
제 2장 (대상에 의한 구별)
제 3장 (모방의 양식에 의한 구별)
제 4장 (시와 그 여러 종류의 기원과 발전)
제 5장 (희극과 서사시)
제 6장 (비극의 정의와 그 질적 여러 부분의 분석)
제 8장 (행동의 통일성)
제 11장 (급전, 발견, 파토스)
제 13장 (비극의 주인공)
제 14장 (비극적 행위)
제 15장 (성격에 관한 제법칙, 무대 기계장치의 사용)
제 16장 (발견의 여러 형태)
제 17-18장 (극의 구성에 대한 규칙)
맺음말
머리말
본론
제 1장 (모방의 수단에 의한 구별)
제 2장 (대상에 의한 구별)
제 3장 (모방의 양식에 의한 구별)
제 4장 (시와 그 여러 종류의 기원과 발전)
제 5장 (희극과 서사시)
제 6장 (비극의 정의와 그 질적 여러 부분의 분석)
제 8장 (행동의 통일성)
제 11장 (급전, 발견, 파토스)
제 13장 (비극의 주인공)
제 14장 (비극적 행위)
제 15장 (성격에 관한 제법칙, 무대 기계장치의 사용)
제 16장 (발견의 여러 형태)
제 17-18장 (극의 구성에 대한 규칙)
맺음말
본문내용
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은 19세기 후반 보들레르의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구호의 탄생이나 문학의 본질은 미의 추구에 있다는 쇼펜하우어나 미는 또 다른 목
적에 의존할 수 없다는 칸트의 \'無목적적 목적설\'의 주장으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
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문학에 심미적 가치를 부여한 최초의 문예 비평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학쾌락설의 입장은 카타르시스에 잘 나타나고 있다.
카타르시스란 시학에 나오는 말로서 비극에서 관객의 울적한 감정이나 격정을 방
출, 정화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말하자면 비극에서 서로 모순되는 두 개의 감
정, 즉 恐怖와 憐愍을 통하여 독자의 마음은 흥분되고 안정된다. 그는 이것을 즐거
움이라 부르지 않고 카타르시스라고 불렀다.
이에 반하는 플라톤은 세 개의 침대를 예로 들며 문학적 모방은 진리(idea)에서
세 단계나 떨어진 아무 도덕적인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시인은 아무
쓸모 없는 존재로서 그의 공화국에서 추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그러나 아리
스토텔레스는 시인은 자연 속에 있는 이상적인 것, 곧 이데아를 모방한다는 개연성
이론으로 시인 옹호의 입장에 선다. 시인의 모방대상은 현상계가 아닌 인간의 행동
이며, 이러한 개연성 이론으로 그는 플라톤의 모방론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는 것이
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의 구성 요소를 논하면서, \"비극의 제 1원리, 즉 비극의
생명과 영혼은 플롯이고, 성격은 제 2위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지성적인 관객들은
플롯이 거의 없는 대화극에서도 쾌감을 느낄 수 있을 지 모르나, 비극의 진정한 효
과는 면밀하게 구성된 스토리 없이는 도저히 산출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
디까지나 플롯이 제 1위라는 것이다. 또한 비극의 주인공에 관한 그의 이론 역시
특별하다. 그는 비극의 주인공은 우리와 대동소이하지만 어딘가 뛰어난 데가 있어
야 하고 덕과 정의에 있어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되지는 않더라도 상당한 명망을
누리고 있는 인물이어야 하며, 그의 운명은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만 하되 그
원인이 악덕이나 사악이 아니라 어떤 과오에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비
극의 주인공의 운명이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해 놓고, 가장 훌륭
한 플롯에서는 범행하기 직전에 상대방이 친구 또는 친척임을 발견하고 범행을 그
만두어야 한다고 한다. 이렇게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극의 주인공의 운명이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견해는 비극의
효과를 보다 높이는 일반론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시학의 명백한 결점의 하나는, 이 논문은 내용상 시학이라기보다는 드라마학이라
고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만큼 드라마에 관해서만 논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동시대인들은 비극이 진지한 시의 완전한 형식이라는 그의 견해
에 확실히 동조하였던 것으로 보여지므로 이 점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결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드라마의 역사적 발전에 관하여 언급한 최초의 저술
가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종교적 기원에 역점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은
비극의 종교적 기능이 그의 시대에 와서는 뚜렷하지 않았거나, 또는 그 자신이 이
문제에 관하여 별로 흥미를 느끼지 못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 밖에도 문체에 관
한 그의 논술이 피상적이고 불충분한 점이 많다든가, 플라톤이 시의 본질로 보고
있는 \'영감\'에 관한 언급이 없다는 것 또한 미흡한 것이 사실이나, 서양 문명비평사
에 있어서 그의 시학만큼이나 지속적이고 큰 영향을 미친 책은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구호의 탄생이나 문학의 본질은 미의 추구에 있다는 쇼펜하우어나 미는 또 다른 목
적에 의존할 수 없다는 칸트의 \'無목적적 목적설\'의 주장으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
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문학에 심미적 가치를 부여한 최초의 문예 비평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학쾌락설의 입장은 카타르시스에 잘 나타나고 있다.
