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나의 물 사용량 조사 .....................................2
2. 가정에서의 물 절약방법 .................................7
3. 내 고장의 물 PH 수치 ...................................8
6. 소감 및 느낀점 .............................................9
2. 가정에서의 물 절약방법 .................................7
3. 내 고장의 물 PH 수치 ...................................8
6. 소감 및 느낀점 .............................................9
본문내용
= 14.9L
3.9L
121.2L
1.5L
10번
20L
176.78L
합계
3번 14.4L
5월 8일
아침
저녘
1번 4.8L
2번 9.6L
0.44L x 2컵 x 3번= 2.64L
152s x 0.1L
= 15.2L
1.5L
6번
12L
3번
18L
61.98L
합계
3번 14.4L
5월 9일
아침
저녘
1번 4.8L
2번 9.6L
0.44L x 2컵 x 3번= 2.64L
169s x 0.1L
= 16.9L
672 x 0.1L
= 67.2L
(비누샤워)
1.5L
9번
18L
2번
12L
115.74L
합계
3번 14.4L
평균
14.4L
2.64L
15.7L
15.85L
1.67L
34.63L
1.5L
16L
8.57L
116.24L
-5-
4. 물 절약 전과 물 절약 후 비교
주 항목
세수
양치질
머리감기
샤워
발씻기
빨래
식수
소변
대변
합계
1주차
18.49L
2.64L
17.94L
24.14L
3.1L
17.3L
1.5L
17L
8.57L
110.68L
2주차
14.4L
2.64L
15.7L
15.85L
1.67L
34.63L
1.5L
16L
8.57L
116.24L
변화량
-4.09L
0
-2.24
-8.29
-1.43
+17.33
0
-1
0
-9.65
분석
대체적으로 사용방법에 변동이 없었던 항목은 별반 차이가 없었고, 빈도수에 따라 평균사용량의 변동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매일 하는 세수나 발씻기의 경우, 물을 받아서 씀으로서 예전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었다.
5. 나의 물 소비량이 우리나라의 일인당 평균 물 소비량 (400L)와 차이가 나는 이유
(1)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는 등 ‘식’에 관한 물 사용량을 무시하였다.
(2) 자잘한 물 사용 ( 손을 씻는다든지, 가벼운 물세수를 한다든지.. )을 배제하였다.
(3) 400L 중 많은 부분이 누수에 의해 손실되고 있다는 점.
(4) 기숙사 생활이라는 특별한 상황에 놓여 있다.
-6-
6. 가정에서의 물절약 실천방법
* 부모님 의견
아버지: 흐르는 물을 이용하지 않고 받아서 쓴다.
어머니: 집안에 누구가 있는지 없는지 점검한다.
* 장소에 따른 물 절약방법
화장실에서
-기존 변기 수조에 물 채운 병을 넣어 20% 절수
-변기 수조를 절수형으로 설치하여 50% 절수
-변기 수조 수압조절, 누수여부 확인으로 물 아끼기
부엌에서
-설거지통 이용으로 60% 절수
-수도꼭지에 물 조리개를 부착하여 20% 절수
-수도꼭지에 절수기 설치로 20% 절수
빨래할때
-빨랫감은 한번에 모아 빨아 30% 절수
-세탁기는 알맞은 용량, 세탁기 수위는 알맞게 조절하여 50% 절수
-헹굼은 적정횟수, 마지막 헹굼물 재이용으로 50% 절수
욕실에서
-샤워시간 반으로 줄여 50% 절수
-샤워헤드를 절수형으로 바꿔 40% 절수
-양치질할 때 물컵 사용으로 70% 절수
-참고&출처: 네이버블로그
-7-
[2] 수돗물 PH량 조사하기
내 고장 수원과 한국교원대가 있는 강내면에 물을 공급하는 청주정수장 수돗물에 대한 조사.
