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주권
Ⅲ.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1. 제사로서의 성격
1) 속상적 제사(贖償的祭祀)
2) 원형적 제사(原形的祭祀)
3) 자기희생제사(自身犧牲祭祀)
2. 유화(宥和)로서의 성격
1) 신적 사랑과 유화교리
2) 신적 진노와 유화교리
3. 화목으로서의 성격
1) 인간 적대감의 제거
2) 하나님 적대감 제거
4. 구속으로서의 성격
1) 율법의 저주로부터의 구속
2) 의식적 율법으로부터의 구속
3) 행위언약으로부터의 구속
4) 죄책으로부터의 구속
5) 사단의 세력으로부터의 구속
5. 속죄의 완전성
1) 객관성
2) 종격성
3) 독특성
4) 효능성
Ⅳ.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1. 그리스도의 본성에 있어서 신성(神性)
2. 그리스도의 신성의 개념(Concepts)
3. 사전상의 신성의 정의(The Definitions of Dictionaries)
1) Webster`Dictionary에 의한 신성(Deity)
2) Longman Synonym Dictionary에 의한 신성(Deity)의 동의어(Synonym)
3) 신학사전상의 정의(The Definitions of Theology Dictionary)
4. 그리스도의 신성의 중요성(重要性)
5. 성(Nature)과 위(Person)의 구분
1) 성(性)
2) 위(位)
3) 성(性)과 위(位)의 구분
6. 양성(兩性)연합의 결과에 있어서 신성(神性)
Ⅴ.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중재대언자
1. 중재 대언자의 정의
1) 1항
2) 2항
3) 3항
4) 4항
5) 5항
6) 6항
7) 7항
8) 8항
2. 중재 대언자로서의 자격
1) 송용조
2) 박형룡 박사
3) 그랜드 종합주석
4) 하문호
Ⅵ.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우주적 왕권
1. 정의(개념)
2. 우주적 왕권의 성질
3. 우주적 왕권의 필요성
4. 우주적 왕권의 기간
1) 시작
2) 끝
Ⅶ.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와 성막
1. 성막의 문
2. 번제단(놋제단)
3. 물두멍
4. 진설병상(떡상)
5. 금등대
6. 분향단
7. 휘장
8. 법궤와 속죄소
Ⅷ.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주권
Ⅲ.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1. 제사로서의 성격
1) 속상적 제사(贖償的祭祀)
2) 원형적 제사(原形的祭祀)
3) 자기희생제사(自身犧牲祭祀)
2. 유화(宥和)로서의 성격
1) 신적 사랑과 유화교리
2) 신적 진노와 유화교리
3. 화목으로서의 성격
1) 인간 적대감의 제거
2) 하나님 적대감 제거
4. 구속으로서의 성격
1) 율법의 저주로부터의 구속
2) 의식적 율법으로부터의 구속
3) 행위언약으로부터의 구속
4) 죄책으로부터의 구속
5) 사단의 세력으로부터의 구속
5. 속죄의 완전성
1) 객관성
2) 종격성
3) 독특성
4) 효능성
Ⅳ.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1. 그리스도의 본성에 있어서 신성(神性)
2. 그리스도의 신성의 개념(Concepts)
3. 사전상의 신성의 정의(The Definitions of Dictionaries)
1) Webster`Dictionary에 의한 신성(Deity)
2) Longman Synonym Dictionary에 의한 신성(Deity)의 동의어(Synonym)
3) 신학사전상의 정의(The Definitions of Theology Dictionary)
4. 그리스도의 신성의 중요성(重要性)
5. 성(Nature)과 위(Person)의 구분
1) 성(性)
2) 위(位)
3) 성(性)과 위(位)의 구분
6. 양성(兩性)연합의 결과에 있어서 신성(神性)
Ⅴ.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중재대언자
1. 중재 대언자의 정의
1) 1항
2) 2항
3) 3항
4) 4항
5) 5항
6) 6항
7) 7항
8) 8항
2. 중재 대언자로서의 자격
1) 송용조
2) 박형룡 박사
3) 그랜드 종합주석
4) 하문호
Ⅵ.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우주적 왕권
1. 정의(개념)
2. 우주적 왕권의 성질
3. 우주적 왕권의 필요성
4. 우주적 왕권의 기간
1) 시작
2) 끝
Ⅶ.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와 성막
1. 성막의 문
2. 번제단(놋제단)
3. 물두멍
4. 진설병상(떡상)
5. 금등대
6. 분향단
7. 휘장
8. 법궤와 속죄소
Ⅷ.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자들에게 복음서 기자들은 과감하게 이 수치와 죽음의 십자가를 억지로라도 짊어지도록 예수의 말씀을 인용해서 설교하고 있다.
