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가.
광고의 정의와 홍보 그리고 PR에 대해 말하시오.
1 나. 문학작품이 광고로 만들어 질 때 쓰였던 예들을 찾아보고 어떤 효과를 가져왔나.
2.(가)
만화는 무엇이고 애니메이션은 무엇인가?
2.(나)
문학이 애니메이션 또는 만화와 만나서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광고의 정의와 홍보 그리고 PR에 대해 말하시오.
1 나. 문학작품이 광고로 만들어 질 때 쓰였던 예들을 찾아보고 어떤 효과를 가져왔나.
2.(가)
만화는 무엇이고 애니메이션은 무엇인가?
2.(나)
문학이 애니메이션 또는 만화와 만나서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본문내용
여 비록 소나기라는 작품을 읽은 독자일지라도 식상함 없이 새로운 느낌으로 작품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젊은 계층에게는 어려운 작품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중년 계층에게는 애잔한 향수심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한 계층에 집중되어 있던 작품에 대한 편중을 해소하고 다양한 독자층에게 소나기만이 가지는 의미를 쉽게 이해시킨다.
2. 표현의 폭이 넓다.
이는 애니메이션의 큰 장점으로서 영화나 드라마와 달리 장소나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할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개울가에서 날라다니는 수많은 잠자리의 모습, 소나기가 쏟아지는 모습과 개인뒤의 정경등의 묘사에 있어 다양한 색채의 대비들은 그 효과를 배가 되도록 만든다. 원작의 전개부분에는 이런표현이 있다. ‘다음날 개울가로 나와 보았으나 소녀는 보이지 않는다. 그날부터 소년은 소녀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이 쌓인다.’ 애니메이션 소나기에서는 이 부분을 화면을 분할시키는 만화의 컷 기능을 이용하여 한컷 한컷씩 주인공의 그리움에 대한 표현을 텍스트와 함께 표현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작품에서 제공되는 독특한 표현을 제공받는다.
이 작품은 시종일관 잔잔한 피아노 음악으로 이야기가 함께 진행된다. 또한 중간에 삽입되는 주인공의 심리는 텍스트를 통해 표현하였고 이는 한편의 아름다운 동화를 보듯 쉽게 풀어놓았다. 물론 시간적인 제약으로 소설속 모든 광경들을 이 작품안에서 다 볼수는 없었지만 소설을 다 본후 책을 덮고 느낀 그 감정들을 더욱 강하게 느낄수 있었다. 앞으로 많은 작품들이 크게 변절되지 않고 원작의 강점을 살린 애니메이션이 나오기를 기대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3. 소설과 드라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라.
희곡
시나리오
공통점
1) 문학 작품이다.
2) 종합예술이다.
3) 시간과 공간의 예술이다.
4) 연극적인 순서에 의해 줄거리가 전개된다.
5) 행동과 대사가 중시된다.
6)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같이 흥행성을 띤다.
7) 시청각적 방법 및 현재 시제를 사용한다.
차이점
1) 연극상연이 목적이다.
영화상영이 목적이다.
2) 무대를 통해서 상연
스크린을 통해서 상연
3) 행동의 예술-연극
영상(이미지)의 예술-영화
4) 대사,지시문,해설로
이루어진다.
대사,지시문,해설, 장면표시로
이루어진다.
무대적 효과
기계 조작적 효과
5) 시간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무대)
시간공간적 제약에서 자유롭다.
6) 등장인물 수에 제한
등장인물 수에 제한 없음
7) 막과 장이 단위
마디(sequence)와 장면(scene)이
단위
8) 관객과 배우가 직접 대면
스크린을 통해 연속된 사진을 봄
9) 희곡 자체가 독자적인 문학
독자성이 희곡보다 약함
10) 이야기 전개상 장면들이
굵직함
이야기 전개상
세부장면들로 나뉘어짐
11) 행동이 압축되어 있음
행동이 확산적임
12) 한 번 상연으로 소멸
(상연으로 소멸-순간예술)
오래도록 보존
(필름으로 보존-영구예술)
13) 입체적인 예술
평면적인 예술
14) 집약미(集約美)를 추구
유동미(流動美)를 추구
특히 애니메이션은 젊은 계층에게는 어려운 작품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중년 계층에게는 애잔한 향수심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한 계층에 집중되어 있던 작품에 대한 편중을 해소하고 다양한 독자층에게 소나기만이 가지는 의미를 쉽게 이해시킨다.