구분
검사항목(수질기준 중 일부만 올림)
광교정수장
(수원)
청주정수장
(청주)
1.미생물에 관한 기준
일반세균(100CFU/ml이하)
0
불검출
총대장균군/대장균/분원성대장균군(불검출/100ml)
불검출
불검출
2.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기준
질산성질소(10mg/l이하)
불검출
불검출
암모니아성질소, 납, 불소, 비소, 세레늄, 수은, 카드뮴 등
3.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 및 소독 부산물에 관한 기준
총트리할로메탄(0.08mg/l이하)
0.015
0.015
클로랄하이드레이트(0.03mg/l이하)
0.0021
0.0018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0.004mg/l이하)
불검출
불검출
할로아세틱에시드(0.1mg이하)
0.0067
0.0046
4.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
과망간산칼륨소비량(10mg/l이하)
1.3
0.8
냄새,맛(소독냄새, 맛 이외의 냄새, 맛이 있어서는 아니됨)
적합
적합
색도(5도 이하)
1도 이하
1도 이하
수소이온농도(Ph5.8~8.5)
6.8
6.7
아연(1mg/l이하)
16
불검출
증발잔류물(500mg/l이하)
181
90
탁도(0.5NTU이하)
0.06
0.05
검사결과
측정항목 기준 이내일 경우 적합
적합
적합
참고&출처: 수원시 수도사업소, 청원군 상수도사업소
비교&분석
두 장소 모두 적합판정이 났으나, 따져보자면 대체로 청주정수장이 광교정수장의 수질보다 더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추정하자면 하루에 생산하는 수돗물 양이나 강물의 오염도를 들 수 있겠는데, 상대적으로 수도권에 위치하였고, 인구가 100만이 넘는 수원이 사용하는 수돗물 양이나 강물의 오염도가 높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8-
소감문
이번 물 조사를 하면서 지금껏 생각 없이 사용하던 물에 대해 좀더 깊이 생각할 수 있었다. 생각없이 사
용하던 화장실 세면대의 물용량이 얼만큼 되는지, 소변기를 한 번 내릴 때 사용되는 물의 양은 얼마인지
알 수 있었고 대변기를 내릴 때 6L라는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번 물 조사과정
중 막막한 부분도 많았지만, 그만큼 조사를 하면서 얻은 점도 많았다. 어떠한 항목들을 조사할 것인지, 그
렇다면 물은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등 레포트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부분들을 직접 구성하고 조사한다는
것이 내게는 값진 경험이었다. 비록 이러한 과제가 힘들고 시간을 필요로 한다곤 하지만, 그만큼 혼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그런데 아직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나의 경우는 가장 많이 물을 사용할 때에도 233L밖에 되지 않았건만, 어떻게 400L가
넘는 물 사용량이 나올 수 있단 말인가. 처한 상황이 다르다지만, 이건 물 절약을 할 수 있음에도 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낭비심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나 이외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물에
대해 좀더 관심을 가지고 아낄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 생각해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9-
물 사용량 조사
물 사용량, PH 수치. 가정에서의 물 절약방법 등
강 의 명:
학 과:
학 번:
이 름:
담당교수:
3.9L
121.2L
1.5L
10번
20L
176.78L
합계
3번 14.4L
5월 8일
아침
저녘
1번 4.8L
2번 9.6L
0.44L x 2컵 x 3번= 2.64L
152s x 0.1L
= 15.2L
1.5L
6번
12L
3번
18L
61.98L
합계
3번 14.4L
5월 9일
아침
저녘
1번 4.8L
2번 9.6L
0.44L x 2컵 x 3번= 2.64L
169s x 0.1L
= 16.9L
672 x 0.1L
= 67.2L
(비누샤워)
1.5L
9번
18L
2번
12L
115.74L
합계
3번 14.4L
평균
14.4L
2.64L
15.7L
15.85L
1.67L
34.63L
1.5L
16L
8.57L
116.24L
-5-
4. 물 절약 전과 물 절약 후 비교
주 항목
세수
양치질
머리감기
샤워
발씻기
빨래
식수
소변
대변
합계
1주차
18.49L
2.64L
17.94L
24.14L
3.1L
17.3L
1.5L
17L
8.57L
110.68L
2주차
14.4L
2.64L
15.7L
15.85L
1.67L
34.63L
1.5L
16L
8.57L
116.24L
변화량
-4.09L
0
-2.24
-8.29
-1.43
+17.33
0
-1
0
-9.65
분석
대체적으로 사용방법에 변동이 없었던 항목은 별반 차이가 없었고, 빈도수에 따라 평균사용량의 변동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매일 하는 세수나 발씻기의 경우, 물을 받아서 씀으로서 예전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었다.
5. 나의 물 소비량이 우리나라의 일인당 평균 물 소비량 (400L)와 차이가 나는 이유
(1)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는 등 ‘식’에 관한 물 사용량을 무시하였다.
(2) 자잘한 물 사용 ( 손을 씻는다든지, 가벼운 물세수를 한다든지.. )을 배제하였다.
(3) 400L 중 많은 부분이 누수에 의해 손실되고 있다는 점.
(4) 기숙사 생활이라는 특별한 상황에 놓여 있다.