복음서의 이 십자가에 대한 말씀에서 우리는 두 가지 교훈을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신앙생활 자체가 감당하기 힘든 자기 십자가 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신앙의 자기 십자가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어떠한 악조건 속에서도 신앙을 저버릴 수 없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희망이요 승리의 지도자이시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결국 이기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만이 우리의 삶의 모든 것이 되어야 하며, 신앙의 십자가는 억지로라도 짊어져야 한다.
둘째, 사람에게는 누구나 할 것 없이 육체적인 자기 십자가가 있다. 삶 자체가 십자가이다. 생로병사가 고난의 십자가이다. 가난한 것, 많이 배우지 못한 것, 인물이 잘나지 못한 것, 질병을 앓고 있는 것, 똑똑하지 못한 것도 자기 십자가일 수 있다. 이런 십자가를 믿음으로 잘 감당해야 한다.
기독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인 사도 바울은 신앙의 십자가와 자기 열등감의 십자가를 가장 잘 짊어진 사람이다. 바울은 예수신앙을 위해서 옥에도 많이 갇히고, 매도 수없이 맞고,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겼다. 유대인들에게 39대의 곤장을 다섯 번 이상이나 맞았고, 태장을 세 번 이상 맞고, 세 번 이상 파선 당하여 물귀신이 될 뻔했고, 주리고 목마르고 굶고 춥고 헐벗으며 살다가 결국에는 사형을 당하여 죽었다(고후 11:23-27). 그러나 그는 그의 생애를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 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킨”(딤후 4:7) 승리의 삶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이 “사탄의 사자” 또는 “육체의 가시”라고 말한 신체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바울은 외모에도 볼품이 없었다. 작은 체구, 맞닿은 양미간, 매부리 코, 대머리에 휜 다리를 가진 사람이었다. 바울은 말주변도 없었다. 이런 외적인 것들이 갈라디아교회와 고린도교회 교인들에게 시험거리가 될 정도였다. 그러나 바울은 이 모든 약점과 시련에도 불구하고 자기 생애에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기독교를 바울의 종교라고 말할 정도로 로마제국의 온갖 박해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그의 선교에 의해서 뿌리를 내렸고 열매를 맺었으며 종국에는 전 로마제국을 복음화하고 말았다.
복음서 기자들은 “아무든지 나를 따라 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쫓으라.”(눅 9:23)는 제자직에 관한 이 말씀을 유명한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예수의 수난예고 다음에 배치하고 있다. 이는 참 제자의 길에 대한 설명을 위한 의도된 배치일 것이다. “인자가 많은 고난을 받고 . . . 버린 바 되어 죽임을 당하고 사흘 만에”(막 8:31) 다시 살아나신 것과 마찬가지로 신앙을 고백하고 주의 가신 길을 따르겠다고 결심한 제자들은 예수처럼 ‘자기 십자가’를 진 후에라야 예수처럼 승리하게 될 것을 가르친 것이다. 바울의 말씀과 같이 시련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우리의 꿈을 이루게 될 줄로 믿는다(롬 5:3-4). 믿음으로 자기 십자가를 감당하시고 승리하시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예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Ⅸ. 결론
인간은 자기가 진실한 것으로서 표상하는 것을 곧바로 현실적인 것으로서 표상 한다. 인간에게는 현실적인 것만이 진실한 것이며 상상된 것과는 대립되기 때문이다. 존재의 개념, 즉 실존의 개념은 진리의 첫째가는 개념이며 근원적인 개념이다. 그런데 신이란 인간의 본질이 최고의 진리로서 직관된 것이다. 그러나 신 또는 종교란 인간이 자기의 본질을 파악하여 최고의 본질로서 직관할 때의 규정성이 각양각색인 것과 마찬가지로 매우 다양하다. 인간이 신을 사유할 때의 이러한 규정성은 인간에게는 진리성이며 동시에 최고의 실존 또는 실존자체이다. 따라서 신이 규정된 본질임과 같은 이유로 신은 실존하는 현실적 본질이다. 왜냐하면 신의 질 또는 규정성은 인간 자신의 본질적인 질 바로 그 자체이지만, 특정한 인간은 자기의 본성, 자기의 실존, 자기의 현실성을 오직 자기의 규정성 안에서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신의 술어와 인간의 술어의 동일성을 망각하고 그와 함께 신적 존재자와 인간적 존재자의 동일함을 망각하기 위해 신은 무한한 존재자로서 무한히 풍부하고 다양한 술어들이라는 표상에 구원을 청한다. 그 술어들 가운데서 우리가 현세에서 인식하는 것은 약간 닮았다는 것이다. 신이 인간적인 존재자와 약간 다른 것은 그것 이외의 술어, 즉 피안에서의 일이다. 무한히 풍부한 신의 술어들의 비밀은 다양하고 무한하게 규정될 수 있지만 바로 그 때문에 감성적인 존재자로서의 인간적인 존재자가 가지는 비밀 이외에 아무 것도 아니다.
