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케네디라운드
2. 동경라운드
2. 동경라운드
본문내용
반 특혜조치등의 문제가 거론되었고 선진국에서는 개도국에 대한 규제론을 명문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또한 선진국의 수입규제조치의 하나인 다자간 섬유협상을 GATT내에서 공식화시킨 것도 동경라운드의 특징중의 하나였다. 이외에도 동경라운드에서는 수입허가 절차, 관세평가, 반덤핑 관세, 농산물 등에 대한 문제가 집중거론되었고, 이중 몇가지는 협정으로 체결되었다.
추천자료
도하개발안젠다 협상 동향
WTO-세계무역기구-무역정책
뉴라운드에서의 무역 환경 연계 논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DDA(도하개발아젠다) 비농산물에 관한 협상에 관한 우리의 대응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전망 및 우리의 대응방안
WTO 농업부문과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의 현황과 대응에 관한 고찰
DDA협상의 결렬이유와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국제 경영을 위한 성공적 협상 전략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보고서A++
도하라운드의 교착상태와 개발도상국들의 개방전략
상품무역의 국제규범과 관세 및 비관세 장벽
[★평가 우수★][WTO의 서비스service 무역법] WTO의 현황, WOT 개념, WOT 서비스 무역의 자유...
GA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