카타르시스란 시학에 나오는 말로서 비극에서 관객의 울적한 감정이나 격정을 방
출, 정화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말하자면 비극에서 서로 모순되는 두 개의 감
정, 즉 恐怖와 憐愍을 통하여 독자의 마음은 흥분되고 안정된다. 그는 이것을 즐거
움이라 부르지 않고 카타르시스라고 불렀다.
이에 반하는 플라톤은 세 개의 침대를 예로 들며 문학적 모방은 진리(idea)에서
세 단계나 떨어진 아무 도덕적인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시인은 아무
쓸모 없는 존재로서 그의 공화국에서 추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그러나 아리
스토텔레스는 시인은 자연 속에 있는 이상적인 것, 곧 이데아를 모방한다는 개연성
이론으로 시인 옹호의 입장에 선다. 시인의 모방대상은 현상계가 아닌 인간의 행동
이며, 이러한 개연성 이론으로 그는 플라톤의 모방론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는 것이
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의 구성 요소를 논하면서, \"비극의 제 1원리, 즉 비극의
생명과 영혼은 플롯이고, 성격은 제 2위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지성적인 관객들은
플롯이 거의 없는 대화극에서도 쾌감을 느낄 수 있을 지 모르나, 비극의 진정한 효
과는 면밀하게 구성된 스토리 없이는 도저히 산출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어
디까지나 플롯이 제 1위라는 것이다. 또한 비극의 주인공에 관한 그의 이론 역시
특별하다. 그는 비극의 주인공은 우리와 대동소이하지만 어딘가 뛰어난 데가 있어
야 하고 덕과 정의에 있어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되지는 않더라도 상당한 명망을
누리고 있는 인물이어야 하며, 그의 운명은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만 하되 그
원인이 악덕이나 사악이 아니라 어떤 과오에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비
극의 주인공의 운명이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해 놓고, 가장 훌륭
한 플롯에서는 범행하기 직전에 상대방이 친구 또는 친척임을 발견하고 범행을 그
만두어야 한다고 한다. 이렇게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극의 주인공의 운명이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견해는 비극의
효과를 보다 높이는 일반론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시학의 명백한 결점의 하나는, 이 논문은 내용상 시학이라기보다는 드라마학이라
고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만큼 드라마에 관해서만 논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동시대인들은 비극이 진지한 시의 완전한 형식이라는 그의 견해
에 확실히 동조하였던 것으로 보여지므로 이 점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결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드라마의 역사적 발전에 관하여 언급한 최초의 저술
가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종교적 기원에 역점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은
비극의 종교적 기능이 그의 시대에 와서는 뚜렷하지 않았거나, 또는 그 자신이 이
문제에 관하여 별로 흥미를 느끼지 못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 밖에도 문체에 관
한 그의 논술이 피상적이고 불충분한 점이 많다든가, 플라톤이 시의 본질로 보고
있는 \'영감\'에 관한 언급이 없다는 것 또한 미흡한 것이 사실이나, 서양 문명비평사
에 있어서 그의 시학만큼이나 지속적이고 큰 영향을 미친 책은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추천자료
창작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창작 춤의 페미니즘 연구
무용창작에 관한 고찰
창작무용과 즉흥안무
[문학교육][문학교육과정][문학지도][문학][문학작품 창작교육][창작교육][교육][창작]문학교...
문예창작론, 나희덕 시인의 시 감상문
무용창작을 하는데 있어 무용음악이 현시점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 「달밤」과 「패강냉」에 드러난 근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주제의식...
창작무용(태권체조수업레포트)
창작행위에 있어서의 검열과 표현의 자유 - 장정일의 「내게 거짓말을 해봐」를 통해
★창작동화의 의의 및 유형과 그에 따른 동화의 구성요소(주제,구성, 문체)★.
[서정시][서정시 개념][서정시 역사][서정시 창작과정][시적 화자][사회적 기능][중세문학]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