인간은 자기의 본질을 대상화하며 그런 다음에 다시 자기를 이와 같이 대상화되고 주체는 인격으로 전화된 본질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것이 종교의 비밀이다. 여기서의 인간은 신의 대상이다. 따라서 믿음이 깊은 인간은 지가의 심성과 행위를 신의 대상으로 삼으며 인간을 신의 목적, 즉 정신에서 대상인 것은 행동에서는 목적이므로 신의 활동을 인간의 구원수단으로 삼은 것에 의해서 인간의 활동의 허무성을 다시 취소한다. 인간이 선해지고 행복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활동한다. 따라서 인간은 신 안에서 그리고 신을 통해서 오로지 자기자신을 목적으로 한다. 분명히 인간은 신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신은 인간의 영원한 도덕적 구원 이외의 어떤 것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 안에서 인간은 단지 인간자신의 활동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방선기(1993), 대중 속에 그리스도인, 서울 : 나침반사
발터 카스퍼, 박상래 역(2000), 예수 그리스도, 왜관 : 분도출판사
엄승용(1994), 성막강해, 서울 : 예찬사
이한수(1993), 아브라함의 복과 율법의 저주 그리고 십자가 사건, 신학지남 237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조셉 A. 피즈마이어, 이봉우 옮김(1997), 그리스도란 어떤 분이신가?, 분도출판사
John Murrey(1985), 칼빈의 성경관과 주권사상,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복음서의 이 십자가에 대한 말씀에서 우리는 두 가지 교훈을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신앙생활 자체가 감당하기 힘든 자기 십자가 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신앙의 자기 십자가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어떠한 악조건 속에서도 신앙을 저버릴 수 없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희망이요 승리의 지도자이시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결국 이기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만이 우리의 삶의 모든 것이 되어야 하며, 신앙의 십자가는 억지로라도 짊어져야 한다.
둘째, 사람에게는 누구나 할 것 없이 육체적인 자기 십자가가 있다. 삶 자체가 십자가이다. 생로병사가 고난의 십자가이다. 가난한 것, 많이 배우지 못한 것, 인물이 잘나지 못한 것, 질병을 앓고 있는 것, 똑똑하지 못한 것도 자기 십자가일 수 있다. 이런 십자가를 믿음으로 잘 감당해야 한다.
기독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인 사도 바울은 신앙의 십자가와 자기 열등감의 십자가를 가장 잘 짊어진 사람이다. 바울은 예수신앙을 위해서 옥에도 많이 갇히고, 매도 수없이 맞고,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겼다. 유대인들에게 39대의 곤장을 다섯 번 이상이나 맞았고, 태장을 세 번 이상 맞고, 세 번 이상 파선 당하여 물귀신이 될 뻔했고, 주리고 목마르고 굶고 춥고 헐벗으며 살다가 결국에는 사형을 당하여 죽었다(고후 11:23-27). 그러나 그는 그의 생애를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 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킨”(딤후 4:7) 승리의 삶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이 “사탄의 사자” 또는 “육체의 가시”라고 말한 신체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바울은 외모에도 볼품이 없었다. 작은 체구, 맞닿은 양미간, 매부리 코, 대머리에 휜 다리를 가진 사람이었다. 바울은 말주변도 없었다. 이런 외적인 것들이 갈라디아교회와 고린도교회 교인들에게 시험거리가 될 정도였다. 그러나 바울은 이 모든 약점과 시련에도 불구하고 자기 생애에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기독교를 바울의 종교라고 말할 정도로 로마제국의 온갖 박해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그의 선교에 의해서 뿌리를 내렸고 열매를 맺었으며 종국에는 전 로마제국을 복음화하고 말았다.
