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대교 묵시사상과 초기 기독교 묵시사상
2) 팔레스틴의 유대교 주요 4종파에 관하여
3)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성립과 특성
4) 예수 비유의 특징
5) 유대 전쟁과 예루살렘 파괴
6) 예수 당시의 식탁교제
7) 예수 당시 유대교의 정결제도
8) 갈릴리의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
2) 팔레스틴의 유대교 주요 4종파에 관하여
3)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성립과 특성
4) 예수 비유의 특징
5) 유대 전쟁과 예루살렘 파괴
6) 예수 당시의 식탁교제
7) 예수 당시 유대교의 정결제도
8) 갈릴리의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
본문내용
납부 이행을 강요하였다. 한 때 소농이었던 농민들은 농노와 다름없는 소작인이 되었고 일일 노동자로 전락하는 경제적 상황이었다. 그 때의 상황을 미루어 보건데 결국, 이들이 사회적 불만 세력이 되었고, 그들로 인한 저항적 분위기가 고조되었을 것이라는 것은 쉽게 추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갈릴리에서는 팔레스틴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부자 지주나 대토지 소유자들에 대한 경제적 의존 상태에서 자립하려는 운동이 강력히 제고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처한 민중은 그 사회의 변혁을 열망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모든 권력자를 증오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갈릴리 주민 대다수를 점유한 소농의 경우를 보면, 그들의 일 년 수입이 200데나리온에 겨우 미치거나 약간 상회하는 정도였다. 갈릴리에 소농과 대지주의 소작인을 계층적인 의미에서 구별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프레인이 말한 대로 위의 두 그룹은 경제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받았기 때문이다. 많은 소작인들 역시 본래는 제 땅을 소유한 자작농이었는데 흉년 등의 불리한 상황에서 그들은 과중한 세금을 내야하고 다음 농사철을 위해서 곡식을 사거나 식구들을 먹이기 위해서 그들의 통지를 넘겨주어야 했다. 그들이 이전의 자기 땅을 소작할 수 있다면 그나마 행운이었다고 할 정도였다. 한편 농민들이 당하는 수탈은 당국의 독점 통제로 가중되었다. 제노 파피리에 따르면 권력자들은 갈릴리의 주산물 즉 밀, 기름, 포도주 등을 엄격하게 독점/통제하였다. 그래서 무역업자들이 생산자들을 직접 상대할 수 없게 했기 때문에 농민들은 더 좋은 가격을 받기 위한 협상기회마저 갖지 못했다. 이와 같이 갈릴리의 주민들 특히 농민이나 노동자들처럼 하층부에 속한 사람들은 헤롯 왕가와 로마제국의 착취와 중과세로 또한 대지주와 부자귀족들의 횡포와 경제적 수탈로 시달렸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전체제하의 사제귀족이 부과하는 종교세 등으로 한때 소농이었던 농민들은 농노와 다름없는 소작인이 되고, 일일노동자로 전락하는 경제적 상황을 고찰했다. 황성규 (1995),『예수운동과 갈릴리』,(서울: 나단출판사), pp.92-93.
