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과잉억압과 수행원칙
- 실천적 측면에서의 『에로스와 문명』
- 해방의 모색
3. 결론
2. 본론
- 과잉억압과 수행원칙
- 실천적 측면에서의 『에로스와 문명』
- 해방의 모색
3. 결론
본문내용
침되지는 않는다. 앞으로 경제학을 배워가면서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과제중의 하나이다.
Ⅲ. 결론
이번 학기 현대정치와 이데올로기 수업은 말 그대로 교양을 쌓은 수업이었다. 신입생때 수강하고 현재 재수강 신청이라서 강의계획서를 제대로 확인도 안하고 수강신청 하는 바람에, 으레 생각하듯이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근현대 민족주의까지의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흐름을 다루는 수업으로 전에 수강했던 수업과 별반 다를 것이 없을 줄 알았다. 학기 초 프랑크푸르트학파 사상가들의 이론을 배우고 그것에 입각해 현재 한국사회를 고찰한다는 수업계획을 듣고 내심 기대가 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기대가 크면 상심도 크게 마련인가 보다. 처음엔 색다르고 해서 흥미도 있었지만, 골치 아픈 두꺼운 경제학 교과서들의 계량화된 방정식과 복잡한 그래프들로 씨름을 하던 나에게 마르쿠제를 제외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두 이론가들의 이름을 수업시간에 처음 들어볼 정도로 그들에 대해 무지했고, 그들의 이론세계도 심오해서 접근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수업에서의 참여도가 떨어져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크지만 『에로스와 문명』 발표 준비를 하면서 조금이나마 알게 된 마르쿠제를 이번 수업의 성과라고 생각하며 위안을 삼는다.
새로운 학문으로의 시야를 넓혀준 선생님께 고마움을 느끼며 나중에 기회가 되서 철학과나 정치외교학 수업으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수업이 개설된다면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이론가들을 다루어 보고 싶다.
● 참고문헌
폴 로빈슨/박광호. 프로이트 급진주의. 종로서적
이상은, 차인석. 프랑크푸르트 학파. 청람
Ⅲ. 결론
이번 학기 현대정치와 이데올로기 수업은 말 그대로 교양을 쌓은 수업이었다. 신입생때 수강하고 현재 재수강 신청이라서 강의계획서를 제대로 확인도 안하고 수강신청 하는 바람에, 으레 생각하듯이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근현대 민족주의까지의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흐름을 다루는 수업으로 전에 수강했던 수업과 별반 다를 것이 없을 줄 알았다. 학기 초 프랑크푸르트학파 사상가들의 이론을 배우고 그것에 입각해 현재 한국사회를 고찰한다는 수업계획을 듣고 내심 기대가 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기대가 크면 상심도 크게 마련인가 보다. 처음엔 색다르고 해서 흥미도 있었지만, 골치 아픈 두꺼운 경제학 교과서들의 계량화된 방정식과 복잡한 그래프들로 씨름을 하던 나에게 마르쿠제를 제외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두 이론가들의 이름을 수업시간에 처음 들어볼 정도로 그들에 대해 무지했고, 그들의 이론세계도 심오해서 접근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수업에서의 참여도가 떨어져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크지만 『에로스와 문명』 발표 준비를 하면서 조금이나마 알게 된 마르쿠제를 이번 수업의 성과라고 생각하며 위안을 삼는다.
새로운 학문으로의 시야를 넓혀준 선생님께 고마움을 느끼며 나중에 기회가 되서 철학과나 정치외교학 수업으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수업이 개설된다면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이론가들을 다루어 보고 싶다.
● 참고문헌
폴 로빈슨/박광호. 프로이트 급진주의. 종로서적
이상은, 차인석. 프랑크푸르트 학파. 청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