2. 표현의 폭이 넓다.
이는 애니메이션의 큰 장점으로서 영화나 드라마와 달리 장소나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할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개울가에서 날라다니는 수많은 잠자리의 모습, 소나기가 쏟아지는 모습과 개인뒤의 정경등의 묘사에 있어 다양한 색채의 대비들은 그 효과를 배가 되도록 만든다. 원작의 전개부분에는 이런표현이 있다. ‘다음날 개울가로 나와 보았으나 소녀는 보이지 않는다. 그날부터 소년은 소녀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이 쌓인다.’ 애니메이션 소나기에서는 이 부분을 화면을 분할시키는 만화의 컷 기능을 이용하여 한컷 한컷씩 주인공의 그리움에 대한 표현을 텍스트와 함께 표현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작품에서 제공되는 독특한 표현을 제공받는다.
이 작품은 시종일관 잔잔한 피아노 음악으로 이야기가 함께 진행된다. 또한 중간에 삽입되는 주인공의 심리는 텍스트를 통해 표현하였고 이는 한편의 아름다운 동화를 보듯 쉽게 풀어놓았다. 물론 시간적인 제약으로 소설속 모든 광경들을 이 작품안에서 다 볼수는 없었지만 소설을 다 본후 책을 덮고 느낀 그 감정들을 더욱 강하게 느낄수 있었다. 앞으로 많은 작품들이 크게 변절되지 않고 원작의 강점을 살린 애니메이션이 나오기를 기대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3. 소설과 드라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라.
희곡
시나리오
공통점
1) 문학 작품이다.
2) 종합예술이다.
3) 시간과 공간의 예술이다.
4) 연극적인 순서에 의해 줄거리가 전개된다.
5) 행동과 대사가 중시된다.
6)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같이 흥행성을 띤다.
7) 시청각적 방법 및 현재 시제를 사용한다.
차이점
1) 연극상연이 목적이다.
영화상영이 목적이다.
2) 무대를 통해서 상연
스크린을 통해서 상연
3) 행동의 예술-연극
영상(이미지)의 예술-영화
4) 대사,지시문,해설로
이루어진다.
대사,지시문,해설, 장면표시로
이루어진다.
무대적 효과
기계 조작적 효과
5) 시간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무대)
시간공간적 제약에서 자유롭다.
6) 등장인물 수에 제한
등장인물 수에 제한 없음
7) 막과 장이 단위
마디(sequence)와 장면(scene)이
단위
8) 관객과 배우가 직접 대면
스크린을 통해 연속된 사진을 봄
9) 희곡 자체가 독자적인 문학
독자성이 희곡보다 약함
10) 이야기 전개상 장면들이
굵직함
이야기 전개상
세부장면들로 나뉘어짐
11) 행동이 압축되어 있음
행동이 확산적임
12) 한 번 상연으로 소멸
(상연으로 소멸-순간예술)
오래도록 보존
(필름으로 보존-영구예술)
13) 입체적인 예술
평면적인 예술
14) 집약미(集約美)를 추구
유동미(流動美)를 추구
키워드
추천자료
저급한 대중문화와 가벼운 대중
대중문화에 따른 소비
대중문화 낯설게 읽기 - 의미를 둘러싼 투쟁
[대중매체][대중매체의 의미][대중매체의 특성][대중매체의 기능][대중매체의 전망]대중매체...
문학(한국문학)의 기능, 문학(한국문학)의 근대성, 문학(한국문학)과 구술문학, 문학(한국문...
[문학][전쟁문학][이야기문학][민족문학][연행문학][대중문학]문학의 심미성(심미의식), 문학...
[한국문학][민족문학][민중문학][분단문학][문학]한국문학의 특성, 한국문학의 세계화, 한국...
대중매체(매스미디어) 책무성과 교육적 기능, 대중매체(매스미디어) 이론, 대중매체(매스미디...
[헤르만 헤세][헤르만 헤세 출생][헤르만 헤세 종교][내면세계][음악세계][대중문화]헤르만 ...
[일본문화]일본문화와 일본게임문화, 일본대중문화, 일분문화와 일본명절문화, 일본주거문화,...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이미지로 본 대중문화의 문화콘텐츠 파급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