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가벼운 러브 스토리를 말하듯 했다. 문학이든, 영화든 문화생산자와 소비자 간에는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거짓말>은 베니스 영화제 본선 진출 등으로 그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 영화를 ‘성'을 통한 비판적인 문화 읽기의 시각 없이 단순히 ‘벗는’ 영화로 본다면 외설이 되어버릴 것이다. 장선우 감독의 전 작품을 확인하는 것도 영화 감상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너에게 나를 보낸다>, <꽃잎>, <나쁜 영화> 등이 그의 문제작들이다. <거짓말>의 쟁점은 영화의 표현수위와 함께 관객의 볼 권리와도 맞물려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에로티시즘의 양면성은 계속 될 것이고, 이러한 논쟁은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그 과정에서 우리 대중문화의 질이 더욱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추천자료
영화1492(콜롬버스)에서 문화교류인가 문화인식인가
영화 약속의 이해와 감상
영화 '집시의 시간'을 보고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
[성과윤리]에로티시즘 포르노 그라피와 검열
화니와 알렉산더 - 영화감상문
품행 장애(conduct Disorder)의 원인, 종류, 증상, 문제점, 치료방안 (영화 사례를 통해)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
영화 한글자막의 한글맞춤법 오류
영화'뷰티풀 마인드'에서 존 내쉬의 이상행동
포르노그라피와 검열
파이 이야기 감상문 (파이 이야기 감상문,라이프 오브 파이,파이 이야기 독서감상문,파이 이...
사례 하나를 선정하여 (주변의 이야기, 영화, 드라마, 책의 내용 간략히 적고 가상 초기면접,...
[영어영작/영어작문/영어에세이] 선의의 거짓말은 바람직하다.
소개글