4. 사회적 상황
예수는 '갈릴리 나사렛' 출신이다. 이것은 단지 지역적인 의미가 아닌 매우 사회적인 의미가 있다. 왼쪽으로 지중해를 끼고 요단강을 따라 세로로 길게 뻗은 팔레스타인 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맨 아래가 유대, 가운데가 사마리아, 그 위가 갈릴리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곳은 역시 예루살렘 성전이 있는 유대 지역이다. 사마리아는 유대와 갈릴리의 가운데에 있으면서도 이방 지역 취급을 받았다. BC 721년 팔레스타인에 쳐들어온 앗시리아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순혈주의를 파괴하기 위해 3만여 명의 앗시리아인들을 이주시켰고 그 결과 사마리아엔 혼혈이 많았다. 갈릴리 사람들이 유대 지방을 가거나 유대 사람들이 갈릴리 지역을 갈 때는 '더러운 사마리아인을 피해' 요단강 건너로 멀리 돌아가곤 했다. 사마리아 사람들도 반발심에 자신들의 성전을 따로 세우고 그들과 완전히 절연했다. 예수가 갈릴리 출신이라는 건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의 메시아관에 걸맞지 않았다. 메시아는 당연히 유대 지역에서 와야 했다. 특히 그들에겐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다윗의 후손이 메시아가 된다는 믿음이 있었다. 마태와 누가복음은 예수가 유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고 적는다. 마태복음에서 예수는 베들레헴에서 태어났지만 메시아의 탄생 소식을 들은 헤롯이 어린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려 하자 이집트로 피신했다가 갈릴리로 돌아온다. 누가복음에서 예수의 부모 마리아와 요셉은 갈릴리에서 살지만 인구조사를 위해 고향인 베들레헴으로 가다가 예수를 낳는다. 그러나 한 사람의 고향은 그 사람이 태어난 순간에 머문 곳이 아니라, 부모가 살고 어린 시절을 보낸 그 사람의 사회문화적 원형을 만든 곳이라는 점에서 예수는 분명히 유대 사람이 아니라 갈릴리 사람이다. 갈릴리에서 온 메시아. 그는 메시아이되 영광의 왕으로서 메시아가 아니라 인민들의 고통스런 삶과 함께 하는 메시아로서 예고된 것이다. 성서 연구 사이트, 『갈릴리 예수, 교리 예수』, (GYUHANG.NET)
참고문헌 목록
BO,REIKE (1989), 『신약성서시대사』,서울: 한국신학연구소,1989
E, M, 블랙록, 『신약의 배경』,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Goppelt, Leonhard (1998),『예수, 바울 그리고 유대교』,원광연역,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 스트
Rovert H, Stein, 『비유 해석학』, 오광만 역,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6
권의구 (2004),『묵시문학과 예수: 인자 기독론의 기원』,서울: 한들출판사
김균진 (1987), 『예수그리스도의 역사적 상황』,서울: 대한기독교서회, 기독교사상 1987년 11월호
류재린 (2002), 『성서 문학 연구에 나타난 비유연구』
안병무 (1990),『갈릴래아의 예수』,서울: 한국 신학연구소, 1990
왕대일 (2004), 『묵시문학과 종말론』,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윤승은 (2003), 『예수님의 비유들 연구』,서울: 비전북출판사
윤철원 (2000),『신약성서의 그레꼬 로마적 읽기』,서울: 한들출판사
이대섭 (1986), 『초기 기독교의 역사적 배경』,서울: 성광문화사
정성호 (2003), 『유대인』,경기: 살림출판사
정승우 (2005),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서울: 책세상문고
조태연,『성결이념과 예수의 하나님 나라: 문화 인류학적 고찰』
토마스 롱, 『성서의 문학 유형과 설교』,박영미 역, 서울: 기독교서회 1995
황성규 (1995),『예수운동과 갈릴리』,서울: 나단출판사
성서 연구 사이트
성서 연구 사이트, 『갈릴리 예수, 교리 예수』, GYUHANG,NET
성서 연구 사이트, 『엠마오성서연구-신약편』,엠마오성서연구
성서 연구 사이트, 『예수시대의 역사적 배경연구』,호주성산 신약신학 연구실
성서 연구 사이트, 『유대종파의 특징』,레포트월드
성서 연구 사이트, 『중동전쟁사 1,유대인, 디아스포라』,㈜ Luthien's 망상공방
성서 연구 사이트, 『초대교회의 時代的 배경』,한국컴퓨터선교회
성서 연구 사이트, 『로마인과 유대인』,blog.chson.com/kook35
4. 사회적 상황