복음서 기자들은 “아무든지 나를 따라 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쫓으라.”(눅 9:23)는 제자직에 관한 이 말씀을 유명한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예수의 수난예고 다음에 배치하고 있다. 이는 참 제자의 길에 대한 설명을 위한 의도된 배치일 것이다. “인자가 많은 고난을 받고 . . . 버린 바 되어 죽임을 당하고 사흘 만에”(막 8:31) 다시 살아나신 것과 마찬가지로 신앙을 고백하고 주의 가신 길을 따르겠다고 결심한 제자들은 예수처럼 ‘자기 십자가’를 진 후에라야 예수처럼 승리하게 될 것을 가르친 것이다. 바울의 말씀과 같이 시련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우리의 꿈을 이루게 될 줄로 믿는다(롬 5:3-4). 믿음으로 자기 십자가를 감당하시고 승리하시는 성도들이 되시기를 예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Ⅸ. 결론
인간은 자기가 진실한 것으로서 표상하는 것을 곧바로 현실적인 것으로서 표상 한다. 인간에게는 현실적인 것만이 진실한 것이며 상상된 것과는 대립되기 때문이다. 존재의 개념, 즉 실존의 개념은 진리의 첫째가는 개념이며 근원적인 개념이다. 그런데 신이란 인간의 본질이 최고의 진리로서 직관된 것이다. 그러나 신 또는 종교란 인간이 자기의 본질을 파악하여 최고의 본질로서 직관할 때의 규정성이 각양각색인 것과 마찬가지로 매우 다양하다. 인간이 신을 사유할 때의 이러한 규정성은 인간에게는 진리성이며 동시에 최고의 실존 또는 실존자체이다. 따라서 신이 규정된 본질임과 같은 이유로 신은 실존하는 현실적 본질이다. 왜냐하면 신의 질 또는 규정성은 인간 자신의 본질적인 질 바로 그 자체이지만, 특정한 인간은 자기의 본성, 자기의 실존, 자기의 현실성을 오직 자기의 규정성 안에서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신의 술어와 인간의 술어의 동일성을 망각하고 그와 함께 신적 존재자와 인간적 존재자의 동일함을 망각하기 위해 신은 무한한 존재자로서 무한히 풍부하고 다양한 술어들이라는 표상에 구원을 청한다. 그 술어들 가운데서 우리가 현세에서 인식하는 것은 약간 닮았다는 것이다. 신이 인간적인 존재자와 약간 다른 것은 그것 이외의 술어, 즉 피안에서의 일이다. 무한히 풍부한 신의 술어들의 비밀은 다양하고 무한하게 규정될 수 있지만 바로 그 때문에 감성적인 존재자로서의 인간적인 존재자가 가지는 비밀 이외에 아무 것도 아니다.
인간은 자기의 본질을 대상화하며 그런 다음에 다시 자기를 이와 같이 대상화되고 주체는 인격으로 전화된 본질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것이 종교의 비밀이다. 여기서의 인간은 신의 대상이다. 따라서 믿음이 깊은 인간은 지가의 심성과 행위를 신의 대상으로 삼으며 인간을 신의 목적, 즉 정신에서 대상인 것은 행동에서는 목적이므로 신의 활동을 인간의 구원수단으로 삼은 것에 의해서 인간의 활동의 허무성을 다시 취소한다. 인간이 선해지고 행복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활동한다. 따라서 인간은 신 안에서 그리고 신을 통해서 오로지 자기자신을 목적으로 한다. 분명히 인간은 신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신은 인간의 영원한 도덕적 구원 이외의 어떤 것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 안에서 인간은 단지 인간자신의 활동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방선기(1993), 대중 속에 그리스도인, 서울 : 나침반사
발터 카스퍼, 박상래 역(2000), 예수 그리스도, 왜관 : 분도출판사
엄승용(1994), 성막강해, 서울 : 예찬사
이한수(1993), 아브라함의 복과 율법의 저주 그리고 십자가 사건, 신학지남 237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조셉 A. 피즈마이어, 이봉우 옮김(1997), 그리스도란 어떤 분이신가?, 분도출판사
John Murrey(1985), 칼빈의 성경관과 주권사상,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추천자료
(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본 예수) 예수의 경제 의식과 가난한 이들을 위한 투쟁
[누가복음][누가복음 이방인적 성격][누가복음에서 가난의 의미][누가복음 예수님 취임설교]...
기독교와 현대사회, 기현사, 예수는 누구인가, 존 도미닉 크로산
묵시사상, 유대교4종파, 디아스포라, 예수비유, 유대전쟁과 예루살렘 파괴, 식탁교제, 유대교...
[기독론][칭호][종교개혁시대][성서][성경][역사적 예수탐구][구원론]기독론의 정의, 기독론...
예수와 동행하십니까? - 블룸하르트를 통해본 예수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서유럽 의학의 동아시아 전파 양상에 대한 재고 - 해부학, 예수회,...
[법적 문제, 외국계펀드]외국계펀드, 증권시장상장의 법적 문제, 금융기관아웃소싱, 의무보호...
[법적 문제, 유령주식]유령주식, 의무보호예수제도의 법적 문제, 인터넷경매, 전자상거래의 ...
인도의 길을 걷고 있는 예수를 읽고-인도에 등장한 예수
[한국기독교]마태복음 4장을 통해 보는 영적 지도력 - 예수님의 3가지 시험을 통하여 보는 성...
[성경·설교·말씀] (누가복음 19장 1-10절) 예수님을 사랑하고 기도하는 사람 (성서·기독교·교...
[성경·설교·말씀] (베드로 전서 2장 19-25절) 나무에 달리신 예수님 - 예수님이 나무에 달리...
[복음福音비평사] 예수님의 사역 준비 (세례요한의 출현, 예수님의 세례 받으심, 예수님께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