-6-
6. 가정에서의 물절약 실천방법
* 부모님 의견
아버지: 흐르는 물을 이용하지 않고 받아서 쓴다.
어머니: 집안에 누구가 있는지 없는지 점검한다.
* 장소에 따른 물 절약방법
화장실에서
-기존 변기 수조에 물 채운 병을 넣어 20% 절수
-변기 수조를 절수형으로 설치하여 50% 절수
-변기 수조 수압조절, 누수여부 확인으로 물 아끼기
부엌에서
-설거지통 이용으로 60% 절수
-수도꼭지에 물 조리개를 부착하여 20% 절수
-수도꼭지에 절수기 설치로 20% 절수
빨래할때
-빨랫감은 한번에 모아 빨아 30% 절수
-세탁기는 알맞은 용량, 세탁기 수위는 알맞게 조절하여 50% 절수
-헹굼은 적정횟수, 마지막 헹굼물 재이용으로 50% 절수
욕실에서
-샤워시간 반으로 줄여 50% 절수
-샤워헤드를 절수형으로 바꿔 40% 절수
-양치질할 때 물컵 사용으로 70% 절수
-참고&출처: 네이버블로그
-7-
[2] 수돗물 PH량 조사하기
내 고장 수원과 한국교원대가 있는 강내면에 물을 공급하는 청주정수장 수돗물에 대한 조사.
구분
검사항목(수질기준 중 일부만 올림)
광교정수장
(수원)
청주정수장
(청주)
1.미생물에 관한 기준
일반세균(100CFU/ml이하)
0
불검출
총대장균군/대장균/분원성대장균군(불검출/100ml)
불검출
불검출
2.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기준
질산성질소(10mg/l이하)
불검출
불검출
암모니아성질소, 납, 불소, 비소, 세레늄, 수은, 카드뮴 등
3.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 및 소독 부산물에 관한 기준
총트리할로메탄(0.08mg/l이하)
0.015
0.015
클로랄하이드레이트(0.03mg/l이하)
0.0021
0.0018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0.004mg/l이하)
불검출
불검출
할로아세틱에시드(0.1mg이하)
0.0067
0.0046
4.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
과망간산칼륨소비량(10mg/l이하)
1.3
0.8
냄새,맛(소독냄새, 맛 이외의 냄새, 맛이 있어서는 아니됨)
적합
적합
색도(5도 이하)
1도 이하
1도 이하
수소이온농도(Ph5.8~8.5)
6.8
6.7
아연(1mg/l이하)
16
불검출
증발잔류물(500mg/l이하)
181
90
탁도(0.5NTU이하)
0.06
0.05
검사결과
측정항목 기준 이내일 경우 적합
적합
적합
참고&출처: 수원시 수도사업소, 청원군 상수도사업소
비교&분석
두 장소 모두 적합판정이 났으나, 따져보자면 대체로 청주정수장이 광교정수장의 수질보다 더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추정하자면 하루에 생산하는 수돗물 양이나 강물의 오염도를 들 수 있겠는데, 상대적으로 수도권에 위치하였고, 인구가 100만이 넘는 수원이 사용하는 수돗물 양이나 강물의 오염도가 높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8-
소감문
이번 물 조사를 하면서 지금껏 생각 없이 사용하던 물에 대해 좀더 깊이 생각할 수 있었다. 생각없이 사
용하던 화장실 세면대의 물용량이 얼만큼 되는지, 소변기를 한 번 내릴 때 사용되는 물의 양은 얼마인지
알 수 있었고 대변기를 내릴 때 6L라는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번 물 조사과정
중 막막한 부분도 많았지만, 그만큼 조사를 하면서 얻은 점도 많았다. 어떠한 항목들을 조사할 것인지, 그
렇다면 물은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등 레포트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부분들을 직접 구성하고 조사한다는
것이 내게는 값진 경험이었다. 비록 이러한 과제가 힘들고 시간을 필요로 한다곤 하지만, 그만큼 혼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그런데 아직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나의 경우는 가장 많이 물을 사용할 때에도 233L밖에 되지 않았건만, 어떻게 400L가
넘는 물 사용량이 나올 수 있단 말인가. 처한 상황이 다르다지만, 이건 물 절약을 할 수 있음에도 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낭비심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나 이외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물에
대해 좀더 관심을 가지고 아낄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 생각해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9-
물 사용량 조사
물 사용량, PH 수치. 가정에서의 물 절약방법 등
강 의 명:
학 과:
학 번:
이 름:
담당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