예수는 '갈릴리 나사렛' 출신이다. 이것은 단지 지역적인 의미가 아닌 매우 사회적인 의미가 있다. 왼쪽으로 지중해를 끼고 요단강을 따라 세로로 길게 뻗은 팔레스타인 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맨 아래가 유대, 가운데가 사마리아, 그 위가 갈릴리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곳은 역시 예루살렘 성전이 있는 유대 지역이다. 사마리아는 유대와 갈릴리의 가운데에 있으면서도 이방 지역 취급을 받았다. BC 721년 팔레스타인에 쳐들어온 앗시리아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순혈주의를 파괴하기 위해 3만여 명의 앗시리아인들을 이주시켰고 그 결과 사마리아엔 혼혈이 많았다. 갈릴리 사람들이 유대 지방을 가거나 유대 사람들이 갈릴리 지역을 갈 때는 '더러운 사마리아인을 피해' 요단강 건너로 멀리 돌아가곤 했다. 사마리아 사람들도 반발심에 자신들의 성전을 따로 세우고 그들과 완전히 절연했다. 예수가 갈릴리 출신이라는 건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의 메시아관에 걸맞지 않았다. 메시아는 당연히 유대 지역에서 와야 했다. 특히 그들에겐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다윗의 후손이 메시아가 된다는 믿음이 있었다. 마태와 누가복음은 예수가 유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다고 적는다. 마태복음에서 예수는 베들레헴에서 태어났지만 메시아의 탄생 소식을 들은 헤롯이 어린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려 하자 이집트로 피신했다가 갈릴리로 돌아온다. 누가복음에서 예수의 부모 마리아와 요셉은 갈릴리에서 살지만 인구조사를 위해 고향인 베들레헴으로 가다가 예수를 낳는다. 그러나 한 사람의 고향은 그 사람이 태어난 순간에 머문 곳이 아니라, 부모가 살고 어린 시절을 보낸 그 사람의 사회문화적 원형을 만든 곳이라는 점에서 예수는 분명히 유대 사람이 아니라 갈릴리 사람이다. 갈릴리에서 온 메시아. 그는 메시아이되 영광의 왕으로서 메시아가 아니라 인민들의 고통스런 삶과 함께 하는 메시아로서 예고된 것이다. 성서 연구 사이트, 『갈릴리 예수, 교리 예수』, (GYUHANG.NET)
참고문헌 목록
BO,REIKE (1989), 『신약성서시대사』,서울: 한국신학연구소,1989
E, M, 블랙록, 『신약의 배경』,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Goppelt, Leonhard (1998),『예수, 바울 그리고 유대교』,원광연역,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 스트
Rovert H, Stein, 『비유 해석학』, 오광만 역,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6
권의구 (2004),『묵시문학과 예수: 인자 기독론의 기원』,서울: 한들출판사
김균진 (1987), 『예수그리스도의 역사적 상황』,서울: 대한기독교서회, 기독교사상 1987년 11월호
류재린 (2002), 『성서 문학 연구에 나타난 비유연구』
안병무 (1990),『갈릴래아의 예수』,서울: 한국 신학연구소, 1990
왕대일 (2004), 『묵시문학과 종말론』,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윤승은 (2003), 『예수님의 비유들 연구』,서울: 비전북출판사
윤철원 (2000),『신약성서의 그레꼬 로마적 읽기』,서울: 한들출판사
이대섭 (1986), 『초기 기독교의 역사적 배경』,서울: 성광문화사
정성호 (2003), 『유대인』,경기: 살림출판사
정승우 (2005),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서울: 책세상문고
조태연,『성결이념과 예수의 하나님 나라: 문화 인류학적 고찰』
토마스 롱, 『성서의 문학 유형과 설교』,박영미 역, 서울: 기독교서회 1995
황성규 (1995),『예수운동과 갈릴리』,서울: 나단출판사
성서 연구 사이트
성서 연구 사이트, 『갈릴리 예수, 교리 예수』, GYUHANG,NET
성서 연구 사이트, 『엠마오성서연구-신약편』,엠마오성서연구
성서 연구 사이트, 『예수시대의 역사적 배경연구』,호주성산 신약신학 연구실
성서 연구 사이트, 『유대종파의 특징』,레포트월드
성서 연구 사이트, 『중동전쟁사 1,유대인, 디아스포라』,㈜ Luthien's 망상공방
성서 연구 사이트, 『초대교회의 時代的 배경』,한국컴퓨터선교회
성서 연구 사이트, 『로마인과 유대인』,blog.chson.com/kook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